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물
비물질적
질적
우수
천수
d라이브러리
"
빗물
"(으)로 총 332건 검색되었습니다.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잎맥우산’?잎에 물이 고이면 잎맥(위 사진)을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흉내 내면
빗물
이 잘 빠지는 우산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이와 비슷한 물건을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어요. 타이어에는 홈이 파여 있어서 물이 고이지 않고 잘 빠져 빗길에서도 미끄러지지 않는답니다.어떠한 폭우에도 절대 젖지 ... ...
PART 1. 잘 때 입술이 마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7, 8월 강우량 집중 현상이 심해지고 있어 이 시기에 지표에 흡수되지 못하고 유출되는
빗물
은 서울의 건조화를 더욱 부추긴다. 지상, 지하 단절이 더 문제다1974년부터 2010년까지 만들어진 서울시의 지하철 역사 공간은 총 253만 4226m2다. 여기에 정확히 집계되지는 않지만 지하 주차장과 지하 ... ...
화학자가 본 플루오린화 수소 유출 사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상태로 유출되면 사실상 뾰족한 대책이 없다. 가스가 넓은 공간으로 퍼져나가거나,
빗물
에 녹아 지표로 떨어지기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 공기 중으로 퍼져 나가는 플루오린화 수소에 가루 상태의 소석회를 뿌리는 것으로는 실질적인 효과가 없다. 결국 처음부터 소석회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비난한 ... ...
인천국제고 Sci-Fac 과학동아 동아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산에 등산로나 생태공원, 경작지 등을 마구잡이로 만들면 필요한 구조물도 생겨나
빗물
이 빠져나가지 못하는 문제 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지형을 철저하게 분석하고 우수관을 확장해야 한다. 박정우 학생의 100년에 한 번 오는 비에 대비하기 위해 세밀한 분석을 하는 것은 비용이 너무 많이 들지 ... ...
환경도 지키고 맛도 그만! 들풀의 재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많이 있다면 이야기는 달라져. 애기똥풀의 뿌리가 흙을 단단히 붙잡고 있기 때문에
빗물
에 씻겨 내려가지 않지. 애기똥풀뿐 아니라 망초, 꿀풀 같은 들풀도 이런 역할을 해. 친환경 잡초제 토끼풀들풀은 생명력이 강해. 아무리 뽑아도 없애기가 쉽지 않아. 이런 들풀이 자라면 다른 농작물이 잘 ... ...
적정기술, 36.5℃의 기술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주장하며 ‘적정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마실 물이 부족해 냇물이나
빗물
을 마셔야 한다면 적정기술은 비싼 화학약품이나 정수기를 들여놓는 대신 태양빛 자외선을 이용해 물속 박테리아를 제거한다. 태양빛을 직접 받는 곳에 금속판을 놓고, 물이 담긴 페트병을 금속판 위에 6시간 ... ...
앗! 내알이 어디갔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지구에서 사라진 줄 알았는데!이번 공룡엑스포에서는 깨끗한
빗물
을 이용해
빗물
벽천,
빗물
커튼 등을 만들었대. 환경이 쥐라기만큼 깨끗해져 공룡이 돌아 왔나 봐. 저 티라노사우루스의 이빨을 봐. 너무 무서워. 빨리 도망가자~!초식 공룡의 이빨중생대에는 날씨가 따뜻해지고 육지가 넓어지면서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피부 면적에서 사람이 흘리는 양의 5배나 된다. 경주를 마친 말의 몸은 땀으로 흠뻑 젖어
빗물
이 흘러내리듯 땀이 줄줄 흐른다.그럼에도 체온조절 능력은 사람이 한 수 위다. 사람은 말보다 작기 때문에 체중에 대한 표면적 비가 더 크고(사람은 35~40kg에 피부 표면 1m2인 반면 말은 90~100kg에 피부 표면 1m ... ...
지하수의 저주, 싱크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2007년 2월과 2010년 5월 과테말라 도심지를 4습격한 싱크홀은 허리케인이 쏟아 부은
빗물
이 화산재층을 함몰시켜 만든 사례다.우리나라에서도 싱크홀이 점점 자주 출현하고 있다. 근본 대책은 무분별한 도시개발의 중단뿐이다. 지하수는 결코 우리가 맘대로 빼내 쓸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싱크홀 ... ...
우산 펼치고 지구 띄우는 물방울 조각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떨어뜨린 것이다.➎ 우산을 쓴 아이(untitled)노란 우비를 입은 아이가 주홍색 우산을 쓰고
빗물
이 찰방거리는 거리를 걷고 있다. 물위에 주황 색소와 노랑 색소를 차례대로 한 방울씩 떨어뜨린 것이다.➏ 뒤집어진 우산!(Waiting For The Other Shoe)어디선가 빨간 공이 날아와 우산에 부딪혔다. 아이가 깜짝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