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취
숙정
기주
d라이브러리
"
숙주
"(으)로 총 354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미리 수여자에게 이식해 수여자의 면역체계를 일부 바꾸는 방법이 있다. 이렇게 하면
숙주
가 공여자의 항원을 자기 것으로 인식해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를 ‘키메리즘’이라고 한다. 팔을 이식할 때 뼈를 함께 이식하기 때문에 키메리즘이 일부 일어난다. 자가세포를 이용하는 방법도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다만 아직 어떤 종이
숙주
인지는 정확히 모른다. 낙타가 메르스를 인간에게 옮긴 중간
숙주
라 하더라도, 수천 년간 충실하게 봉사해 온 낙타에게 그 책임을 지울 수는 없을 것이다. 아마도 긴 진화적 역사를 통해서 병원체에 점차 취약해진데다가, 수많은 동물을 인간의 입맛에 맞게 길들였으며,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실제로 그가 주로 연구하는 효모는 백신과 같은 의료용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는
숙주
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셰크먼 교수는 이런 이야기를 한국 학생들에게 들려줄 것에 큰 기대를 하고 있다. "해외에서 제가 본 한국 과학자들 중에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최고 수준에 도달한 사람들이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흉내내 다른 물고기의 살점을 뜯어먹는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조차
숙주
의 면역체계를 속이는 기만작전을 펼칠 수 있다.물론 속임수라고 다 같은 속임수는 아니다. 급이 다른 속임수가 여럿 있다. 미국 클라크대 심리학과 로버트 미첼 교수는 자연에 존재하는 속임수를 네 ... ...
[Life & Tech] 식중독 바이러스가 면역력 높인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적정 수준을 매우 섬세하게 유지하는 경우다. 정 교수는 “그러나 바이러스가
숙주
에게 좋은 영향을 주겠다는 의도를 가지고 행동하는 건 아니다”라며 “서로 협상하고 진화하다 보니 결과적으로 그렇게 된 것뿐”이라고 말했다. “바이러스를 알게 된 건 겨우 100년”최근에는 전쟁만 좋아하는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양성 RNA를 한번 더 만들어야 한다고만 설명할게요. 새끼 바이러스가 충분히 만들어지면
숙주
세포를 터뜨리고 탈출합니다. 에볼라는 마지막까지 나쁜 짓을 하고 떠나네요. 그럼 ‘쇼미더에볼라’에 남아있는 TOP5는 이 과정에서 어떻게 에볼라를 공략하는 걸까요? 맘에 드는 치료제가 있다면 아래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에볼라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사람처럼 피를 쏟다가 얼마 후 죽었지. 바이러스를 다른
숙주
에게 옮길 시간이 그만큼 짧다는 얘기야. 그러니까 아마도 에볼라바이러스에 감염된 과일박쥐를 잡아먹거나 분비물을 만질 때 사람에게 전염됐을 거야.과일박쥐는 중국 남부나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호스트(
숙주
)의 색에 따라 몸색깔이 다르다고 알려져 있었어요. 그런데 이것 보세요.
숙주
의 색이 다른데 몸색깔이 같죠? 논문을 작성해 학 계에 새롭게 보고할 예정입니다." 새로운 사실을 발견한 박 연 구사가 무척 신나보였다. * 미기록종 외국에서는 발견됐지만 우리나라에서 발견되지 않은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이번 에볼라와 매우 비슷했다. 사스는 원래 중국 광동성 밀림에 사는 야생 사향고양이가
숙주
인데, 언젠가부터 이 고양이를 사람들이 잡기 시작한다. 2002년, 한 사냥꾼이 바이러스에 처음으로 감염된다. 사냥꾼을 치료하다 전염된 의사는 홍콩에서 미국인과 캐나다인에게 바이러스를 옮긴다. 그렇게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확실히 아는 건, 바이러스와 사람이 오래 공존할수록 치사율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숙주
를 오래 살려 놓아야 바이러스 자신의 번식에도 유리하기 때문이다(과학동아 2013년 8월 ‘바이러스의 인간사육’ 기사 참조). 시간이 지나면 언젠가 에볼라도 감기처럼 ‘부드러운’ 질병으로 바뀔 것이다.4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