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노동
과업
근무
취직
근로
취업
d라이브러리
"
작업
"(으)로 총 3,8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온 소유즈 우주선에서 자신의 의자 쿠션을 떼어내 돌아갈 우주선에 다시 고정시키는
작업
이 필요하다. ISS에 머무는 동안 모았던 실험 자료와 ISS 방문기념 스탬프를 찍은 엽서도 잘 챙겨야 한다.함께 소유즈 우주선을 타고 온 세르게이 볼코브 선장과 엔지니어를 ISS에 남겨 두고 6개월 동안 ISS에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풍부한 열매를 맺는다. 생태학자들은 오래전부터 뿌리혹박테리아가 질소를 고정하는
작업
이 중노동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이들은 왜 뿌리혹 속에 갇혀 묵묵히 주어진 일을 할까.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R. 포드 데니슨 교수팀은 박테리아의 태업을 유도했다. 즉 대기 중의 ...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검토했다. 오는 2010년까지는 이제껏 거둔 성과들을 산업현장에 하나둘씩 적용하는
작업
을 해나갈 계획이다.“사람이 태어나 다시 흙으로 돌아가는 것처럼 쓰레기도 재활용해 순환자원으로 거듭나야 합니다. 석유로 만든 플라스틱을 다시 석유로 재활용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하나의 비트에 100~200개 정도 박아 만든 것이다 다이아몬드 비트(bit)를 사용하여 굴착하는
작업
일반 광산에서 흔히 사용하는 회전식 시추로서, 탐광을 목적으로 하는 시추 외에도 갱내에 수갱(竪坑) · 통기공 · 배수공 등을 설치하거나 갱도굴진을 위한 선진시추(先進試錐)에 응용되고 있다 ... ...
소프트웨어, 데이터백업 사라지는 클라우드 컴퓨팅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소형 단말기만 있으면 PC나 노트북 없이도 윈도우즈나 리눅스 같은 운영체제에서 손쉽게
작업
할 수 있다. 프로그램 설치나 업데이트,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는 요구만 하면 자동으로 이뤄진다. TV로 컴퓨터 한다현재 아마존은 EC2라는 상업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시간당 컴퓨터 ... ...
사랑과 절망이 낳은 명작 모딜리아니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언뜻 봐서는 누구의 그림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작품도 있다. 동일한 모델을 대상으로
작업
한 이들 부부의 그림을 비교해보면 비로소 차이점이 드러난다. 모딜리아니가 그린 초상이 인물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배경을 단순화시켰다면 잔의 작품은 대상을 둘러싼 배경까지도 섬세하게 묘사했다.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만화책과 같은 창작 작품은 빌려보지 말고 사서봐야 만화가들이 여유를 가지고
작업
할 수 있다는 게 평소 유 교수의 지론이다. 당시 ‘분자생물학뉴스’ 편집간사였던 그는 옆방 대학원생의 만화를 보고 아이디어가 떠올랐다.“저를 부르시더니 대학원생의 애환을 그린 만화를 연재해 ... ...
일본어 몰라도 스털링 엔진 만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누구나 즐길 수 있다는 설명. 홍 팀장은 “조립 설명서와 과학 원리를 한글로 번역하는
작업
도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과학적 원리를 다룬 기사와 이를 응용한 제품이 만난 신개념 잡지가 자리 잡을 날이 멀지 않은 셈이다 ... ...
PART2 플라스틱 공화국의 재활용 비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점점 증가하고 있다.문제는 육안으로 플라스틱의 종류를 구분하기 어렵고, 일일이 수
작업
으로 분류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특히 PVC는 가열하면 염화수소와 다이옥신을 배출하고 재활용된 다른 플라스틱의 품질을 떨어뜨리므로 반드시 걸러내야 할 ‘애물단지’다. 국내에서는 지난 200 ... ...
한강에 모인 새 박사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흰 뺨에 검은 점이 있는 참새를 찾아낸다. 새를 관찰하면서 분류학적으로 구분하는
작업
을 ‘동정’(同定)이라고 하는데, 그 기준이 되는 뚜렷한 특징을 ‘동정 포인트’라고 한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실감나는 대목이다.능숙하게 필드스코프의 초점을 맞추고 “비오리 셋에 재갈매기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