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대한민국 1호 큐브샛 ‘시네마’ 올해 일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워낙 뛰어나 스타인을 1000개 이상 연결해 하나의 거대한 검출기로 만들면 달이나
태양
탐사 위성용 탑재체로 손색이 없다는 것이다.NASA의 달 탐사를 주관하는 에임스연구센터는 시네마와 유사한 큐브샛 2~3기를 우주선에 실어 달 궤도에 진입시킨 뒤 달 상공에서 큐브샛을 떨어뜨려 달의 자기장을 ... ...
태양
과 ‘맞짱 뜬’ 혜성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열을 받은 뒤에도 혜성에 얼음이 남아 있다는 사실에도 눈길이 갔다. 필자와 같은
태양
계 연구자들은 혜성 탐사를 통해 표면의 모습을 상세히 관찰하고 특성을 깊이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SDO가 관측한 이번 결과는 새로운 수수께끼를 던져주는 것 같다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우리나라가 이끈다감마선폭발(GRB)은 빅뱅 이후 우주에서 일어나는 가장 강력한 폭발로
태양
이 수십 억 년에 걸쳐 방출하는 에너지를 단지 수 초에서 수십 분 동안에 분출해 버리는 우주 최대의 섬광 현상이다. 감마선폭발은 초기우주 연구를 비롯해 암흑에너지, 암흑물질 규명 등 천체물리 분야의 ... ...
Intro. 우주의 불꽃축제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보이지 않지만 그 에너지는 어마어마하다. 불과 수 초에서 수 분 사이에 내뿜은 에너지가
태양
이 삶을 다할 때까지 내놓는 에너지보다 훨씬 크기 때문이다. 감마선폭발로 불리는 이 현상은 1960년대 말 처음 관측된 이후 1990년대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특히 2004년 감마선폭발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시간이 2초가 넘는 경우다. 전체 감마선폭발의 70%가 해당된다. 긴 감마선폭발은 질량이
태양
의 100배정도인 큰 별이 중력을 못 이겨 블랙홀로 붕괴하는 과정에서 대규모 초신성폭발을 하며(이를 극초신성(hypernova)이라고 부른다) 동시에 천체 회전축의 방향으로 감마선을 포함한 제트를 분출한다. 후광 ... ...
중력을 거부하는 글라이더, 모스 글라이더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생겼다고 해서 이름이 ‘모스 글라이더(moth glider)’다. 건전지와 모터가 달린 것도,
태양
광전지가 달린 것도 아니다. 아무런 동력이 없는데도 떨어지지 않는다. 단, 계속 날려면 한 가지 조건이 있다. 날고 있는 모스글라이더 아래 평평한 판을 대 줘야 한다.모스 글라이더가 중력을 거부하고 계속 날 ... ...
플레밍 왼손법칙이 만들어내는 무선 충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은 2000년대 초반 선진국에서 이뤄졌다. 우주에서
태양
광을 받고 무선으로 지상에서 전력을 받는 실험이다. 천문학적 비용 때문에 좌초됐다. 휴대전화의 경우 2007년 개발됐지만 당시 대세가 슬림화였기 때문에 배제됐다.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까 2007년 미국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깊이 측정기로 블럭의 높이를 인식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태양
빛과 건물의 그림자가 어떻게 바뀌는지를 보여준다. 도시 공간을 설계할 때 건물이 어떻게 서로 일조권이나 미적 요소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할 수 있다.독일 콘스탄츠대에 재학 중인 학생은 키넥트로 ... ...
우주에 흔한 게 행성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별과 가까운 거리에서 공전하는 행성을 잘 찾는다. 이 방법에 따르면 우리은하에서
태양
과 비슷한 별의 17~30%가 행성을 갖는다.유럽남반구천문대(ESO)와 유럽, 호주 등지의 과학자가 참여한 공동연구팀은 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해 행성을 찾는 방법에 주목했다. 지구에서 볼 때 별 두 개가 정확히 ... ...
페름기 대멸종 시베리아 화산 때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페름기 대멸종의 직접적인 원인일 가능성이 더욱 커지게 됐다. 대기 중 유황 입자는
태양
열을 우주 공간으로 반사하며 지구를 냉각시킨다. 염소 등 할로겐으로 통칭되는 비금속 화학물질도 성층권의 오존층을 심각히 훼손했을 가능성이 크다. 성층권에 도달한 할로겐 물질은 기온 변화와 산성비를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