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만"(으)로 총 13,482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만화] 우주에서 명중! 레이저로 통신 성공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통신을 연구해 왔습니다. 레이저는 전파에 비해 폭이 매우 좁아 정확히 겨냥하기 어렵지만, 기존 우주 전파 통신보다 한 번에 10~100배 더 많은 자료를 보낼 수 있어요. 지구에서 계속 멀어지고 있는 프시케 탐사선은 앞으로도 레이저 교신을 시도할 예정이에요. 이번 시도는 지구에서 1600만 km 떨어진 ... ...
- AI, 예보에 도전장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 위성, 레이더, 지상, 고층 등의 관측 자료와 컴퓨터 수치예보모델 자료가 융합돼 만들어진 자료. 바람, 온도, 습도, 구름량 등의 기상 변수를 포함하며, 실제 날씨에 가장 가까운 자료로 여겨진다.● 초단기 예보 : 6시간 내의 예보를 10분마다 발표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이 자세 따라하면 똥이 나온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다리 방향으로 상체를 돌려 뒤를 바라본 뒤 고개를 앞뒤로 끄덕이는 자세였죠. 영상은 2600만 회가 넘는 조회수를 기록했습니다. 이 자세, 정말 변비에 효과가 있을까요? 자세를 직접 따라해 본 고려대구로병원 대장항문외과 강상희 교수는 “골반부터 무릎 위까지의 근육에 힘을 주니 복부에 힘이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일기를 써 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녹음해도 좋아요. 이렇게 다양한 콘텐츠를 넣으면 일기를 더 생생하고 풍부하게 만들 수 있어요. 둘째, 태그와 검색 기능을 활용해 보세요. 대부분의 노트 앱에는 태그나 키워드를 사용해 노트를 분류하고 쉽게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요. 그러면 특정 주제나 감정, 사건에 대한 일기를 빠르게 ... ...
- [숫자로 보는 뉴스] 쥐라기 공룡, 이빨 자국이 48개나!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됐어요. 초식 공룡 한 마리의 목뼈 화석에 이빨 자국이 48개나 남아 있기도 했지요. 그만큼 쥐라기 육식 공룡이 초식 공룡을 강하게 공격했다는 뜻이에요. 영국 퀸 메리 런던대학교의 데이비드 혼 박사는 “앞으로 화석을 더 연구하면 먼 옛날의 공룡들이 어떻게 행동했는지 더 자세히 파악할 수 있을 ... ...
- 나무로 만든 인공위성이 온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예측했다. “2024년 6월에 국내 최고층인 7층짜리 목조건축물(주요 구조부가 나무로 만들어진 건물)이 대전에 준공될 예정이에요. 목재는 바다 부표, 전지 분리막, 마스크의 필터, 인공 뼈 재료까지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재료입니다 ... ...
- 생성AI 2024 트렌드3 - 멀티모달・초거대・맞춤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맞춤형 생성 AI로 구현할 수 있는 서비스가 비단 광고뿐만은 아니다. 해외 빅테크 기업들은 우리 삶에 밀접한 플랫폼에 생성 AI를 추가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23년 9월 21일 미국 뉴욕 행사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출시를 알렸다. ... ...
- [시사기획] 카이스트에서 의전원을? 의사공학자 탄생할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택하는 이가 없다면 무의미하다. 즉 의사과학자가 되겠다고 결심하는 사람들이 많아져야만 한국의 의사과학자 양성이 본래의 목표와 계획대로 이뤄질 수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주치의였던 고 허갑범 연세대 의대 교수는 1998년 “의사과학자를 배출하기 위한 의대 개혁 및 학제의 개편이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연구자들은 여러 사안을 고려해 ‘어떤 연구가 더 훌륭한가’, ‘어떤 연구가 더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를 따져 최선의 선택을 내리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과학정책은 ‘과학을 돕는 과학’이라 볼 수도 있겠습니다. 다음 호에서는 과학정책이 어떤 연구에 예산을 지원할지 ... ...
- [이달의 책] 재난에 맞서는 과학: 오늘의 과학 탐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대해서는 친사회성을 높이지만 타자들에 대해서는 자발적으로 고약하게 굴도록 만든다.” 같은 문장은 예리해서 훨씬 재밌다. ‘자발적으로 고약하게’는 20년 넘게 개코원숭이와 동고동락한 영장류학자이자 인간 뇌를 혁신적으로 연구한 신경과학자인 새폴스키여서 가능한 표현이다. 인간의 이런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