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 인터뷰] 눈으로 안 봐도 간지럼은 전염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1호
옆에서 긁고 있는 푸푸를 보니, 나 과학마녀 일리도 자꾸만 몸이 근질근질한 거 같아. 간지러움도 전염이 되는 걸까? 너희는 누구니?안녕. 난 실험 쥐야! 혹시 옆에서 몸을 긁 ... 밝혔단다.●감광신경절세포 : 눈의 망막에 위치하며, 빛에서 얻은 전기적 신호를
뇌
로 전달하는 부위 ... ...
[4컷 만화] 절개 없이도 쥐의 머릿속을 뚜렷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9호
생명체를 관찰하는 기술에 적용해 현미경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며 “
뇌
신경과학을 포함해 다양한 정밀 측정이 필요한 산업 분야에 좋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그래프뉴스] “흑흑, 너무 기뻐!” 반려견 눈물의 비밀은?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9호
양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측했어 요. 옥시토신은 반려동물과 사람이 교감할 때 서로의
뇌
에서 나오는 호르몬이에요. 실제로 옥시토신이 든 액체를 강아지의 눈에 넣었더니 눈물의 양이 더 늘어났지요.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사람뿐 아니라 동물도 기쁨의 눈물을 흘린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 화가가 그려가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인공지능 기술이 작동하고 있어요.대표적인 기술이 바로 인공신경망입니다. 사람의
뇌
는 뉴런●으로 서로 연결돼 복잡하게 신호를 주고받으며 학습해요. 이런 방식을 모방해서 만든 알고리즘이 인공신경망이에요. 딥러닝은 인공신경망의 구조를 더욱 복잡하게 여러 층으로 만든 모델입니다. ... ...
[그래프 뉴스] 쫙~ 빨아들여서 찰싹! 문어 빨판 장갑 등장!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7호
빨판을 섬세하게 조절해 물속에서 물건을 집는다”며 “옥토 글로브의 실리콘 빨판에는
뇌
대신 전자 장치를 연결해 물건을 집도록 만들었다”고 설명했어요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유령의 정체를 알아냈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6호
떠올렸습니다. 이상하게 무거워 보였습니다. “역시 내 생각이 맞았어! 전자파로 사람의
뇌
를 조작해서 유령이 보이게 만든 걸 거야. 공장장님, 안전모 좀 잠시 줘보세요.”다만드러의 안전모를 살펴본 루띠가 말했습니다. “이건 초경량 아나파 플라스틱으로 만든 안전모야. 이걸론 전자파를 막을 ... ...
[가상 인터뷰] 아야! 곤충도 통증을 느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5호
곤충의
뇌
까지 전달돼 신경펩타이드가 분비되는 거라고 추측했어요. 신경펩타이드가
뇌
의 명령을 받아 분비되는 물질이기 때문이죠. 곤충이 신경펩타이드로 통증 조절을 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아냈고요. 연구에 참여한 이란 테헤란대학교 사제데 살락 연구원은 “식용 곤충으로 활용하거나 곤충을 ... ...
[만화 뉴스] 몸에 넣으면 고통이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5호
액체에서 기체로 변하면서 열을 흡수하면 이 장치가 감싸는 신경의 온도가 낮아져
뇌
까지 통증 신호가 이동하지 못해 고통을 못 느끼게 되죠. 연구에 참여한 존 로저스 교수는 “이 장치로 수술한 환자의 고통을 약물 없이 줄여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특집] 인류가 공통으로 좋아하는 향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뇌
가 반응했던 거죠. 다만, 우리가 냄새가 좋은지 안 좋은지를 인지하게 해주는 영역인 대
뇌
는 냄새가 들어온 후 공통적으로 0.6초 이후에 활성화되었어요. 즉, 우리는 향기인지 악취인지 알아차리기도 전에 악취에 먼저 반응한 거예요.DGIST 문제일 교수는 “썩은 냄새와 같은 악취는 생존과 밀접하게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여러 번 분리해 무게를 줄이기도 해요. 편도체(扁桃體, amygdala)편도체는 우리
뇌
에서 기억과 감정을 담당하는 부위인 해마 끝에 달린 작은 아몬드 모양의 조직입니다. 주로 불안과 공포 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공포는 위험을 피하려는 생존 본능과 직결된 감정이에요.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