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물
비물질적
질적
우수
천수
d라이브러리
"
빗물
"(으)로 총 332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물이 절대적으로 모자란다. 한 주에 한 번 담수화 시설에서 물을 공급받아 아껴 쓰거나,
빗물
을 받아 사용해야만 한다. 매일처럼 따뜻한 물에 목욕을 하는 일은 홍도에서는 사치에 가깝다. 게다가 섬 안에는 차가 한 대도 없기 때문에 생활필수품을 좁은 골목길을 따라 섬 중턱까지 직접 지고 ... ...
김연아 선수와 함께하는 2010친환경 동계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예정이다. 지붕에서 땅으로 비스듬히 세워진 홈통(아래 사진의 화살표)을 통해 모아진
빗물
은 정원과 경기장 내 화장실 변기, 빙판수로 쓰이고 있다. 벌레먹은 소나무로 만든 경기장 천장곳곳에 벌레가 먹어 버려지는 수십만 개의 소나무에서 성한 부분만을 잘게 쪼개 이어 붙여 경기장 천장을 ... ...
반짝 반짝! 보석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굳어 만들어진 보석이야. 반면 터키석, 오팔 등은 지표면 가까이에서 흐르는 지하수나
빗물
에 녹은 암석성분으로 만들어지지. 땅 속 깊은 곳에서 왔지반가워 돌멩이 친구. 우린 *무기질 보석이야. 너랑 같은 돌멩이로 만들었단다. 보기엔 너랑 다른것 같다고? 그렇지 않아. 우리도 이렇게 예쁘게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원료로 사용해 현대 기술로도 만들기 어려울 정도로 내구성이 뛰어난 종이를 제조했다.
빗물
이 스며들고 좀벌레가 나오는 탑 속에서 1200년을 보내고도 형체를 보존하고 있는 ‘다라니경’은 우리 제지 기술의 우수성을 말해주는 문화유산이다.신라의 유산 ‘다라니경’다라니경이 발굴되기 전까지 ...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함께 시큼한 과실주 맛이 날 것 같다. 누군가가 갉아 먹은 단풍잎에 걸린 거미줄에도
빗물
이 맺혔다. 실잠자리 한 마리가 잎에 매달려 커다란 물방울 속을 들여다본다.벌써 취한 노루귀들은 잔을 높이 들지도 못하고 뻗어 버렸다. 뿌리에서 난 꽃대는 잔털이 나 있고 그 끝에 술잔 같은 꽃이 달렸다. ... ...
1부. 아름다움의 비밀은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빗물
이 고여 물이 새게 됩니다. 더구나
빗물
이 스며들면 목조 건물인 한옥이 썩기 때문에
빗물
을 빨리 흘려보내야 하죠. 그래서 지붕을 우묵한 곡선 모양으로 만듭니다.한옥의 지붕에서도 우리 조상의 지혜를 엿볼 수 있네요. 한옥을 샅샅이 살펴보니 한옥의 뼈대인 기둥도 그 모양이 다양하던데요.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무너지기 시작해. ”강이 된 도로!지하에 만든 배수관도 녹이 슬어 부서지거나 막히면서
빗물
이 지표면 위로 넘치게 된다. 과거에는 광화문 광장 동쪽과 서쪽에 각각 ‘삼청동천’과 ‘백운동천’ 이라는 작은 개울물이 흐르고 있었다. 하지만 도시가 개발되면서 개울물이 흐르던 자리가 건물로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442년 5월 8일 기록에서 처음 ‘측우기’란 단어를 찾아볼 수 있는데, ‘철로 만든 그릇에
빗물
을 받아 그 양을 잴 수 있는 장치’로 정의했습니다.사실 측우기는 그보다 1년 전에 만들었습니다. 측우기를 장영실 선생이 발명했다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은데, 사실은 세종의 아들인 문종이 처음 ... ...
③ 환경 지킴이, 수학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높으면 염기성이다.그럼 왜 하필 pH 5.6이 기준일까? 오염물질이 없는 곳이라 하더라도
빗물
에는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녹은 탄산이 섞여 pH5.6의 약한 산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공장이나 자동차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구름 속에 들어가면서 산성비가 된다. 강한 산성비는 숲이나 철 ... ...
“물 한 방울도 놓치지 않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16배나 많은 물을 모을 수 있고, 땅으로 흡수하는 것보다 10배나 깊은 땅속 10㎝까지
빗물
을 전달할 수 있다고 해요. 척박하고 메마른 환경을 이겨 내는 식물의 지혜가 정말 놀랍네요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