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d라이브러리
"
물리
"(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우주 속 은하는 1000억 개가 아닌 1조 개!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우주에는 천문학자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10배나 많은 은하가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노팅엄대
물리
·천문학부 크리스토퍼 콘셀라이스 교수 ... 말했다. 연구 결과는 논문 등록 웹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10월 11일 게재됐으며, ‘천체
물리
학저널’에 발표될 예정이다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꼽히는 미국매사추세츠공대(MIT)
물리
학과 윌터 르윈 교수는 저서 ‘나의 행복한
물리
학 특강’에서 육상 포유류의 크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아주 간단하고도 재미난 사고실험을 했다. 그렇다면 같은 육지에 살았는데도 포유류보다 공룡이 훨씬 컸던 이유는 무엇일까. 포유류가 ...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해설하는 ‘노벨상 카페’가 열린다. 올해
물리
학상 수상자의 제자인 한정훈 성균관대
물리
학과 교수를 비롯해, 화학상을 받은 분야인 분자기계의 대가 김기문 포스텍 화학과 교수(IBS 단장), 소포체와 후성유전학 분야의 석학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참여한다 ... ...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
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젊은이들은 이 때문에 과학기술 분야의 직업을 선호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레베데프
물리
연구소에도 현재 30~40대 젊은 연구자들보다 50~60대 연구자들이 더 많습니다(시베리아 지역 쪽에 몰려 있는 항공기술 분야 연구소는 분위기가 조금 다르다고 하지만요).여행에 식도락이 빠질 수 없겠죠. 연구소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실제로 만난 것에 비견할 만큼 가슴 떨리는 일이었다. 독자들이 이 책을 읽으며 ‘현대
물리
학의 가장 정교한 눈’으로 과거를 살펴보는 지적 희열을 느낄 수 있길 바란다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나눠 만든 결과를 ‘집단지성’이라고 부른다. 경영학과 사회학은 물론, 생물학과
물리
학 등 다방면에서 집단지성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렇다면 수학에서도 집단지성 프로젝트가 가능할까?수학에서도 대규모 연구 가능할까?2009년 1월, 필즈상 수상자인 티머시 가워스는 블로그에 ... ...
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우주배경복사가 보여준 결과는 놀라웠다. 하늘의 모든 방향에서 날아온 우주배경복사는 모두 똑같은 온도였다! 각자 다른 방향에서 왔는데 어떻게 서로 짠 것처럼 온도가 같을 수 있었을까?제주도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 두 대를 띄웠다고 해보자. 두 배는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같은 속도로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되기 때문이다. 반면 수학은 매 단계를 확실하고 엄밀하게 증명해야 하는 학문이다.“
물리
학적으로 당연하게 생각하고 넘어가는 것 중에 수학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게 많아요. 증명하지 않고 넘어가는 게 성격상 받아들여지지 않았어요.”권 교수가 수학을 좋아하게 된 이유다. 이후 권 교수는 ... ...
[과학뉴스] 천문연, 한국우주전파관측망으로 태양보다 무거운 별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우주에서는 수많은 별들이 탄생과 죽음을 반복한다. 그런데 이 중 태양보다 무거운 별의 탄생은 관측하기가 매우 힘들다.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데다 두꺼운 ... 활동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얻게 됐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천체
물리
학저널’ 8월호에 게재됐다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시작해 관측자료부터 약 60년 이상 차이가 난다. 박창균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기후
물리
연구실 연구원(박사과정) 역시 “단풍 시기에 대해 쓴 우리나라 논문은 한 편도 없다”며 “정확한 예측 모델이 나오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단풍이 드는 현상은 추운 날씨와 관련이 깊다. 모든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