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숙주"(으)로 총 3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식물끼리 대화? “RNA로 해요”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서로 전령RNA를 주고받는 것으로 해석했다.연구팀은 “새삼은 숙주의 전령RNA를 얻어 숙주의 방어 시스템을 확인하는 것 같다”며 “이 연구를 역으로 이용하면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기생식물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PART1.전염의 시작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궁극적인 목적은 자신의 유전자를 더 많이 남기는 것이다. 이전의 에볼라처럼 숙주를 너무 빨리 죽이면 진화가 덜 된 것이다. 가능하면 천천히, 영원히 죽이지 않고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제서야 에볼라 바이러스가 자신의 유전자를 더 많이 퍼뜨릴 수 있게 진화한 셈이다.에볼라는 어떻게 ...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그렇다고 무조건 없애야만 하는 존재는 아니다. 모기는 다양한 생물의 먹이로, 숙주나 종족번식의 수단으로 생태계에서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모기 애벌레인 장구벌레와 번데기는 물속에 사는 물고기, 잠자리 약충, 물방개, 게아재비, 플라나리아, 히드라 같은 다양한 생물의 먹이원이다. 심지어 ... ...
- 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과학동아 l2014년 07호
- AMI’, 무릎연골에 쓰이는 ‘카티스템’, 크론병에 쓰이는 ‘큐피스템’, 이식편대숙주병에 쓰이는 ‘프로키말’이다. 프로키말을 제외하고는 모두 우리나라에서 개발했다. 줄기세포 연구를 시작한 지가 50년이 넘었는데, 왜 고작 4개밖에 없을까. 가장 큰 이유는 ‘암’ 때문이다. 리프로그래밍은 ... ...
- 외계인도 잘 생겨야 하는 더러운 세상...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설정도 문제가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와 달리 스스로 증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숙주의 유전물질을 이용해야 합니다. 인간과 외계인의 유전물질이 같을 가능성은 대단히 낮습니다. 지구에서도 바이러스가 종간 벽을 넘는 일이 어렵다는 점을 생각하면, 독성 물질 쪽을 걱정하는 게 더 나을 ...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등먹이 사람이나 동물의 피식사 방법 애벌레는 어미의 똥을 먹고 살고, 어른벌레는 숙주에 붙어 꼬리를 높이 들고 주둥이로 피부를 뚫은 뒤 피를 빨아 먹음.관련 질병 흑사병 등 잠깐! 쥐벼룩이 옮긴 페스트균에 5000만 명 사망 14세기 중반 유럽 인구의 3분의 1이 한꺼번에 목숨을 잃었어요. 원인은 ... ...
- ‘이’는 알고 있다, 과거 당신이 무엇을 했는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채집해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인류의 진화와 맥락을 같이해온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숙주를 가려 사는 외부기생충이다. 사람의 이는 다른 동물에 사는 이와 다르며, 사라진 친척 인류나 영장류의 것과도 달라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사람에게는 여러 종의 이가 동시에 발견된다.리드 박사팀은 ... ...
- “고양이 따위 무섭지 않아!”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뇌에 영향을 주는 단백질을 분비해 고양이에게 잡아먹히도록 유도한다. 쥐에서 고양이로 숙주를 옮기기 위해서다.연구팀은 기생충을 제거해도 감염이 됐던 쥐가 여전히 고양이를 무서워하지 않는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고양이를 두려워하지 않게 만드는 원인을 없앴는데도 쥐의 행동이 변하지 ... ...
- Intro. 바이러스의 인간사육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죽이는 바이러스는 진화의 역사 속에서 도태돼 사라져 버린다. 바이러스는 살아있는 숙주가 있어야만 살아갈 수 있는 생명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5억 5270만 마리의 닭이 소비되고 있지만, 닭의 멸종을 걱정하는 사람은 없다. 혹시 바이러스는 우리가 닭을 이용하듯 인간을 사육하고 ...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공진화의 결과이기도 하다. 그런데 오늘날 인간은 자연에선 서로 만나기 힘든 여러 숙주 종을 한 공간에 두거나, 인간 스스로 새로운 바이러스 활동구역으로 들어가면서 활동구역을 임의로 뒤섞기 시작했다. 분명한 것은 새로운 바이러스의 출현이 점점 더 잦아질 것이란 사실이다. 인류와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