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나무를 올라타는 염소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뱉어낸답니다.그럼 씨앗의 크기에 따라 소화 과정이 다르니?네. 스페인 도냐나 생물학
연구소
연구팀은 우리 염소가 씨앗을 크기에 따라 다르게 소화하는지 알아봤어요. 염소에게 올리브 나무 열매와 산사나무 열매 등 크기가 서로 다른 5가지 씨앗을 먹였지요.그 결과 크기가 큰 씨앗일수록 ... ...
[과학뉴스]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푸파 길버트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 물리학과 교수와 매튜 마르쿠스 로런스버클리국립
연구소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파랑비늘돔의 이빨이 강력한 이유가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법랑질 섬유로 이뤄졌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방사광가속기 ‘ALS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생물 무기가 될 수 있다. 항생제와 수액을 투여해 치료하며, 최근 국내에서 국제백신
연구소
(IVI·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와 유바이오로직스가 경구용 콜레라 백신 ‘유비콜’ 개발에 성공했다. 후보물질 4. 페스트균(Yersinia pestis)유럽 역사상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감염병을 하나 고르라면 단연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품종은 앞으로 더 다양해질 전망이다. 닐스 스타인 독일 라이프니츠 식물유전학작물
연구소
(IPK) 교수팀을 비롯한 국제보리염기서열분석컨소시엄(IBSC)이 올해 4월 여섯줄 보리의 게놈을 해독해 표준 게놈지도를 완성한 뒤,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기 때문이다(doi:10.1038/nature22043). 보리는 ... ...
[수학뉴스] 뉴욕에서도 인정받은 허준이 박사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열린 ‘2017 블라바트니크 젊은 과학자상’ 지역 부문 시상식에서 미국 프린스턴고등
연구소
의 허준이 박사가 물리학 및 공학 분야 대상을 수상했어요. 블라바트니크 젊은 과학자상은 2007년 뉴욕과학아카데미가 블라바트니크 재단의 후원을 받아 만든 상으로, 매년 전국 부문과 지역 부문으로 나눠 ... ...
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노트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교수와 함께 몽펠리에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연구소
에서 프로젝트 리더를 맡고 있는 장미셸 마랭 몽펠리에대 교수를 만나 그로텐디크의 노트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물었다. 어떻게 그로텐디크의 노트에 관심을 갖게 됐나요?장미셸 마랭(이하 마랭): 전 사실 그로텐디크와 전공 분야가 다릅니다. ... ...
반려견 표정의 시그널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찾은 표정의 의미강아지의 표정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팀은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데이터베이스에서 1살부터 12살 사이의 반려견 24마리를 무작위로 뽑아 연구했습니다. 연구팀은 안면근육 움직임과 그에 따른 얼굴 변화를 수치화해서 측정하는 방법으로 반려견 표정을 분석했습니다. 폴 에크만 ...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단풍이 매우 아름답게 집니다(여름에는 미시시피 강에서 카약을 탈 수 있습니다). 또
연구소
근처에 역사 박물관(Mill City Museum)도 가볼만 합니다. 미시시피 강과 인접한 지리적 조건 때문에 과거에 제분소가 번창했던 것이 박물관으로 탈바꿈했습니다. 금강산도 식후경이겠죠. 미니애폴리스에는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놀라운 이야기는 전혀 예상치 못한 사람으로부터 나왔다. 미 항공우주국 우주생물학
연구소
소속 진화생물학자인 레오네 에반스 박사였다. NASA에서 일한다는 말을 들었을 땐 어쩔 수 없이 판에 박힌 상상을 할 수밖에 없었지만, 수수께끼의 샘플이 외계인의 촉수 조직이라는 얘기는 물론 아니었다. 꽤 ...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내부 구조나 탑의 보존 상태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게 거의 없었다. 그래서 국립문화재
연구소
는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에 대한 방침을 ‘시간에 쫓겨 성급하게 하기보다는 신중하고 정밀하게 해보자’는 것으로 세웠다. 석탑의 상태와 구조적 특징을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확인하고, 해체 조사를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