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참여하고 있다. 한국도 올해 안에 MOU를 맺고 협력할 계획이다. 신 선임연구원은 “2020년 완공하면 LSST를 통해 찾아낸 천체를 2021년 가동 예정인 거대마젤란망원경(GMT)으로 후속 관측하는 등 기존에 추진해 온 다른 천문학 프로젝트와도 연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기체로 바꿔서 방사성 저준위폐기물을 유리로 코팅하는 기술도 연구하고 있습니다(90쪽 참조_환경을 지키는 플라스마). Q 만들어진 나노 물질은 어떻게 쓰이나요?저희는 주로 이차전지를 만드는 업체와 협업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저장 특성이 좋은(충전이 오래 가는) 나노 구조의 새로운 배터리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입 안 대고 풍선을 불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들이마시는 공기의 성분은 질소 78%, 산소 21%, 이산화탄소 0.03%에 나머지는 수증기와 기타 성분으로 이루어졌어요. 이에 비해 공기를 몸 밖으로 내보내는 날숨은 질소78%, 산소 16%, 이산화탄소 4%에 나머지는 수증기와 기타 성분으로 이루어졌지요.이처럼 날숨은 우리가 들이마신 기체에 비해 산소가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있다. 선형대수학은 크기가 큰 행렬을 컴퓨터가 효과적으로 다루도록 도와준다. 푸는 데 10년 걸릴 문제를 순식간에 풀도록 바꿔주는 것이다.컴퓨터에게 선형화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시키려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짜야 한다. 여기에는 ‘수치적 선형대수학’과 ‘수치해석학’을 ... ...
-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헉슬리가 1963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17가지 방정식은 멀게는 기원전, 가까이는 1970년대에 혜성같이 나타나 인류에게 큰 공헌을 했다. 앞으로 또 어떤 발견이 이뤄져 우리를 즐겁게 할까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우봉고로 일차방정식을 요리해볼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과정을 퍼즐판으로 시각화해 사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ax+by+c=0(a,b,c는 상수, a≠0, b≠0)을 일반화해 해를 구할 수 있다. 가. 6개의 모둠으로 조직하며, 효율적인 수업을 위해 모둠별 대표를 두고 모둠명을 정한다.나. 모둠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따라 서로 협력 학습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오늘도 해가 뜨고, 진다. 30년 전 태어난 나는, 과거 어린 시절의 추억을 기억하고 현재를 살고 있으며, 머리가 하얗게 셀 미래가 오리라는 걸 의심하지 않는다. 우리의 직관대로라면 ... 그리고 우주를 만들어내는 가장 본질적인 실체는 무엇일까. 현대물리학의 다음 100년을 기대해 보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우아! 드디어 죽음의 주가 끝났다!”“휴~, 다들 고생했어! 다 끝났으니 야식 먹자!”시원이가 캠핑장 식당에서 기숙사 친구들인 파부르, 조금만, 오로라와 함께 시끌벅 ... 시속 5km로 불때는 체감온도가 영하 13℃이지만, 바람이 시속 30km로 불면 체감온도는 영하 20℃까지 떨어진답니다 ... ...
- [재미]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좁은 모세혈관을 지나갑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모세혈관의 지름은 적혈구의 지름인 7μm(100만 분의 1m)보다 작습니다. 적혈구는 도넛처럼 가운데가 오목한 덕분에 좁은 모세혈관을 지나갈 때는 빈대떡처럼 유연하게 찌그러집니다.프랑스 렌느1대 물리학과 이자벨 칸타 교수는 이 과정을 수학적으로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좋은 과학 연구의 필수 조건이다. OSC는 가장 권위 있는 유명 학술지 세 개에 실린 100여 개의 심리학 연구들을 재현해 봤고, 그 결과를 지난해 8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절반 이상이 동일한 결과를 얻는 데 실패한 것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고한 97개의 연구 중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