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양"(으)로 총 11,9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 중력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II> 등 텐세그리티를 이용한 여러 건축물을 만들기도 했지요. 텐세그리티는 지금은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는 2015년 텐세그리티 구조를 이용한 시제품 탐사 로봇 ‘슈퍼 볼 봇’을 공개하기도 했답니다. 외계행성에 착륙하면 굴러다니며 표면을 탐사할 수 ... ...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조립한 16종의 유전체 가운데 가장 큰 것은 전체 길이가 50억 염기쌍에 이른다”며 “다양한 종들의 독특한 반복서열 구조와 서열 유사도를 다룰 수 있는 자동화 기술을 설계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였다”고 설명했다.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연구지원을 받아 VGP에 한국 대표로 참여한 김희발 ... ...
- “과학과 지식 공유 막아선 안 돼”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사이허브의 사용이 보편화되며 목표 대상이었던 논문 접근이 어려운 연구자 말고도 다양한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뜻”이라며 “일각에서는 (사이허브 때문에) 논문 이용에 대한 어려움이 부각되지 않아 오픈 액세스 운동이 약화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과학 ... ...
- [이공계 잡터뷰] 의료기기도 데이터 시대, 데이터 과학자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귀중한 정보로 재탄생될 수 있다. 이런 기술 발전을 데이터과학자들이 주도할 수 있다. 다양한 분야, 자신만의 전문성 갖춰야“데이터과학자로서 가장 중요한 자질은 자신만의 전문분야를 바탕으로 수학과 컴퓨터과학 능력을 키우는 것입니다.”산업계에서 데이터의 중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로봇공학전공, 초음파 영상에 '접묘법'을 들이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개선한다면 형태 외에 다양한 정보를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유 교수는 “하나의 장비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중 모드 초음파 영상진단장치를 개발하고 있다”며 “이전에는 잡음으로 취급받던 신호를 어떻게 분석하는지에 따라 가치 있는 정보가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다중 모드 ... ...
- [IBSX수학동아] 수학자는 수학세계를 탐험하는 모험가-황준묵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범위가 너무 방대하며 상상 이상으로 놀랍습니다. 또한 다른 분야의 도구로써 개발된 다양한 이론들은 수학의 일부일 뿐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수학은 인간의 머릿속에서 꾸며낸 것이 아닌, 실체가 있는 것입니다. 2020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로저 펜로즈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교수의 표현을 ... ...
- [특집]딸기 독립 만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먹어도 먹어도 또 먹고 싶은 매력쟁이 과일 딸기. 딸기야, 너는 어디서 왔니? 다들 최근 우리나라에서 태어났다고?! 언제부터 맛있어진 거야! 우리나라만의 아주 특별한 딸기!새콤달콤한 과육이 입안을 가득 채우는 빨간 딸기는 품종에 따라 맛, 크기, 색상, 모양이 저마다 달라요. 2005년까지만 ... ...
- [만화뉴스] 중생대 육식 공룡은 작거나, 아주 크거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케이틀린 슈뢰더 교수팀은 전 세계 550종 이상의 공룡 화석을 통해 생물 총량과 종 다양성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쥐라기에서 백악기로 갈수록 중형 육식 공룡이 거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답니다. 연구팀은 티라노사우루스 같은 거대 수각류의 청소년기가 수명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길어 비슷한 ... ...
- [가상인터뷰] 필요할 때만 “딱” 잠자리표 부목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자기소개를 부탁해.안녕, 우리 잠자리는 날개를 가진 곤충 중에서도 아주 오래된 종으로 알려졌어. 3억 년 전 고생대에 살았던 ‘메가 ... 용상 세계기록 무게의 약 1.7배야. 카헤시 교수는 “3D 프린터로 만들 수 있어 저렴하고, 다양한 형태의 관절과 로봇에도 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어 ... ...
- [기획] 인공지능이 사투리를 배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지켜야 하는 이유가 있나요? 사투리는 지역의 정서가 깃든 소중한 문화유산이에요. 다양한 갈래로 나뉘고, 옛말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사투리가 사라진다는 건 우리말의 뿌리가 사라지는 것과 마찬가지랍니다. 그런데 점점 사라지고 있어 매우 안타까워요. 저는 사투리를 지키기 위해 그동안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