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동"(으)로 총 1,7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영 능숙한 어린이도 내이 기능장해로 익사과학동아 l1988년 08호
- 중이(中耳·Tympanum·고실과 이관으로 이루어진 청각기관의 하나. 외이로부터 오는 소리의 진동을 적당한 강도로 바꾸어 이것을 내이에 전달함)의 점막등에 출현이 있음을 확인했다.그결과 연구진은 익사의 원인을 다음과 같이 판단했다.먼저 콧구멍으로 들어간 물이 이관(耳管·eustachian tube)을 통하여 ... ...
- 컴퓨터에세이② 인공지능과 바벨탑과학동아 l1988년 08호
- 운동을 하고 있다) 동일한 진동수를 가질경우 그틈사이에 끼어들어 그 분자들의 진동에너지를 증가 시키는 방향으로 흡수되며, 그렇지 못한 빛 알갱이들은 전부 반사된다. 이 반사된 빛은 눈의 수정체를 거쳐 시홍 세포의 분자 구조체에, 파장에 따라 다른 전자에너지를 전달시켜 주며 이 작은 ... ...
- 컴퓨터와 인간두뇌 뉴런컴퓨터 가능한가과학동아 l1988년 08호
- 본 사람들은 다정한 어머니의 모습이나 목소리를, 눈의 망막에 맺힌 상이나 고막의 진동으로 부터 구분해 내는 것과 같은 일상적이며 간단한 지각현상들 마저도 쉽게 설명할 수 없는 복잡한 정보처리의 산물이라는 것을 곧 깨닫게 된다.눈의 망막에 비쳐진 사물의 영상은 빛의 얼룩에 불과하다. ... ...
- 특히 아름답고 희귀한 왕오색나비와 홍점알락나비과학동아 l1988년 07호
- 把握器)를 크게 벌리면서 서서히 암컷있는쪽으로 접근하게 된다. 암컷은 날개를 조금씩 진동시키면서 결국 수컷이 암컷의 뒷쪽으로 돌아서 복부의 끄트머리에 접하고 갈구리모양의 구상기(鉤狀器)를 걸어서 파악기(把握器)로 강하게 암컷의 복부에 밀면 교미가 성립된다.교미시간은 이른아침 ... ...
- 컴퓨터에세이① 인공지능은 바벨탑인가과학동아 l1988년 07호
- 모든것이 애널로그로 구성된다. 즉 전기적인 연결과 끊음뿐이 아닌 전기 신호의 크기, 진동수가 시시각각으로 모두 틀리게 마련이다. 이것이 해석되어지고 기계가 이해하려면 모든 디지틀 즉 전기의 연결 혹은 끊음 상태로의 변환이 필요하며 거꾸로 기계가 주어진 일을 모두 마치고 그 결과를 ... ...
- 비행기추락·컴퓨터교란 하이테크 시대의 골치거리, 전자스모그과학동아 l1988년 06호
- 일치 펄스(화면을 안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진동자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포함되어 있지 않은 펄스를 발생시키는 일은 전문가에게는 간단한 작업에 불과하다. 이 방법으로써 손쉽게 멀리 떨어진 컴퓨터의 데이타를 도청장치에서 화상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 ...
- 빛의 오늘과 내일 제6세대 광컴퓨터과학동아 l1988년 06호
- 따르면 진입하는 무선신호는 결정을 진동시키는 변환기(transducer)에 영향을 미친다. 그 진동은 물질을 통과하면서 빛과 결합하거나 빛을 산란시키면서 그 결정의 밀도와 굴절률을 변화시킨다. 렌즈는 무선신호의 스펙트럼이 보여주는 형태를 만들어내기 위해, 결정으로부터 나오는 빛에 촛점을 ... ...
- 달리는 컴퓨터―일본의 첨단 자동차 카 센서의 활용, 어느 정도인가과학동아 l1988년 06호
- 채택되어 있다. 이것은 압전소자(圧電素子·piezo-electric de-vice)를 이용한 것으로 빗방울의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보내 빗방울의 에너지를 판정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오토라이트도 있다. 헤드라이트스위치를 오토포지션으로 하여 놓으면 조도(照度)센서가 작동하여 밝기에 따라 ... ...
- 윤초(閏秒)과학동아 l1988년 06호
- 한 특정한 별이 다시 그 자리에 올 때까지의 시간) 하루의 길이가 날마다 몇 번의 진동수 차이로 달라진다는 것을 알게 된다. 때로는 빨라지거나, 느려지지만, 결국에는 느려지게 된다.지구의 자전이 0,9초 늦어졌을 때 '윤초'가 더해져서 지구는 다시 시간이 맞추어진다. 이 제도가 1972년에 처음 ... ...
- 훌륭한 천체관측시설갖춘 경기도 학생과학관과학동아 l1988년 05호
- 것을 볼 수 있다. 진자의 구멍에서 흘러나오는 모래의 양이 일정하다면, 이는 진자가 진동할 때 가장자리에서는 속도가 느리고 안쪽에서는 빠르기 때문. 진자의 원리를 이용해 만든 것중의 하나가 시계추가 달린 괘종시계다. 실제로 통화해보는 TV전화 대형 지구본을 사이에 두고 마주 앉은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