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노동
과업
근무
취직
근로
취업
d라이브러리
"
작업
"(으)로 총 3,8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연관분석(linkage analysis)이라고 하는데, 분자유전학과 생물정보학이 융합된 고난도의
작업
이다.일단 김 교수팀은 환자와 가족의 혈액에서 DNA를 추출한 뒤 일정한 간격으로 마커를 표시했다. 마커는 이정표 역할을 하는 유전자로 X염색체에만 수백 개가 존재한다. 한국인의 X염색체 위에는 교차빈도*가 ... ...
무한속도의 비밀은 '칩'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기술 컨버전스로 탄생한 3차원 디스플레이김 교수가 개발한 칩은 동영상을 만드는
작업
단계를 줄이고 동영상을 만들 때 용량을 줄여 재생 속도를 높였다.3차원 디스플레이의 작동 과정을 ‘눈 내리는 날’에 비유해보자. 과거의 3차원 디스플레이는 눈이 길에 한가득 쌓일 때까지 기다린 뒤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작업
에 의한 생체기능 측정시
작업
부하용으로 사람뿐만아니라 동물에게도 사용된다
작업
부하 조건은 벨트바닥의 이동속도를 바꾼다거나 바닥의 경사를 바꿈으로써 변화를 줄 수 있다바이페닐의 염소화체이다 물에는 녹지 않지만 기름이나 유기용매에는 녹는다 화학적으로 불활성이어서 ... ...
열대 해양생물의 천국 미크로네시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양식 지금 우리 과학자들은 미크로네시아의 푸른 바다에서 보물을 건져 올리기 위한
작업
에 한창이다. 먼저 고개를 내민 건 흑진주다.해양연구센터 앞바다 200m 지점에 위치한 흑진주 양식장에선 2~3년생 흑접조개가 5~8m 깊이의 바다에서 무럭무럭 자라고 있다. 연구진은 오는 12월 수확을 기대하고 ... ...
뼈를 얻은 벅스버니, 도널드 덕, 톰과 제리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셈이다. 종아리 피부는 굳은살이 없어 땅에 닿으면 피부가 까질 수 있다.이형구 작가는
작업
실에서도 하얀 가운을 입고 작품을 만든다. 예술과 과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일까. 그는 해박한 해부학 지식을 바탕으로 만화 주인공에 과학의 옷을 입혀 뼈대를 만들어줬다. 상상 ... ...
여인의 초상 제8화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보니 오랑우탄을 닮긴 했어도 눈과 코와 입은 현대인의 그것이다. 야후였다.어둑새벽,
작업
을 마감하며 래빗이 지나치듯 말했다.“언제 T의 고향인 마산에 가봅시다. 균형에 대한 충고… 고맙소.”나도 그와 눈을 맞추지 않고 야후만 보며 말했다.“하나만 질문해도 될까요? 이 일이 그렇게 ... ...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위해서다.메가스플레이 단층에 각종 계측기를 직접 설치해 실시간으로 지진을 감시하는
작업
은 총 3단계로 진행돼 2012년쯤 마무리된다. 이번 탐사는 1단계에 해당되며 2단계에서 3~3.5km, 3단계에서 5.5~6km를 시추하게 된다. 지큐호는 마지막 단계에서 메가스플레이 단층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 ...
시력 9.0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느끼도록 고안됐기 때문이다. 화려한 색채를 느끼는 색각이나 손을 사용해 미세한
작업
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입체시처럼 생존에 적합하게 진화해왔다고 볼 수 있다.실제로 모겐족이 어떤 방법으로 시력을 검사해 9.0이 나왔는지는 확인할 길이 없다. 하지만 시력의 생물학적 한계는 2.5 정도이므로 9.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데이타통신에서 '천리안'이라는 비디오텍스 시스팀을 개발, 한글화
작업
의 마무리를 하고 있다식물체의 일부인 가지나 잎을 어미나무에서 잘라내어 완전한 개체로 생육시키는 일 꺾꽂이2개의 별이 서로 만유인력으로 끌어당기면서 공통의 중심을 공전 하는 것 태양보다 질량이 ... ...
여인의 초상 제 7화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전이나 한 달 전 기억을 잃고 허둥댄 적은 있으나 방금 완성한 작품의 제목은 물론
작업
과정까지 깡그리 잊은 것은 처음이었다.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나왔다. 아무리 탁월한 그림을 그린다고 해도, 자신이 그 그림을 그렸다는 사실을 잊는다면, 이 모든 수고가 무슨 소용이 있을까. 눈물을 훔치고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