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확"(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의 미시순환계를 보는 장치, 한국인이 개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전극이 각각 따로 있었는데, 두 개의 전극을 정확히 같은 곳에 꽂을 수 없다보니 실험의 정확도가 떨어졌다.연구팀은 투명한 반도체인 산화아연(ZnO)을 썼다. 산화아연은 뇌를 자극하는 빛 신호를 통과시키고, 자극받은 지점의 미세한 전기적 반응을 측정하는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송 교수는 ...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많았다. 피어러 교수는 “키보드와 마우스의 세균 DNA 분석 결과로 소유자를 추정하는 정확도는 70~90%에 달한다”고 말했다.세균이 범죄 수사에 활용하기 좋은 이유는 또 있다. 상온에 뒀을 때 2주가 지나도 군집이 변하지 않을 정도로 일관성이 높다. 게다가 손에 사는 세균은 평균 150종이나 되는데 한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유럽인과 비슷하다는 결과가 나오면서 더욱 힘을 얻었다. 하지만 두개골 모양만으로 정확히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는 반론도 나오면서 논란은 일어났다. 결국 논란은 지난해 덴마크 코펜하겐대 연구팀이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결과로 일단락됐다. 케네위크인이 케네위크 인근의 아메리카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잘 해야 빠르고 안정적으로 코너를 돌 수 있습니다. 드론도 운동선수처럼 학습을 통해 더 정확한 자세를 익히도록 만들 수 있는데, 이럴 때 쓰는 알고리즘을 ‘인터랙티브 학습 알고리즘’이라고 합니다.이 알고리즘의 기본 원리는 피드백입니다. 한 바퀴를 돌 때마다 내가 입력한 비행경로와 실제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파브르는 당연히 기억해야죠. 어느 누가 파브르만큼 살아있는 곤충을 꼼꼼하고 세밀하고 정확하게 관찰했나요. 파브르 이전에는 곤충 시체를 수집하고 해부하는 학자들이 대부분이었어요. 수년에 걸쳐 곤충의 생애 전반을 끈기 있게 지켜본 파브르의 고집스런 태도는 저도 본받고 싶습니다.”“한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시마 드 로스 후에소스 유적으로 연대는 43만 년 전이었다. 하지만 날레디의 경우 아직 정확한 화석 연대조차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상태기 때문에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고인류학자들은 새로운 화석이 나올 때마다 새 종으로 이름 붙이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다. 더구나 아직은 연구 초창기기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각도로 쌓여야 하는지 정교하게 계산한 겁니다. 여러 대의 드론은 벽돌을 들고 날아가 정확하게 계획된 위치에 벽돌을 내려놓을 수 있었죠.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요?군집드론은 똑같은 명령을 따르는 드론 여러 대를 모아놓은 것이 아닙니다. 하나의 임무를 수행하면서도 서로 다른 명령을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다채로운 삶을 사실적으로 전달해주는 최고의 곤충서다. 곤충의 생태를 꼼꼼하게 관찰해 정확하게 묘사했을 뿐 아니라 시적인 문장 표현까지 더해 자연 속의 곤충을 한 폭의 그림처럼 표현했다. 파브르 곤충기를 읽고 있으면 파브르와 함께 신기한 곤충을 바라보며 미소 짓고 있는 것만 같다.그러나 ... ...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것을 감안하면 아시아인, 특히 한국인의 SNP 분석 결과의 신뢰도는 더 낮다.“아직 정확하지 않다고 해서 의미가 없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강병규 제노플랜 대표는 “정보가 완벽하지 않다고 사장시키는 것보다, 부족한 부분을 연구를 통해 개선해가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사냥꾼, 풍문여고 천체관측부‘지구 밖 지구’, 내가 찾는다“여기 좀 와봐. 내가 정확하게 찾았어!” “나도 볼래, 멋있다!” 곳곳에서 흥분된 감탄사가 터져 나왔다. 어둠이 짙게 깔린 8월 18일 저녁, 서울 풍문여고 옥상은 평소와 달리 시끌벅적했다. 14명 남짓 되는 천체관측반 학생들이 외계행성을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