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기술"(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진로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지난 8월 발표된 2022 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에 따르면, 앞으로 국어와 수학, 그리고 탐구 영역에서 지금보다 과목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단순히 인문계, 자연계로 나눠 이수하는 과목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관심과 흥미에 따라 과목을 선택할 수있게 ... ...
-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튜링의 논문이 나온 지 60년이 더 지난 지금까지도 튜링 모형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여전히 있습니다. 동물 무늬 패턴의 생성 원리를 밝히는 데 말고도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거든요. 이처럼 튜링의 연구는 여러 곳에서 계속 응용돼 사용될 텐데요, 미래에는 또 어떤 곳에서 쓰여 놀라움을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연구개발에 투자해왔고, 이미 제2차 세계대전 때 미국과 대등한 전쟁을 할 만큼 진보한 과학기술을 보유했었다”며 “그런데도 대부분의 수상자가 2000년 이후에 나온 것을 보면 20세기 기초과학에 투자한 결실이 21세기에 이뤄졌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우 1990년대부터 정부의 기초연구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아침엔 보드라운 식빵, 점심엔 든든한 샌드위치, 저녁엔 맥주와 함께 피자 한 조각.삼시세끼를 빵으로 해결하는 ‘빵순이’들의 귀가 번쩍 뜨일 소식이 나왔다. 빵의 주원료인 밀의 게놈(유전체)이 완전히 해독됐다는 소식이다. 365일 다이어트로 고민하는 사람들에겐 ‘전분저항성’을 가진 빵을, ... ...
- [롤링수톤] 머릿속 맴도는 수능금지곡수학동아 l2018년 11호
- 편집자주. 미국 음악 잡지 ‘롤링스톤’을 표방 하는 롤링수(數)톤. 롤링수톤에서는 음악 이야기뿐 아니라 음악 속 에 숨겨진 수학 이야기까지 들을 수 있습니다. QR코드를 찍어 음악을 들으며 읽으면 더 재밌을지도~!수험생 여러분께 유의사항 알려드립니다. 시간에 맞춰 입실해야 하며, 컴퓨터 사 ...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제가 산업공학에 몸담은 지 35년이 됐는데, 아직도 스스 로에게 ‘산업공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져요. 아마 평생 고민할 것 같아요. 그런데 역설적으로 이 문제는 우리의 원동력이기도 해요. 산업은 계속 바뀌고, 항상 새로운 것이 나타나니까요.” 홍유석 서울대 공대 산업공학과 학과 ... ...
- 2019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이렇게 바뀐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치르면서 문제에 오류가 발생해 많은 참가자들이 혼란을 겪었습니다. 대회를 주최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랜 논의 끝에 한국정보올림피아드 개편 방안을 9월 21일 발표했습니다. 엄영익 교수에 따르면 한국정보올림피아드는 내년부터 SW분야 영재 발굴에 초점을 맞추고, 올해부터 정규 ...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9월 18일 대전 오월드 동물원에서 ‘호롱이’라는 이름의 암컷 퓨마 한 마리가 탈출했습니다. 수색 작업을 벌였지만, 호롱이는 결국 사살됐습니다. 호롱이 사살로 여론이 들끓었고, 이는 동물원 폐지 논란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 과학동아는 이와 관련해 독자 여러분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자 10월 11 ... ...
- [TECH]大화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일석이조다. 최근 국내 연구진은 여기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박장웅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액정에 삽입할 수 있는 투명하고 유연한 지문 센서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doi:10.1038/s41467- 018-04906-1 박 교수는 ...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플라스마 물리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2012년까지 KAIST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광주과학기술원(GIST) 물리광과학과 교수로 있으며, IBS 초강력레이저과학연구단 단장을 맡고 있다. chnam@gist.ac.kr성재희 KAIST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2005년부터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있다. IBS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