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주의를 끄는 데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습니다. 도심 속 ‘미스터리’
연구소
DRDC는 보통 주요 부대와 인접해 있어 도심과는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에 비해 토론토연구센터는 토론토 시내에서 지하철로 약 30분 거리에 위치해 접근성이 좋은 편입니다. 주변에 요크대와 ... ...
[수학뉴스] 오각형 테셀레이션 하는 방법은 오직 15가지!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은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몇 가지가 가능할까요? 최근 미카엘 라오 프랑스 국립과학
연구소
연구원은 그 방법이 15가지뿐이라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라오 박사는 4가지 조건 아래 볼록 오각형이 평면 위에서 빈틈없이 맞닿는 모든 경우의 수를 조사했습니다. 4가지 조건은 모든 내각의 합은 540°일 것, ... ...
[과학뉴스] 발암물질 석면, 안전하게 폐기 가능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0일자에 발표했다. 석면은 단열재 등 건축자재로 쓰였지만 국제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
연구소
(IARC)가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면서 2009년부터 국내에서 제조와 사용이 전면 금지됐다. 문제는 그 전에 사용된 석면을 폐기할 때 다량의 석면이 공기나 토양으로 배출돼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 ...
[과학뉴스] 오징어 위장술 모방한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각각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에 참여한 로저 한론 미국 우즈홀 해양생물
연구소
박사는 “두족류는 몸을 보호할 만한 껍데기가 없는 부드러운 연체동물이고, 주요 방어 기제는 변신하는 피부”라며 “많은 동물들이 피부돌기를 갖고 있지만 낙지나 오징어처럼 빠른 속도로 피부 ... ...
[과학뉴스] 35억 년 전 달에 두꺼운 대기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데브라 니담, 데이비드 크링 미국항공우주국(NASA) 달및행성
연구소
박사팀은 30억~40억년 전 달의 화산 폭발로 인해 분출된 가스의 양을 계산했다. 그 결과 가스가 우주로 휘발되는 속도보다 더 빠르게 달 표면으로 분출되면서 일시적으로 달 주변에 대기가 형성된 것으로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IBM의 양자컴퓨터로 시험할 수 있다. 제리 차우 IBM 토머스왓슨연구센터 양자컴퓨팅
연구소
그룹장은 “전 세계 연구자들이 양자 알고리듬을 구현할 수 있도록 했다”며 “우리의 전략은 기술 커뮤니티와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아직 개발 초기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투명하게 유지되는 보호막도 플라스마로 구현할 수 있다. 1995년 미국 브룩헤이븐국립
연구소
(BNL)의 물리학자 어디 허쉬코비치가 첫 가능성을 열었다. 그는 진공 챔버 안으로 외부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는 용도로 플라스마를 사용했다. 이론물리학자이자 미래학자인 미치오 카쿠 미국 뉴욕시립대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말했다. 협업의 결과가 여러 차례 노벨상 업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직접 경험한 만큼
연구소
의 모든 조직과 구조는 협업을 장려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인터뷰를 마치기 전, 그는 기자에게 LMB에서 함께 일했던 한국인 동료 이야기를 했다. 이현숙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이수재 충북대 약대 ...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시신을 미국으로 가져와, ‘미국의 위대한 후원자’란 이름과 함께 스미스소니언
연구소
의 예배당 지하에 안치했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말처럼, 스미스슨은 최고의 박물관과 광물에 자신의 이름을 영원히 새겨놨다. ‘광물수집가의 성지’ 추메브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용각류는 공룡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큰 초식공룡이에요. 기린처럼 긴 목으로 나무 꼭대기에 있는 잎을 따 먹지요. 그런데 용각류 공룡들이 식물 이외에 돌도 먹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그렇다면 용각류는 돌을 우연히 먹었을까요? 아니면 일부러 삼킨 걸까요?용각류들이 위 속에 지녔던 ‘위석’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