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표"(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코드++(ECHORD++)’는 농업 분야를 위한 다양한 군집로봇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어요. 대표적으로 ‘MARS’와 ‘SAGA’ 프로젝트가 있지요. MARS 프로젝트에서는 파종 군집로봇 ‘사베르’를 개발하고 있어요. 씨앗을 심을때 거대한 트랙터를 이용하면 비용이 많이 들고 토양을 단단하게 짓누르는 ... ...
- Part 2. 전술을 분석하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배치해서 상대의 공격을 잘 막아냈어. 월드컵이 열리기 전 치른 평가전을 보면 우리나라 대표팀은 수비에서 많은 약점을 보이고 있어. 쫓지 말고 몰아라?아르헨티나의 리오넬 메시나 브라질의 네이마르처럼 빠르고 개인기가 뛰어난 선수와 일대일로 맞서 수비하는 건 쉽지 않아. 좌우 어떤 ... ...
- [필즈상] 자국에서 필즈상 수상의 영예 안을까? 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제대로 알려주고 싶다고 언론 인터뷰를 통해 밝히기도 했습니다. 마르케스 교수의 대표 업적은 앞서 이야기한 윌모어의 추측입니다. 1965년 영국 수학자 톰 윌모어는 유클리드 공간이 어떤 모습일 때 가장 효율적으로 휘어있는지, 즉 다양체가 어떤 모양일 때 곡률(휘어 있는 정도)이 가장 작은지에 ... ...
- 기하학 입은 패션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쓰고 있습니다. 4계절 모두 입을 수 있도록 두께를 달리해 수학동아옷을 만듭니다. 임 대표는 “낭비가 없고, 지속 가능한 패션 디자인을 하기 위한 방법을 꾸준히 연구해 체계적으로 정립할 계획”이라며, “수학자나 과학자와 협업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덧붙여 “수학을 ... ...
- [헷갈린 과학] 호주의 대표 귀요미, 쿼카 VS 웜뱃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TV에서 호주에 사는 ‘쿼카’를 봤어요. 그런데 제가 알고 있던 호주 동물 ‘웜뱃’이랑 닮은 것 같아요. -신지호(wlgh0702) 쿼카는 캥거루목 캥거루아목에 속하는 동물이에요. 캥거루목 동물 중 몸집이 작은 편 이지요. 몸 길이는 보통 40~54cm 정도, 몸무게는 2.5~5kg 정도랍니다.쿼카는 웜뱃과 함께 캥거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자율주행자동차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인간을 보호할 수 있는 자율주행자동차의 대표적인 안전기술을 정리했다. [CASE 1] 시야가 제한적일 때_ 야간, 눈비, 역광 빛이 적은 야간이나, 눈비가 너무 많이 와서 차선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사람도 운전이 쉽지 않다. 자율주행자동차도 크게 ...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보호하면서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하는 새로운 디지털 개인 식별 솔루션이 될 수 있다. 문대표는 “새로운 인증 솔루션 개발을 위해 현재 유럽의 블록체인 커뮤니티와 협업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의료] 질병 연구 패러다임 전환_유전체 빅데이터 연구 “의학 연구에서 개인정보 보호는 아주 ...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빈번할 때는 VR을 이용해 재난대비 훈련도 할 수 있습니다. 최철민 ㈜VR라이브파크 대표는 “학교 체육관이나 강당을 이용하면 별다른 시설 없이 몇 가지 장비를 착용하는 것만으로 가상공간을 체험할 수 있다”며, “게임은 일부일 뿐, 가상현실은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꿔 놓을 것”이라고 ... ...
- [과학뉴스] 암 진행 단계 확인 ‘지수’ 나왔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국립보건원(NIH) ‘팬캔서 아 틀라스(PanCancer Atlas)’ 프로젝트 연구팀은 10년간 암 33종을 대표하는 1만2000개의 유전자와 임상 정보를 분석해, 종양이 발생하는 원인과 과정을 총정리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4월 5일자에 실었다. 연구팀은 암 유전자지도를 작성하고, 암세포의 기원과 암 발생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필요하다. 그간 북한은 기술 습득을 위해 주로 중국과 협력 연구를 진행해 왔다. 대표적인 공동연구가 중국과학원(CAS) 산하 지구물리연구소와 북한과학원 산하 지질학연구소 사이에 이뤄진 연구다. 이들은 1996년부터 20여 년간 동북아 지역 지질에 관한 공동연구를 추진해왔으며, 2016년 20주년을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