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꼭지"(으)로 총 1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카오스축구가 월드컵정상에 오른다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일어나는 현상들이 내부에 숨겨진 질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바로 카오스이론이다. 수도꼭지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 기상 현상, 나아가 빅뱅의 대혼란으로부터 은하계, 별, 행성이 만들어지는 것에 이르기까지 모든 시스템의 행태는 카오스이론으로 설명된다.축구는 질서와 혼란의 ... ...
- 눈,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안구는 눈속 액체의 순환작용으로 항상 일정한 압력(15-21mmHg)을 유지하고 있다.즉 수도꼭지에서 적당한 양의 물이 나오고 그만큼의 물이 하수구로 빠져나가게 되는 이치와 같다.그런데 녹내장이 생기면 안압이 상승하게 된다.하수구의 입구가 다소 막힌 상태로 물이 밖으로 적당히 유출되지 못하기 ... ...
- 안드로메다과학동아 l1995년 10호
- 사각형의 북동쪽 끝으로부터 시작된다. 페가수스 사각형과 안드로메다가 만나는 꼭지, 그 별의 이름은 알페라츠(Alpheratz)이며 그 뜻은 '말의 배꼽'이다. 일국의 공주님에게 '말의 배꼽'이라니? 그것은 이 별이 한때 페가수스자리에 속했기 때문.그럼 페가수스 사각형과 '말 배꼽'부터 찾아보는 것이 ... ...
- 물과 건강 7가지 궁금증 풀이과학동아 l1995년 08호
- 대부분 활성탄이나 오존을 이용하고 있다.한편 정수처리된 물이라 할지라도 가정의 수도꼭지를 통해 사용되기까지에는 많은 오염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금방 염소처리를 거친 물에는 세균의 성장이 어느 정도 막아지지만, 대부분 수돗물 공급관의 길이가 수㎞ 이상이 되어 염소의 잔류성은 곧 ... ...
- 밤하늘의 보석상자 궁수자리 은하수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있다. M22는 헤르쿨레스자리 M13만큼이나 밝고 큰 성단인데, 궁수자리 람다별인 주전자 꼭지에서 북동쪽으로 2.5˚만큼 떨어져 있다. 10cm 망원경으로는 성단을 이루는 별들이 조금 분해되어 보인다.얼마전 허블우주망원경(HST)에서 촬영한 베스타(Vesta)의 모습이 공개되었다. 베스타는 소행성 가운데 가장 ... ...
- 초신성 폭발 메커니즘 밝힌다과학동아 l1995년 06호
- 1백배 이상을 가진 거대한 열에너지 저장고가 된다. 문제는 그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는 꼭지를 다는 것이다."무거운 별들이 죽어가는 모습을 모의실험했는데 연구자들은 1초에 수백만개의 계산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는 강력한 컴퓨터를 사용했다. 그들은 ${10}^{-6}$초 동안에 일어나는 변화를 ... ...
- 화학- 달콤한 솜사탕 내 손으로과학동아 l1995년 04호
- 부분의 큰 구멍으로 설탕을 2스푼 정도 넣습니다. 모터부분을 잡고 스냅의 나머지 한쪽 꼭지가 건전지에 닿게 하면 캔은 빠른 속도로 회전합니다. 램프에 불을 붙인 후 캔의 밑바닥을 갖다대면 작은 구멍들로부터 하얀 솜사탕이 뿜어져 나오기 시작하지요. 이때 나무젓가락을 빙글빙글 돌리면서 ... ...
- 보고 듣고 냄새 맡는 바이오 컴퓨터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1995년 01호
- gate, G)의 전압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증폭기능이 생긴다. 수도관에 흐르는 물의 양이 수도꼭지에 의해 제어되는 것과 같다.생명체 내에서는 신경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안과 밖의 이온 농도 차이에 의한 전압이 발생하는데, 이 전압차에 의해 신경세포막에 형성되어 있는 나트륨(Na) 칼륨(K) 등 이온의 ... ...
- 남·북한 전략무기 정밀분석과학동아 l1994년 05호
- 목표물이 들어왔을 때 근접뇌관(목표물에 가까이 갔을 때 폭발하는)이 작용하여 미사일 꼭지에 장치된 탄두를 폭발시켜 그 파편이 날아가 목표물을 격추시키게 된다. 국내에는 지난4월 19일 첫 배치가 이루어졌다.● 미스트랄 미사일지난 92년 프랑스의 미스트랄 미사일이 국내에 도입됐다. 미스트랄 ... ...
-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이는 한 껍질안에 두개 세개 네개의 낟알이 들어있는 경우다.이런 비슷한 현상은 한 꼭지에 여러개의 암술을 달고 있는 오이 토마토 옥수수 등에서 관찰되고 있다. 사람에게도 젖가슴이 두개 이상인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들은 특정기관을 만드는 시원세포가 과다분열해 일어난 것으로 추정할 수 ... ...
이전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