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기술"(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얼굴 인식 기술은 스마트폰의 잠금 해제나 공항 보안 검색, 범죄 수사 등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올해 4월, 중국 경찰은 안면 인식 기술을 이용해 5만 명이 모인 콘서트에서 수배범을 찾아 체포하기도 했죠. 이렇게 발전하고 있는 안면 인식 기술이 최근 조금 엉뚱한(?) 곳에 쓰이기 시작했습 ...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에 있는 해발 989m의 예미산에는 특별한 엘리베이터가 있다. 바로 ‘우주의 미스터리’로 불리는 암흑물질을 찾으러 지하 600m깊이까지 수직 갱도를 따라 땅속으로 내려가는 엘리베이터다. 사진은 이 엘리베이터 안에서 지상을 향해 찍은 것이다. 이곳에서 더 내려간 지하 110 ... ...
- 수학자들이 병원에 간 이유는? “질병 문제 함께 풀어요”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의사들이 수학연구소인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 도움을 요청했다.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이 수학자에게 도움을 구하다니, 대체 무슨 이유일까. “최근 많은 분야에서 수학을 적용해 새로운 연구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의료 분야는 너무나 많은 데이터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지금까지 제대로 분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소재, 생물환경 등 크게 네 가지 연구 분야에서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교수 한 명이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저널에 연간 평균 8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활발한 연구 성과 덕분일까.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는 QS 세계대학평가 전공 순위에서 2017년과 2018년 2년 연속 세계 16위에 올랐다. ... ...
-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와, 비핵화 계획대로 핵무기가 개발되지 않는다면 정말 좋겠어! 그런데 핵무기만큼 무시무시한 소문이 또 있어. 갑자기 남북한 사람들이 교류하기 시작하면 심각한 질환이 유행할 수 있다나 뭐라나. 이게 무슨 말이지? 북한에선 세균성 질환이, 남한에선 바이러스성 질환이!“결핵 치료약 지원을 ...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는 대형병풍이다. 조선의 태평성대를 염원하며 그린 이상적인 도시 모습 곳곳에는 과학기술이 담겨있다. 남 학예연구사는 “그림을 통해 당시 선조들이 우리와 마찬가지로 기술의 발전이 삶의 질을 어떻게 향상시킬 지 고민했음을 알 수 있다”며 “그 연결고리를 보여주기 위해 태평성시도를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하늘을 날고자 하는 인류의 꿈은 언제부터였을까. 인류에게 새는 아주 오래 전부터 동경의 대상이었다. 1505년 이탈리아의 천재 과학자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새의 몸 구조와 새의 비행 원리를 해부학과 생리학 지식을 동원해 연구했다. 그 결과 새의 날개 윗부분과 아랫부분에서 압력 차이가 존재 ...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국가전략 과제의 비중을 높였다”고 말했다. 최 원장은 “그간 KISTI가 축적해 온 과학기술 정보와 연구 데이터는 1억 건이 넘는다”며 “이런 강점을 누리온과 연결해 산학연과 함께 데이터 생태계를 구축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슈퍼컴퓨터는 국가 전략 장비이자 AI 시대 핵심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꼽히는 암세포의 항암제 내성 문제에서도 진전을 보이고 있다. 김종경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는 “암세포가 항암제 내성을 갖는 세부 과정을 충분히 이해하면 표적항암제의 효과를 훨씬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암세포마다 특성 달라 암세포를 없애는 건 간단한 ... ...
- 中 과학계가 던지는 교훈 3가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이들의 성공 사례는 많은 젊은이들로 하여금 과학기술 분야에 도전하고 싶게 만드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 아직도 한국이란 나라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는 세계인들도 ‘세계 반도체 기술을 이끄는 나라’ ‘한류의 열풍으로 세계를 휩쓰는 나라’ ‘IT의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