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레밍 왼손법칙이 만들어내는 무선 충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은 2000년대 초반 선진국에서 이뤄졌다. 우주에서
태양
광을 받고 무선으로 지상에서 전력을 받는 실험이다. 천문학적 비용 때문에 좌초됐다. 휴대전화의 경우 2007년 개발됐지만 당시 대세가 슬림화였기 때문에 배제됐다.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까 2007년 미국 ... ...
Fly High! 날아올라 볼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지역을 대류권이라고 합니다. 높은 산 정상에 왜 만년설이 있는지 알겠죠?그 위 성층권은
태양
에서 나오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오존층이 있어서 올라갈수록 온도가 높아집니다. 중간권은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집니다. 거의 영하 90°C까지 떨어져요. 그리고 열권은 온도가 다시 올라가죠. 열권을 ... ...
유리로 다시 태어난 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SARS)’도 바이러스 때문이에요. ‘사스-코로나’라고 부르는 이 바이러스는
태양
표면에서 대기가 요동치는 현상인 ‘코로나’와 닮았다고 해서 이름 붙었어요. 공기 중에 떠다니는 고체나 액체에 붙어 다른 사람에게 옮겨지기 때문에 순식간에 수많은 사람들을 감염시킬 수 있답니다. 동물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겹치는 소행성이 대표적이다. 천문학자들은 지구 궤도와 아주 가까이(0.05천문단위 이하.
태양
과 지구 사이 평균 거리의 5%로 약 748만km) 접근해 지나는 소행성의 목록을 따로 만들었다. 이들 중 비교적 큰(지름 150m 이상) 소행성은 충돌 시 지표면에 화산 폭발이나 지진해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이들을 ... ...
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태양
계 최대의 산그런데 내가 좋아하는 곳은 따로 있어. 바로 올림푸스 몬즈라는 산이야.
태양
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높이가 무려 27km나 된단다. 지름이 500km 정도로 넓어서 지구에 가져다 놓으면 우리 부모님 고향이었던 한국을 통째로 덮을 수 있다고 하더라고. 올림푸스 몬즈는 순상화산이야. ... ...
우주에는 ‘해왕성’이 가장 많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우리
태양
계의 순서다. 우리
태양
계를 제외한 우주의 다른
태양
계 모습은 이와 다르다는 사실이 최근에 밝혀졌다.NASA는 외부 항성계에 존재하는 행성 중 절반이 해왕성 크기의 행성들이라고 지난해 12월 5일 케플러 과학 컨퍼런스에서 발표했다. 2009년 3월에 발사된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지구 주위를 ... ...
오로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훔쳐본 느낌이다.오로라는 계절에 상관없다. 낮과 밤도 가리지 않는다. 단지 낮에는
태양
이 너무 밝아서 드러나지 않을 뿐이다. 매우 드물지만 낮에 희미하게 보일 정도로 매우 밝은 오로라가 생길 때도 있다. 그래도 오로라 관측에 겨울밤이 좋은 것은 오로라를 볼 수 있는 시간이 길어지기 ... ...
햇볕에 널기만 해도 깨끗해지는 옷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묻은 때와 같은 유기물을 분해해 제거한다. 이산화티타늄만을 이용한 자가 세척 섬유는
태양
광 중 자외선을 통해서만 세척 효과가 있어서 효과가 충분하지 않았다. 반면 이번에 발표된 섬유는 섬유에 질소와 이산화티타늄 화합물 나노입자를 입히고 요오드화은 나노 입자를 다시 입혀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1×10-27cm 벗어난 정도다. 이는 전자를 지구 크기로 부풀려서는 감을 잡을 수 없다.
태양
계만큼 키워야 한다. 그래도 머리카락 한 올 두께만큼 울퉁불퉁할 정도로 둥글다. 인간이 걸어온 무모한 도전에 자연은 아주 작은 전자로 크게 한 방 날려버렸다.전자의 모양은 영국 런던 임페리얼대의 물리학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감시하는 연구가 한창이다. 또 적조를 먼 거리에서 측정해 조기에 발견하는 기술과
태양
전지의 효율을 개선하는 방법도 개발 중이다.기술뿐 아니라 생활에 필요한 물품도 개발한다. 사소한 생활용품부터 실험기기까지, 그 종류는 무궁무진하다. 최근에는 실시간으로 세균의 수를 셀 수 있는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