d라이브러리
"임의"(으)로 총 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발표된 건 1949년 폰 노이만에 의해서였다. 중앙제곱법은 ‘시드(seed)’라고 부르는 임의의 수를 제곱한 뒤, 나온 수의 가운데 일부분을 제곱해가며 난수를 만드는 방식이다. 열매를 맺으려면 씨앗을 심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컴퓨터로 난수를 만들려면 씨앗, 시드값을 입력해야 한다. 씨앗은 어떻게 ...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홀의 결혼정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2개를 뽑으면 직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총 10개의 직선을 만들 수 있지요. 이 직선 위에 임의의 점 10개를 뽑아 올려 놓습니다. 단, 10개의 점은 모두 일반적인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 이들을 모아 집합 A6라고 합시다.그러면 집합 A1, A2, A3, A4, A5, A6에서 각각 점 하나를 뽑으면 반드시 어느 세 점은 한 ... ...
- [지식] 세기의 매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법을 고안해냈다. 바로 피셔960이라는 체스 게임이다. 첫 번째 줄에 있는 8개 말의 위치를 임의로 바꿔 놓고 시작하는 것이다. 단 두 가지 조건이 있다. 두 개의 비숍 중 하나는 어두운 칸, 하나는 밝은 칸에 두고 킹을 기준으로 룩은 양쪽에 하나씩만 있어야 한다. 이 때 만들어질 수 있는 경우의 수가 ... ...
- [수학뉴스]수학 성적을 올려주는 앱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시카고 지역 초등학교 1학년인 자녀를 둔 587가족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습니다. 교수팀은 임의로 420가족에게는 ‘취침시간 수학 앱’을, 167가족에게는 ‘취침 시간 읽기 앱’을 2학기 동안 사용하게 했습니다.취침시간 수학 앱에는 수와 도형, 확률 같은 수학적 지식이, 취침 시간 읽기 앱에는 독해,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두 수하고만 관련이 있다. 1과 -1을 골고루 잘 섞은 뒤 길게 늘어놓은 수열이 있다고 하자. 임의의 수 n을 고른 다음 n의 배수번째에 있는 수만을 골라낸다. 이렇게 만든 부분 수열에 1과 -1이 골고루 섞여 있게 할 수 있는지 묻는 문제다. 즉 부분수열의 합(부분합)과 0 사이의 차이를 항상 작게 만들 수 ...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에니악은 전쟁 이후에도 수소폭탄 설계, 날씨 예측, 우주선 연구, 열 폭발 감지, 임의 숫자 연구, 풍동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였다. 에니악은 당시 수학자들이 7~20시간 걸렸던 문제를 30초 만에 풀어냈다. 에니악은 당시에 있었던 그 어떤 컴퓨터보다 1000배 이상 빠른 속도로 계산할 수 있었다.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수학자들은 복잡한 대수적 내용을 미분을 이용해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지 연구했다. 임의의 함수의 도함수를 찾는 문제와 2계 미분, 그리고 보다 더 어려운 문제인 적분도 고민하기 시작했다. 상미분방정식, 편미분방정식, 미분기하학, 변분학, 무한급수, 복소함수, 보험통계학, 변분법, 고차함수, ...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세로와 평행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러려면 직사각형의 오른쪽 아래 꼭짓점(A)에서 임의의 한 점(B)까지 선을 긋고 선분 AB와 평행한 13개의 짧은 나선을 그립니다. 그리고 교차점을 이은 세로선이 직사각형의 세로와 평행하도록 점 B를 움직여 봅시다. 그리고 점 B가 어디에 놓였는지 확인해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예컨대, 대표적인 진화연산인 유전 알고리듬은 풀고자 하는 문제에 대해 가능한 해를 임의로 정한 뒤, 생물 진화의 돌연변이나 교배 등에서 차용한 수학 모델로 해를 조금씩 변형한다. 바꾼 해가 최종 목표에 얼마나 가까워졌는지 확인한다. 이 과정을 반복해 점점 더 좋은 해들을 만들어 낸다 ... ...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거의 비슷한 모양으로 설명했습니다. 11세기 페르시아의 수학자 오마르 카이얌도 임의의 정수 n에 대한 이항정리를 제시해 놓았습니다. 이항정리의 저작권은 인류의 역사가 갖고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조합의 맛, 커리우리가 즐겨 먹는 카레는 걸쭉한 소스 형태지만, 카레의 할아버지뻘인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