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스페셜
"
논문
"(으)로 총 2,283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틸다의 유리천장
2019.08.29
썼고, 바로 이
논문
에서 과학기술계에서 나타나는 성 편향을 지적했기 때문이다. 이
논문
은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시작한다. “발명과 기계공학의 천재적 여성들 중에, 그가 마땅히 받아야할 것보다 언급이 덜 되는 건 흔한 일이다. 심지어 미국 정부는 여성 발명가들의 숫자를 제대로 집계조차 ... ...
AI 대학원 어디 갈까…"KAIST AI 과목수,성균관대 교수 최다…고려대 산학협력 강점"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꾸렸다는 게 장점이다. KAIST는 “교수진이 최근 6년 동안 AI 분야 주요 학회에서 101편의
논문
을 발표하는 등 최근 AI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며 “일부 학회의 경우 가장 우수한 연구 성과를 보인 한국인 학자 10명 가운데 3명이 KAIST AI대학원 교수진”이라고 밝혔다. 고려대는 9월 5일 기념식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비롯한 일본 공동연구자들이 아스가드 고세균을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한 것이다.
논문
에는 물론 고세균의 전자현미경 사진도 실려있다. 아스가드 고세균 연구를 이끌었고 십중팔구 배양을 시도하고 있었을 스웨덴 웁살라대 연구팀으로서는 불의의 일격일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일본 ... ...
KAIST AI 대학원 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꾸렸다. KAIST는 “10명의 교수진은 최근 6년 동안 AI 분야 주요 학회에서 101편의
논문
을 발표하는 등 최근 AI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KAIST는 경기도 성남시와 협력해 경기 성남, 판교를 아시아 최고의 AI 밸리로 육성하기 위해 9월 중 ‘KAIST AI대학원 성남연구센터’를 개소하고 ... ...
[기자의 눈]전문연구요원제도 존치? 오죽하면 경제논리도 안먹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고민하지 않고 등한시한 면이 크다. 일부 언론을 통해 교수
논문
대신 써주는 박사 전문연구요원제도가 폭로되고 제도를 악용해 일부 기업들에서 비리 문제가 계속해서 터지는데도 자정 기능을 발휘하지 않은 채 즉자적 대응으로 일관하면서 좋은 취지의 제도를 국민의 ... ...
'조국 딸'
논문
"단일염기다형성과 뇌질환 관련성 연구"…"기여도·이해수준 파악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단국대는 22일 오전 학내 비공개 연구윤리위원회를 열어
논문
제1저자 등재가 적절했는지 확인했다. 여기서 정식 안건으로 결정될 경우 조사위원회를 꾸려 석달 정도 동안 심층조사를 할 예정이다. 대한의학회도 오전 긴급 이사회를 소집했다. 관계자는 "
논문
자체는 문제가 ... ...
최기영 장관 후보자도 피하지 못한 부실학회 논란…모르쇠式 연구재단 가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수는 최 후보자의
논문
을 비롯해 1000건이 넘는다. 연구재단 측은 최 장관 후보자가 IARIA에
논문
을 투고한 데 대해 판단하지 않겠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혀왔다. 결국 최 장관 후보자를 비롯해 연구자들은 부실학회인지 아닌지 학계의 명확한 평가를 받지 못한 채 언론과 일반인의 눈높이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달걀 감별하는 시대
2019.08.21
지난해 학술지 ‘가금 과학(Poultry Science)’에 실린 리뷰
논문
을 발견했다. 기사와 리뷰
논문
을 바탕으로 달걀감별 연구의 현황을 들여다보자. 여성호르몬 감지해 선별 달걀의 배아발생 과정을 5일 단위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신경계가 어느 정도 갖춰진 7일차 배아부터는 통증을 느낄 수 있다고 보기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물론 당시에는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었다. 앨리슨이 브리티시 저널 오브 메디신에 해당
논문
을 발표했을 때, 많은 학자는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일단 겸상 적혈구성 형질을 가진 아프리카인도 여전히 말라리아에 걸리기 때문이었다. 대부분의 혁명적인 시도가 그렇듯 앨리슨의 연구도 열렬한 ... ...
[프리미엄 리포트] 부르키나파소는 왜 GM모기 방사를 결정했나
과학동아
l
2019.08.17
전체 모기 개체수를 줄이는 효과가 줄어들 수 있다.doi: 10.1038/nbt1283 옥시텍은 또 다른
논문
에서 GM 모기가 tTVA 단백질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자신은 죽지 않고 후손들만 죽는 이유도 밝혔다. 사실 연구팀은 GM 모기가 죽지 않도록 해독제로 ‘테트라사이클린’이라는 물질을 함께 주입했다.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