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너비"(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인쇄기로 찍을 수 있는 가장 미세한 선의 너비는 약 25μm(1μm=100만 분의 1m)에요. 10μm 너비의 십자가를 인쇄하는 기술은 한국조폐공사만 보유한 고급 인쇄술이죠.”히든QR코드를 화장품이나 주류 등의 용기 표면에 인쇄하면 가짜 제품이 유통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더불어 소비자들은 상품의 생산, ...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수학동아 l2014년 11호
- 교수는 첫인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얼굴의 특성을 65가지로 추려냈다. 머리의 길이와 너비, 눈썹의 색과 굴곡, 코가 휘어진 정도, 면도 상태 등을 세세하게 고려했다. 그리고 1000명의 얼굴 사진을 수집한 뒤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통해 앞서 나온 65가지의 특성을 살린 그림으로 변환했다. 30명의 실험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어떨까. 만약 파장 500nm의 초록빛에서 물체를 투명하게 숨기려면, 메타물질 단위 구조의 너비는 125nm 정도여야 한다. 이 정도로 작은 나노 구조를 연결해 사람만큼 큰 망토를 만든다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게다가 완전히 투명하지 않은 것도 풀어야 할 숙제다. 메타물질은 보통 빛을 심하게 ... ...
- Part 1. 오늘 밤에도 동대문에 은빛 우주선이 내려온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라하 비치는 페르시아만 700m 밖, 수심 8m에 200억L의 모래를 부어서 만들었으며 길이 11km, 너비 1km다.‘세계 최초의 형태’로 랜드마크를 지어야했던 레바논 건축가 마르완 자게이브는 비행기에서 조개 모양 건물의 영감을 떠올렸다고 한다. 조개는 아부다비에게 문화적으로 매우 친숙한 소재다. ... ...
- 투명망토로 지진파 돌려보낸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측정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구덩이 크기를 계산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깊이 5m, 너비 0.32m 크기의 구덩이를 1.5m 간격으로 촘촘히 파냈다. 여기에 인공 지진파를 일으켰더니 지진파의 힘이 한층 약해졌다.연구팀은 “지진파를 다른 방향으로 비켜 가게 하거나 다른 에너지로 변환하는 데 응용할 ...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것처럼 보이수학동아는 점으로, 차원의 개념에 따라 정의하면 0차원이 된다. 점은 높이와 너비는 물론 길이도 없기 때문이다.당시 교회는 원근법에 0이 숨어 있다는 사실을 모른 채 사용한 것이었다. 결국 신이 창조한 것이 아니라고 인정하지 않았던 0이 종교 미술을 통해 퍼지게 되는 모순적인 ... ...
- 야구 기록, 그림만 보면 다 안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신용운 선수는 얼굴 길이가 짧고, 승리한 수가 많은 유먼과 배영수, 세든 선수의 얼굴은 너비가 넓다.눈치 빠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대체로 마무리 투수의 얼굴은 크기가 작고 이목구비도 오밀조밀하다. 반대로 선발 투수의 얼굴은 크기가 크고, 이목구비가 큼직하다. 이는 선발 투수와 마무리 ... ...
- 3차원 - 단군은 혹등고래 타고 동해 건넜을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그 중 하나다.국보 제258호로 지정된 이 암각화는 그림이 집중적으로 새겨진 암면의 너비가 약 10m고 높이는 약 3m다. 국립문화재연구소와 울산대학교 박물관이 탁본과 사진촬영 조사를 해 모두 296점의 그림을 분류했다. 여기에는 호랑이, 표범, 사슴, 바다거북, 상어, 물고기 등 다양한 동물을 표현한 ... ...
- [화보] 어린왕자가 사랑한 사막의 비밀수학동아 l2013년 06호
- 낮을수록 빨리 움직이는 것이다. 작은 바르한은 하루에 5cm 정도 이동하지만, 높이 30m에 너비 40m 정도의 큰 바르한은 몇 년간의 관측을 통해서만 그 이동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사막에서 찾은 또다른 자연의 패턴중남미 사막 지역을 걷다 보면 멕시코를 연상시키는 사구아로 선인장을 볼 수 있다. ... ...
- 들리는가, 용암이 울부짖는 소리가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재거박물관이 나타났다. 킬라우에아 화산의 정상 풍경을 조망할 수 있는 곳이다. 4km×3.2km 너비의 칼데라가 펼쳐지고 칼데라 벽면의 높이는 120m 가량이다. 칼데라의 서쪽 편에 할레마우마우 분화구가 있다. 이 분화구는 칼데라 내부에서 현재 가장 높은 활동성을 보이는 곳이다.큰 기대를 가지고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