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큰 궤도를요. 망원경으로 보고 일일이 찾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브라운 교수는 1월 20일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아홉 번째 행성을 찾는 일에 착수했다”면서 “늦어도 5년 안에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존과 다른 네 번째 방법, ‘태양계 최외각 천체의 궤도를 ...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난수 생성 주기가 약 230이면 230개의 숫자는 무작위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230개, 적어도 10억 개의 숫자가 나타난 뒤 반복되는 것이니, 난수로 쓸 만하지 않을까?이 알고리즘은 단점이 있지만 계산 속도가 충분히 빨라서 정교한 수준의 난수가 필요하지 않는 분야에서 많이 쓰인다. 현재 컴퓨터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50여 지점에서 발견했습니다. 긁힌 자국은 최대 지름이 약 2m로 거대했지요. 긁힌 자국 60여 개가 무더기로 발견된 곳도 있었습니다.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흔적은 수컷 아크로칸토사우루스 여러 마리가 암컷 한 마리로부터 선택을 받기 위해 구애 행위로서 땅을 판 결과 만들어진 것입니다. 암컷은 이 ... ...
- [동아리탐방] 특별한 경험을 선물받다! 인천당하중 ‘당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결과 차가 많을 때는 분리신호가 효과적이라는 점과 도로의 최고 속도를 시속 약 10km 줄여도 이동시간은 2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점 등을 알아낼 수가 있었다. 또 횡단보도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빨리 걸어야 한다는 것도 밝혔다. 거리가 14m일 때는 걸음의 속도가 초속 0.54m이면 됐지만, 41m일 ... ...
- [Tech & Fun] 그래핀의, 그래핀에 의한, 그래핀을 위한 곳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방문하게 되면 연구진들의 얼굴을 유심히 보세요. 2004년 그래핀을 처음으로 분리해2010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영국 맨체스터대 안드레가임 교수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도 이곳에서 일하고 있으니까요. 한국인 과학자도 꽤 있다고 합니다.NGI 연구원들을 가장 쉽게 만날 수 있는 곳은, ... ...
- 프로젝트 3 결전의 순간! 부모님을 설득하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낮아요. 바야흐로 초저금리 시대인거죠.저희는 세뱃돈 10만 원을 복리 정기예금으로 20년 동안 저축한다고 하고, 2006년과 2016년의 금리를 F(n) = 원금(1+금리)n에 각각 넣어 미래에 돌려받을 금액이 얼마나 다른지 비교해 봤어요.그 결과, 2016년에는 낮은 금리로 인해 수익이 많이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용존산소와 온도, 염분, 밀도, 압력을 주기적으로 측정했다.이 실험의 결과는 2014년 10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학술지(PLOS ONE)에 발표됐다(DOI:10.1371/journal.pone.0110710).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범죄학과의 게일 앤더슨 교수가 제1저자를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푸드’ 커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디카페인 커피가 뜨고 있다. 디카페인 커피 한 잔에 든 카페인의 양은 보통 커피의 20분의 1인 5mg 정도다. 현재는 화학적인 방법을 활용해 커피에서 카페인을 제거하는데, 커피 애호가들은 이 과정에서 커피 특유의 맛과 향이 사라진다고 지적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예 카페인을 만들지 않는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삼중수소는 일반적인 수소에 중성자가 2개 더 붙은 수소의 동위원소로 1g당 가격이 2700만 원을 호가할 정도로 아주 귀하다. 다른 나라의 감시를 피해 국제적인 거래로 삼중수소를 구매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우리 군은 북한이 삼중수소를 직접 제조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핵실험 직전인 1월 ...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발자국 화석들이 발견됐다.안타깝게도 이 날짐승들의 공존은 지금으로부터 약 6600만 년 전, 백악기 대멸종 사건으로 끝나버렸다. 익룡은 멸종해버렸고, 오늘날에는 새들이 그 뒤를 이어 하늘을 지키고 있다. 이들은 과거의 익룡처럼 아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진화했다. 하지만 새가 아무리 화려한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