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변화
여럿
여러
종류
변종
d라이브러리
"
다양
"(으)로 총 11,913건 검색되었습니다.
‘뉴락’ 장한나 작가 “플라스틱 시대를 작품으로 기록합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일품이다. 뉴락 역시 플라스틱이 풍화돼 자연적인 모습을 지니고, 산화에 따라
다양
한 색으로 변한다는 점에서 수석과 통하는 면이 있다고 장 작가는 생각했다. 그렇게 몇 차례 전시를 기획했고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작품을 알렸다.장 작가는 여전히 뉴락을 수집하러 전국을 헤매고 있다. 특별히 ... ...
약자 피해 우려에 지구공학 실험 멈췄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막기 위해 원자력 기술로 발전소를 지었고, 생태계 보호를 위해 플라스틱을 비롯한
다양
한 화학물질을 만들어냈다. 그렇게 많은 문제를 기술로 해결하는 듯 싶었지만, 이들은 종종 더 큰 부작용으로 되돌아왔다. 민 교수는 “지구는 단 하나뿐인 만큼 지구공학 실험에는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 ...
빨간 궁금증이 있다면 월경상점으로 오세요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기업이다. 당시는 생리대 안전성 논란이 터져 여성들이 일회용 생리대를 대체하는
다양
한 월경용품을 모색하던 시기다. 이지앤모어는 월경용품 수다회, 월경 박람회 등을 열며 여성들의 월경용품 선택권을 넓히는 활동을 했다. 그렇게 여성들이 월경용품을 직접 만져볼 수 있는 상점도 열게 됐다 ... ...
[SF소설] 랄로랑이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있잖아.”「제 생각엔 저 돌연변이가 불쌍해서 지켜주는 게 아니라 유전자 풀의
다양
성을 위해 남겨두는 거예요. 털보 돌연변이가 나타난 이후로 혈연관계에 있는 엘라의 상처회복 속도가 조금씩 빨라지고 있어요. 그리고 200년 동안 평균기온이 조금씩 내려가고 있으니 털보 유전자를 남겨두는 게 ... ...
[수담수담] 수학과 문학의 수상한 만남-함기석 작가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쓴 ‘배수 나무’와 수학자 이름을 이용해 운율을 맞춘 ‘수학자들이 사는 집’ 등
다양
한 수학 시를 썼습니다. 수학 동시의 매력에 풍덩 빠지고 싶다면 수담수담 온라인 클래스를 놓치지 마세요 ... ...
[하비맨] 우아한 하비맨의 취미는 피아노 연주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수 있을까? (※편집자 주.취미를 묻는 질문에 언제나 ‘독서’라고 답하는 독자를 위해
다양
한 취미를 소개한다. 수학 토핑을 듬뿍 넣은 천방지축 얼렁뚱땅 체험기를 통해 취저(취향저격) 취미를 찾아보자.) 피아노에게도 정식 이름이 있습니다. 바로 ‘피아노포르테’입니다. 이탈리아의 악기 ... ...
[수학체험실] 비틀비틀 공처럼 구르는 '스피리콘'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아닌 또 다른 정다각형을 180° 회전시킨 뒤 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잘라 비틀어 붙이면
다양
한 종류의 스피리콘을 만들 수 있다. 사용한 정다각형 변의 수에 따라 사각형을 사용하면 4를 뜻하는 테트라(tetra)를 붙여 테트라 스피리콘이라 하며, 육각형을 사용하면 6을 뜻하는 헥사(hexa)를 붙여 헥사 ... ...
[이슈] 수학으로 보글보글~ 소문난 파스타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모양의 입체가 되었지요. 이렇게 반죽에 내는 홈의 위치와 간격, 그리고 방향 등에 따라
다양
한 모양의 파스타를 만들 수 있습니다. 반죽이 끓는 물을 머금으면 어떻게 바뀌는지 수학식으로 표현한 뒤 컴퓨터로 모의실험해 반죽의 모양을 설계했거든요. 지금까지 파스타는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어 ... ...
[특집] 생물주권 때문이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다양
한 생물자원을 찾는 건 생물주권을 지키기 위해서예요. 이로써 기후변화로 인한 생물
다양
성 감소에 대응할 수 있고, 바이오에너지 개발이나 지식재산권 확보 등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죠. Q 생물자원을 찾는 원동력이 무엇인가요?이 일을 하는 생물분류학자들은 진심으로 자기가 ... ...
[가상 인터뷰] 화성에서 필요한 산소, 직접 만들어 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시아노박테리아가 광합성을 해서 산소가 풍부해졌단다. 덕분에 산소로 호흡하는
다양
한 생물이 지구에 등장하게 된 것이지. 초록색 식물세포에서 광합성을 하는 장소인 엽록체는 바로 내가 진화한 모습이란다. 최근에는 화성에서 산소를 만들 수 있는 생물로 주목받고 있어. Q. 그냥 식물을 화성에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