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 그저 그렇지 않은 화성 이야기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남다른 재미를 추구할 계획입니다. 3D 푸드 프린터로 인쇄한 음식을 직접 먹어보고(30p), 뇌세포로 컴퓨터를 만들었다는 해외 괴짜 과학자를 직접 인터뷰하고(92p), 기사 속 연구현장에 독자와 함께 찾아가는(137p) 이야기를 부디 잘 즐겨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무엇이 새로운지, 무엇이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배양해 만든 능성어 필레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필레는 능성어의 근육과 지방세포를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배양어’가 개발된 것은 처음이 아닙니다. 이미 참치, 새우, 연어 등 주요 어종을 출력해 이를 판매하려는 연구가 전세계에서 이뤄지고 있습니다. 배양육 및 ... ...
- [기획] 너의 뇌세포로 컴퓨터를 만들고 싶어 바이오컴퓨터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바이오컴퓨터에 관해 알아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너의 뇌세포로 컴퓨터를 만들고 싶어 바이오컴퓨터Part1.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Part2.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 ...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의식을 가지면 어떡할까’와 같은 윤리적 문제가 추후 나타날 수도 있다고 예측했다. 뇌세포 바이오컴퓨터가 일상에 들어오려면 얼마나 기다려야 할까. 코티컬 랩스의 변승훈 연구원은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의 양 측면에서는 이미 바이오컴퓨터가 기존 컴퓨터보다 데이터를 훨씬 적게 필요로 ... ...
- [기획] 공격력 최강 킬러 T 세포, 암세포도 파괴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암세포를 집중적으로 공격하는 표적 항암제 개발이 활발히 일어났지요. 면역 항암제는 암세포를 직접 죽이는 방식이 아니라 면역의 원리를 이용해 암의 치료 가능성을 높였다는 데 의의가 있어요. 앨리슨 교수와 다스쿠 특별교수의 연구로 만들어진 면역 항암제는 다양한 암을 치료하는 데 쓰이고 ... ...
- 신약 개발도 우주에서! 미세중력의 마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활용 중이다. 이곳에 드롭타워를 설치하고, 직접 개발한 미세중력 구현 방식을 이용해 세포나 생체에 다양한 영향을 끼치는 미세중력 환경을 조사함은 물론, 이에 맞는 치료법 개발도 한창이다. 현재 기초과학연구원과 함께하는 면역항암제 실험이 그 중 하나다. 그런데 600m를 낙하하는 시간은 10초 ... ...
- 쥐가 먹은 나노플라스틱 2시간만에 뇌에서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위장에서 흡수된 뒤 혈액뇌장벽을 통과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혈액뇌장벽은 뇌세포를 둘러싸 뇌혈관을 통해 외부물질이 뇌로 들어가지 못하게 막는다. 연구팀은 외부물질인 나노플라스틱이 혈액뇌장벽을 통과할 수 있었던 이유를 알기 위해 컴퓨터 모델링을 활용했다. 4가지 플라스틱 모델과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넷플릭스 시리즈 ‘택배기사’ 극심한 대기오염은 가상의 이야기일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s41591-018-0131-6 물론 이런 연구 결과들은 노화된 근육세포를 재생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젊은 사람의 근육을 과도하게 늘려주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근육의 재생이나 성장, 운동을 했을 때 근육에서 벌어지는 생물학적인 변화 등에 대한 ... ...
- ‘기적의 다이어트약’ 출시, 이번엔 진짜 기적 맞아?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살이 찌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며 “갈색 지방과 베이지색 지방의 비율을 늘려 지방세포 리모델링을 할 수 있는 약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약물이 개발된다고 해도 만능은 아닙니다. 김 교수는 “어떤 방식의 약물이 개발되든 계속 먹으면 답이 없다”며 “음식을 줄이고 운동을 ... ...
- 약 한 알 먹으면 집중력이 쑥쑥? ‘공부 잘 하는 약’의 진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페니드, 콘서타, 메디키넷 등 제품에 들어있죠. 메틸페니데이트는 신경세포가 도파민을 재흡수하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면 시냅스 속 도파민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도파민이 강하게 작용하게 되는 거죠. 공부를 잘 하게 해 주는 묘약이 없는 이유 도파민의 농도를 높여 주의집중력을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