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행성 많아 외계인 발견 확률 높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태양
처럼 빛을 내는 항성이 1000억 개가 넘어요. 1994년까지만 해도 행성이 있는 항성은
태양
외에는 발견하지 못했어요. 하지만 우주 과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수많은 행성을 발견하고 있어요. 연구팀은 먼 항성에서 지구로 오는 빛이 중력 때문에 휘는 ‘미세중력렌즈’ 현상을 주로 사용해 행성의 ... ...
[hot science] 그 위성은 왜 죽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중간쯤이다.그렇다면 토성에 큰 중력이 작용하게 된 원인은 뭘까. 카눕 박사는 45억 년 전
태양
계가 형성됐을 때 토성과 위성 사이에 존재했던 수소기체 소용돌이를 지목했다. 이 소용돌이는 1만 년 동안 계속 여러 위성을 토성 쪽으로 잡아당겼다. 위성들은 궤도가 점점 작아졌고 토성의 중력을 더 ... ...
유리로 다시 태어난 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SARS)’도 바이러스 때문이에요. ‘사스-코로나’라고 부르는 이 바이러스는
태양
표면에서 대기가 요동치는 현상인 ‘코로나’와 닮았다고 해서 이름 붙었어요. 공기 중에 떠다니는 고체나 액체에 붙어 다른 사람에게 옮겨지기 때문에 순식간에 수많은 사람들을 감염시킬 수 있답니다. 동물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우리나라가 이끈다감마선폭발(GRB)은 빅뱅 이후 우주에서 일어나는 가장 강력한 폭발로
태양
이 수십 억 년에 걸쳐 방출하는 에너지를 단지 수 초에서 수십 분 동안에 분출해 버리는 우주 최대의 섬광 현상이다. 감마선폭발은 초기우주 연구를 비롯해 암흑에너지, 암흑물질 규명 등 천체물리 분야의 ... ...
중력을 거부하는 글라이더, 모스 글라이더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생겼다고 해서 이름이 ‘모스 글라이더(moth glider)’다. 건전지와 모터가 달린 것도,
태양
광전지가 달린 것도 아니다. 아무런 동력이 없는데도 떨어지지 않는다. 단, 계속 날려면 한 가지 조건이 있다. 날고 있는 모스글라이더 아래 평평한 판을 대 줘야 한다.모스 글라이더가 중력을 거부하고 계속 날 ... ...
Fly High! 날아올라 볼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지역을 대류권이라고 합니다. 높은 산 정상에 왜 만년설이 있는지 알겠죠?그 위 성층권은
태양
에서 나오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오존층이 있어서 올라갈수록 온도가 높아집니다. 중간권은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집니다. 거의 영하 90°C까지 떨어져요. 그리고 열권은 온도가 다시 올라가죠. 열권을 ... ...
Intro. 우주의 불꽃축제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보이지 않지만 그 에너지는 어마어마하다. 불과 수 초에서 수 분 사이에 내뿜은 에너지가
태양
이 삶을 다할 때까지 내놓는 에너지보다 훨씬 크기 때문이다. 감마선폭발로 불리는 이 현상은 1960년대 말 처음 관측된 이후 1990년대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특히 2004년 감마선폭발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시간이 2초가 넘는 경우다. 전체 감마선폭발의 70%가 해당된다. 긴 감마선폭발은 질량이
태양
의 100배정도인 큰 별이 중력을 못 이겨 블랙홀로 붕괴하는 과정에서 대규모 초신성폭발을 하며(이를 극초신성(hypernova)이라고 부른다) 동시에 천체 회전축의 방향으로 감마선을 포함한 제트를 분출한다. 후광 ... ...
우주에 흔한 게 행성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별과 가까운 거리에서 공전하는 행성을 잘 찾는다. 이 방법에 따르면 우리은하에서
태양
과 비슷한 별의 17~30%가 행성을 갖는다.유럽남반구천문대(ESO)와 유럽, 호주 등지의 과학자가 참여한 공동연구팀은 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해 행성을 찾는 방법에 주목했다. 지구에서 볼 때 별 두 개가 정확히 ... ...
페름기 대멸종 시베리아 화산 때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페름기 대멸종의 직접적인 원인일 가능성이 더욱 커지게 됐다. 대기 중 유황 입자는
태양
열을 우주 공간으로 반사하며 지구를 냉각시킨다. 염소 등 할로겐으로 통칭되는 비금속 화학물질도 성층권의 오존층을 심각히 훼손했을 가능성이 크다. 성층권에 도달한 할로겐 물질은 기온 변화와 산성비를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