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과학] 바닷속이 알록달록! 해면 vs 산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옮겨 소화를 시켜요. 이는 해면의 몸 안쪽에 나란히 자리 잡은 금세포 덕분이에요. 금세포에는 꼬리처럼 생긴 편모가 물의 흐름을 일으켜 바닷물을 해면의 몸속으로 들어오게 한답니다. 산호 바다의 꽃이라 불리는 산호는 생김새 때문에 식물로 종종 오해받지만, 사실은 바다에 사는 ... ...
- [제로슈거] 음료부터 과일, 약까지 점령!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있지요. 맛봉오리는 50~100개 정도의 미각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고, 각 미각 세포에는 단맛을 감지하는 ‘단맛 수용체’가 있습니다. 단맛 수용체에 특정 분자들이 결합하면 이 음식이 단맛이라는 신호가 뇌에 전달됩니다. 단맛 수용체는 설탕뿐만 아니라, 수크랄로스 등의 감미료와도 결합해 단맛 ... ...
- [JOB터뷰] 국내 최초 꿀벌 수의사, 정년기 선생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벌들도 여러 개체가 무리를 지어 살아가지요. 사람의 몸에 암 조직이 생기면 주변 세포까지 감염시키기 전에 그 조직을 떼어내 치료합니다. 이처럼 벌 무리 안에서도 죽은 벌들이 많아지면, 병이 무리로 더 번지기 전에 꿀벌 수의사가 벌들을 검사해 어떤 질병에 걸렸는지 찾아냅니다. 그래야 벌 ... ...
- [최신 이슈] 신약 개발에 불어온 새 바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이중나선을 절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하지만, 이중나선 절단은 그 자체로 DNA 손실, 세포 사멸, 노화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면서 “따라서, DNA를 절단하지 않으면서도 유전자를 교정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짚었다. 이어 “지금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기반으로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암 후성유전학으로 희귀 뇌종양 치료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암 유발 신진대사물질을 줄일 치료제를 개발한다면, 수술만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잔존 암세포까지 치료해 암 재발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뇌 깊숙이 암이 자리해 수술이 어려운 경우도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선 다른 분야와의 협업이 중요하다고 정 교수는 강조했다. 우리 뇌의 ... ...
- [과학뉴스] 삼엽충 이마 가운데서 최초로 ‘홑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수십~수천 개의 ‘낱눈’이 벌집 모양으로 모여 생긴 눈으로, 수정체와 시세포를 갖고 있어 사물의 형태와 색깔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1982년 체코에서 발견된 사이클로피지 시빌라(Cyclopyge sibilla) 삼엽충 화석을 조사하던 중, 이마 가운데에서 작은 타원형 반점 세 개를 발견했어요. 세 ... ...
- 잎부터 뿌리까지 '식물도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특성을 지닌 막이 하이드로젤을 감싸고 있는 소프트 젤 액추에이터를 만들었어요. 세포벽처럼 투과성이 있는 막은 물을 흡수해 팽창한 하이드로젤을 단단하게 감싸줍니다. 이 장치는 하이드로젤이 1g만 있어도 팽압에 의해 130kg의 무게를 들 수 있어요. 외부 동력원으로 전압을 가하면 5분 안에 두께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몸 속으로 떠나는 여행! 우리 몸 탐험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발표했습니다. 영구동토층이란 일년 내내 온도가 영하인 토양층을 말해요. 연구팀은 단세포 생물인 아메바 배양액에 영구동토층에서 가져온 시료를 넣고 아메바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했습니다. 그 결과 아메바에서 13종의 바이러스가 검출되며 바이러스의 존재를 알게 되었죠. 장 미셸 ... ...
- 억울한 사람이 없도록 과학으로 밝힌 오심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경우, 뱃속의 쌍둥이 중 한 명이 자궁 안에서 사망해 살아남은 태아가 사망한 태아의 세포를 흡수하는 경우 발생한다. 임 교수는 “A씨가 키메라 증후군이어도, B씨와 숨진 아기의 DNA가 일치하는 것을 설명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이 사례는 과학수사 기술을, 또 그 기술이 무고하다고 내린 결론을 ... ...
- [논문탐독] 생명의 숲 속에서 세포라는 나무를 보다, 초고해상도 추적 이미징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동력 중 하나입니다. 박건희KAIST 생명과학과 석박사통합과정에 재학 중이다. 세포 핵 안의 염색질의 움직임과 단백질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toonivas@kaist.ac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