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개
주둥이
물꼭지
꼭지딴
손잡이
d라이브러리
"
꼭지
"(으)로 총 169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밝은 것들은 M10, M12, 그리고 M62 등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꼭지
망원경활용법(초여름의 구상성단)에서 자세히 다룬다.성단밤하늘에 보이는 천체들 중에는 간혹 구름처럼 흐릿하게 보이는 대상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 성운(nobula)과 성단(cluster)으로 불리고 있는데 이 두가지는 ... ...
전기가 「콸콸」쏟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전기도 2백20V 전압이 같은 조건이라면 훨씬 많은 양의 전기를 공급해준다. 우리가 수도
꼭지
를 틀었을 때 물이 힘차게 쏟아지는 경우도 있지만 힘없이 '잴잴' 흐르는 경우도 있다. 수압이 높으면 같은 수도관이라도 물이 콸콸 쏟아지며, 수압이 낮으면 세면대를 채우는데도 오랜 시간이 걸린다. 수압을 ... ...
2001년 5월1일의 일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들었다. 딸애한테 미안했다. 며칠 물에 신경을 곤두세웠던 탓이었을까. 연주는 수도
꼭지
를 틀어 딸아이가 하던 설거지를 마저 하고 생수를 부어 그릇들을 한 번 헹구었다.쌀을 안쳐놓고 순이 방을 쳐다보았다. 순이는 무얼하는지 방은 조용하다. 아까 심하게 군 것이 가슴을 아프게 했다. 몇번 ... ...
호랑이와 악어의 사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새끼들은 태어나기가 무섭게 젖
꼭지
를 찾아 다투지만 생후 1,2일 안에 각각 제가 빠는 젖
꼭지
가 정해진다. 이 배정은 젖을 빠는 기간내내 바뀌지 않는다.돼지는 개보다 후각이 더 발달돼 있어 땅속에 파묻혀 있는 먹이도 찾을 수 있다. 그래서 마약이나 폭발물을 찾아내는데 돼지를 이용하기도 한다 ... ...
사과는 수직으로 쌓아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상자에 넣을 때 고갱이가 옆으로 가도록 쌓는다. 이는 위층에 쌓이는 사과가 아래 쪽의
꼭지
에 찔려 흠집이 나고 상하는 것을 막기위해 생겨난 전래의 민간지식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고갱이를 수직방향으로 쌓는 것이 사과를 덜 상하게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영국 리딩대학의 알리 칸과 ... ...
무더위의 독기를 다스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濕熱)로 생기는 병과 기허(氣虛)한 사람은 더욱 꺼려야 한다"라고 기록돼 있다.또한 "참외
꼭지
는 전신부종을 치료하는데 쓰이며, 충독(蟲毒)과 황달 등 모든 과독(果毒)을 다스려 토하게 하는 주약이다"라고 기록돼 있어 맛과 더불어 갈증해소 해독 등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과다한 ... ...
「흥수아이」를 통해 살펴본 한반도의 구석기 인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길었으며 평양부근의 만달인 어른뼈의 잰값과 같았다. 튼튼한 아래턱과 잘 발달된 턱
꼭지
또한 흥수아이뼈의 특징. 아래턱의 여러 특징들은 중국 주구점에서 나온 어린 '곧선사람'(Homoerectus)과 비슷했다. 팔·다리 등 긴뼈들의 잰값은 인디언아이들의 3.5세 정도에 속했는데 아마도 긴뼈들의 발육이 ... ...
오랜 전쟁에 시달리다 통일된 나라 베트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한사람에게 꽃다발을 걸어주며 환대했다.이 나라는 지금 특급호텔에도 카펫이 없고 수도
꼭지
에서는 물이 새고 있다. 거리에는 낡은 미제 군용트럭이 달리고 있고 암시장에는 부족한 생필품을 구하려는 인파가 몰리고 있다.그러나 이나라 사람들의 진지한 태도와 근면한 생활모습은 그들의 장래가 ... ...
아직도 널리 쓰이는 민속요법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발라주면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여덟번째로 부종 특히 산후부종에 ‘늙은 호박의
꼭지
를 따고 속을 긁어 낸 후 그 속에 꿀을 넣고 폭 고아서 그 물을 마신다’가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호박은 감온무독(甘溫無毒)하며 이뇨작용이있는데 늙은 호박은 이뇨작용이 보다 강하여 부종, 특히 ... ...
비행류(鼻行類)가 태평양의 섬에 살았었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길어진다. 갖난 새끼는 몸길이 정도밖에 안된다. 그때문에 가까이에 있는 꽃나무의 꽃
꼭지
에 올라가 꽃봉오리는 꺾어버리고 그 자리에서 코를 마치 꽃봉오리처럼 벌리고 먹이를 잡는다. 꼬리 끝은 각질화하여 있어 길게 뻗어 흙에 닿으면 요추의 회전운동으로 땅속 15cm정도까지 파고 든다.수아비스 ... ...
이전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