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기후(climate), 유전체(genome)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부르지요.유전체의 영어 표현인 ‘게놈(genome)’은 1920년 독일 식물학자 한스 윙클러가 처음 지었어요. 유전자를 뜻하는 영어 ‘gene’과 염색체를 뜻하는 영어 ‘chromosome’을 더해서 만들었죠. 여기서 ‘유전자’란 유전물질에 담긴 유전정보의 기본 단위를 말해요. 건물을 짓기 위한 가장 작은 벽돌 ... ...
- [교육뉴스] 초등학생 전용 진로 탐색 서비스 ‘주니어 커리어넷’ 오픈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제공 등의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초등학생에게 특화된 진로 서비스를 선보인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주니어 커리어넷에 접속한 초등학생은 ‘나를 알아보아요’와 ‘진로정보를 찾아봐요’, 그리고 ‘진로고민이 있어요’ 서비스를 순서대로 체험하며 진로를 탐색할 수 있습니다. ‘나를 ... ...
- [보드게임] 비법서 개발 정보 모으기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재미있을 때까지 고치세요. 문제를 수정해나가는 과정이 발전의 핵심이니까요. 완전 처음이라 막막하다면 내가 알고 있는 게임들을 섞어서 새로운 걸 만들어보세요. 이 게임, 저 게임의 메커니즘을 편집하다 보면 나만의 아이디어가 생기기 시작할 거예요 ... ...
- [매스크래프트] #5. 퓨처랜드 놀이공원, 줄 서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20년 05호
- 다양한 인디게임까지 섭렵한 게임 인생 6년차 퓨처킴. 하지만 마인크래프트(이하 마크)는 처음 이다. 회사에서 게임하는 게 조금 눈치 보이지만 마크 초고수가 되는 그날까지, 나는 달린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화 통신에서 시작한 대기행렬이론 자! 퓨처랜드 간판까지 ... ...
- [폴리매스] 여기선 우리가 기획자 매스펀 잡담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수학자’, ‘잡담에서는 무슨 일이’같은 다양한 코너도 생겼습니다. 폴리매스를 처음 방문하는 친구라면 폴리매스 신문을 통해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확인해보세요! 매수티콘폴리매스 회원들은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수학 이모티콘인 매수티콘을 직접 만들기도 해요. 수학동아의 매수티콘 중에는 ... ...
- 드라마 ‘그 남자의 기억법’으로 살펴본 과잉기억증후군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한 번 보거나 겪은 일을 세세하게 모두 기억하는 증상이다. 과잉기억증후군이 세상에 처음 알려진 건 2006년이다. 제임스 맥거프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UC어바인) 신경생물학과 교수는 열한 살 이후 자신이 겪은 모든 일을 빠짐없이 기억하고 있는 ‘AJ(이후 본명이 ‘질 프라이스’로 밝혀짐)’의 ... ...
- 제임스웹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달에 보낸 ‘아폴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당시 국장인 제임스 웹의 이름을 땄다. JWST는 처음 설계도가 공개됐을 때부터 화제가 됐다. 기존에는 볼 수 없던 독특한 디자인과, 우주망원경으로는 상상할 수 없는 큰 몸집 때문이었다. 우주망원경은 이를 싣고 우주로 올려보낼 로켓보다 크면 안 되는 ... ...
- [융복합 파트너@DIGST] 곤충처럼 기고 사람처럼 땀 흘리는 자연모사 로봇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마찰력을 높인다. 하지만 물이 많다고 무조건 마찰력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처음 손에 땀이 날 땐 표면장력이 발생해 마찰력이 커지지만, 수분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오히려 유체 점성력(viscous force)이 약해지며 마찰력이 다시 줄어든다.윤 교수는 “로봇손에서 분사하는 최적의 수분량을 ... ...
- [과학동아 X 긱블] '밸런싱체어' 파도야 쳐라, 네가 아무리 거세도 나는 흔들림이 없으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아래 모터를 받칠 하판은 잭키 님이 직접 스틸 각파이프를 용접해 만들었습니다. 용접은 처음이라 곳곳에 구멍이 송송 나기도 했지만, 작품 완성도에는 별 영향이 없었다고 합니다(응?).조립까지 마치고 최종 시연회의 차례입니다. 이번 최종 시연회는 당연히 낚싯배 위에서 하기로 했습니다. 배를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0년 05호
- 특히 콜라츠 추측과 관련된 문제를 보고 큰 매력을 느꼈어요. 콜라츠 추측은 제가 처음 본 수학 알고리듬 문제였는데, 그 과정을 거치면 모두 1이 된다는 것이 무척 매력적이었어요. 문제를 해결하면 막혔던 수도관이 갑자기 뚫리는 상쾌한 느낌이 들어요. 또 ‘내가 풀었다’는 자신감과 보람이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