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레밍 왼손법칙이 만들어내는 무선 충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은 2000년대 초반 선진국에서 이뤄졌다. 우주에서
태양
광을 받고 무선으로 지상에서 전력을 받는 실험이다. 천문학적 비용 때문에 좌초됐다. 휴대전화의 경우 2007년 개발됐지만 당시 대세가 슬림화였기 때문에 배제됐다.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까 2007년 미국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깊이 측정기로 블럭의 높이를 인식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태양
빛과 건물의 그림자가 어떻게 바뀌는지를 보여준다. 도시 공간을 설계할 때 건물이 어떻게 서로 일조권이나 미적 요소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할 수 있다.독일 콘스탄츠대에 재학 중인 학생은 키넥트로 ... ...
삼한사온은 신기루?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기단은 더 차가워진다. 어마어마한 면적을 자랑하는 바이칼 호수의 얼음과 주변 눈이
태양
에너지를 반사하기 때문이다. 빛을 수직으로 비추었을 경우 빛을 반사하는 비율을 정상반사율이라 하는데, 눈의 정상반사율은 1.0에 가깝다.밤이 되면 지표면에서 반사된 에너지가 상층에 모이고 지표면이 ... ...
2012 빛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꽃을 피우거나 열매를 맺는 식물은 조명 빛만으로는 제대로 자랄 수 없지요. 실제로
태양
이 내는 빛의 양은 20㎝ 거리에 있는 조명 빛의 양보다 일곱 배 이상 많답니다."이혜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농업공학부)식물은 빨강, 파랑 빛을 좋아한다?식물공장에서 식물에 쏘이는 빛의 색을 보면 ... ...
사람이 살 수 있는 ‘제2의 지구’를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지구처럼 흙과 바위가 많을 뿐 아니라 엄청나게 큰 바다가 액체 상태로 있거든요. 또
태양
같은 별 주위를 일정한 궤도로 돌고 있고요. 한 바퀴를 도는 공전주기도 지구의 365일과 비슷한 290일이에요. 지구 지름의 2.4배에 달하지만, 온도는 생명체가 살기 적당한 섭씨 22도 정도랍니다.그 동안 지구와 ... ...
2012년 내가 제일 잘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스타 대결은 정말 치열하겠군요!나로 호의 성공적인 발사처럼 기대되는 일도 있지만,
태양
폭풍처럼 일어나지 않았으면 하는 일도 있습니다. 2012년을 장식할 화제의 과학 뉴스 주인공은 누가 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한 해 동안 잘 지켜 봐 주세요~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겹치는 소행성이 대표적이다. 천문학자들은 지구 궤도와 아주 가까이(0.05천문단위 이하.
태양
과 지구 사이 평균 거리의 5%로 약 748만km) 접근해 지나는 소행성의 목록을 따로 만들었다. 이들 중 비교적 큰(지름 150m 이상) 소행성은 충돌 시 지표면에 화산 폭발이나 지진해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이들을 ... ...
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태양
계 최대의 산그런데 내가 좋아하는 곳은 따로 있어. 바로 올림푸스 몬즈라는 산이야.
태양
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높이가 무려 27km나 된단다. 지름이 500km 정도로 넓어서 지구에 가져다 놓으면 우리 부모님 고향이었던 한국을 통째로 덮을 수 있다고 하더라고. 올림푸스 몬즈는 순상화산이야. ... ...
햇볕에 널기만 해도 깨끗해지는 옷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묻은 때와 같은 유기물을 분해해 제거한다. 이산화티타늄만을 이용한 자가 세척 섬유는
태양
광 중 자외선을 통해서만 세척 효과가 있어서 효과가 충분하지 않았다. 반면 이번에 발표된 섬유는 섬유에 질소와 이산화티타늄 화합물 나노입자를 입히고 요오드화은 나노 입자를 다시 입혀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1×10-27cm 벗어난 정도다. 이는 전자를 지구 크기로 부풀려서는 감을 잡을 수 없다.
태양
계만큼 키워야 한다. 그래도 머리카락 한 올 두께만큼 울퉁불퉁할 정도로 둥글다. 인간이 걸어온 무모한 도전에 자연은 아주 작은 전자로 크게 한 방 날려버렸다.전자의 모양은 영국 런던 임페리얼대의 물리학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