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폭
나비
가로
면적
넓이
d라이브러리
"
너비
"(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6만 분의 1 정도밖에 안 되는 파장 500nm의 초록빛을 예로 들어보자. 이 경우 금속부분의
너비
는 50nm 정도여야 한다. 이 정도 수준으로 메타물질을 다루는 일이 과학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결코 아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투명망토를 옷으로 만들 만큼 큰 메타물질을 만들기는 쉽지 않다. 작은 조각을 ... ...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맞춰선 잎맥만을 가지지요. 그래서 옥수수 잎을 길이 방향으로 찢으면 쉽게 찢어지지만
너비
방향으로는 찢기가 어려워요.지금까지 살펴본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의 운명은 식물의 얼굴이라 할 수 있는 꽃에서 큰 차이를 나타냅니다. 쌍떡잎식물의 꽃잎개수는 4나 5의 배수예요. 4, 8장 또는 5, 1 ... ...
내 몸 안에 수학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정사각형으로도 된다. 사람의 키를 발바닥에서 정수리까지 잰 길이는 두 팔을 가로 벌린
너비
와 같기 때문이다.” 두 다리를 키의 $\frac{1}{4}$만큼 벌리고 양팔은 머리끝 높이로 벌려서 X자 모양으로 섰을 때 양 손과 발의 끝을 연결한 원의 중심은 배꼽이 된다. 차렷 자세로 양팔을 뻗어 T자 모양으로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때문에 미니 블랙홀을 직접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크레인 교수팀은 우주공간에
너비
250km의 태양전지판을 짓고 감마선 레이저로 미니 블랙홀을 만드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감마선은 전자기파 가운데 에너지가 가장 높다. 워낙 강력해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날 정도로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될 만하다.”정약전은 홍어의 크기와 형태적 특징을 비교적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다.
너비
가 6~7자라면 120~140cm 정도에 해당한다. 물고기치고는 지나치게 큰 것 같지만 지금도 흑산도 예리항에서는 이 정도 크기의 홍어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또 물감을 풀어놓은 듯 붉은 몸빛, 연잎처럼 넓적한 몸체,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대해 설명해줬다. 1991년 건조된 온누리호는 우리나라 최초의 해양탐사선으로 길이 63.8m,
너비
12m에 무게가 1422t이나 나간다. 항해속도는 14.5노트(시속 27km)다. 이 선장은 “온누리호는 배 아래 앞뒤로 작은 프로펠러가 있기 때문에 좌우로도 이동할 수 있고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도 있다”며 “최대 4 ... ...
제4회 청소년 표준올림피아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수 있다는 의견을 냈다.이외에도 신발을 살 때 오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발 길이와 볼
너비
뿐 아니라 발바닥의 모양을 그려 넣자든가 지역이나 버스회사, 정류소마다 다르게 생긴 버스 노선 안내도를 통일하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매운 음식을 고를 때 매운 정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 ...
3. 교통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8만km가 넘는 포장도로를 건설했다. 마차가 다니는 4m
너비
의 차도를 만들고, 양 옆으로 3m
너비
의 인도를 함께 만들었다. 차도 옆에 경계석을 세우고 같은 높이의 인도를 만들어 사람들을 보호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1923년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경찰청의 지시로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시작했다는 ... ...
신 세계 7대 자연경관 후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계곡’이 있다.또 브라질에 있는 이구아수 폭포는 세계에서 물줄기가 가장 많은 폭포다.
너비
는 4.5km, 물줄기가 떨어지는 평균거리는 70m나 된다. 물이 떨어지는 소리가 무려 20km 밖에서도 들릴 정도 라고 한다. 이 두 폭포 모두 최종 후보에 당당히 올랐다.산호가 모여 있는 바다는 무슨 색?필리핀 ... ...
화성 표면의 다각형은 물의 증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다각형의 지름은 70~140m였고 250m나 되는 것도 있었습니다. 다각형 사이의 갈라진 틈새는
너비
가 1~10m였습니다. 매리 박사는 용암과 같이 뜨거운 액체가 식을 때 나타나는 압력 때문에 생기는 틈새의 길이와 다각형의 크기를 예측하는 수학모델을 만든 적이 있습니다. 이 모델에 따르면 나올 수 있는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