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울트라 테크놀로지스트’가 만든 똑똑한 환상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수 있다. 화면에서 마음에 드는 별이나 별자리를 고르면, 그 모양으로 ‘무한 크리스탈 우주’가 구성된다. 심도 감지 카메라가 공간을 3차원(3D)으로 스캔한 뒤 메인 컴퓨터로 전송하면, 그 공간에 딱 맞게 별 모양을 맵핑시키는 원리다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제어가 쉬운 액체로켓이 용이하다. 액체로켓은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어렵지만 현재 우주 선진국들은 대부분 액체로켓을 쓰고 있다. 2013년 발사에 성공한 ‘나로호’ 1단에도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이 쓰였다. 2021년 발사 예정인 ‘누리호’는 1, 2, 3단이 모두 국산 액체연료엔진으로 설계됐다. ... ...
- [에디터노트] KSC의 품격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위해 영화 ‘퍼스트맨’ 시사 가 열렸다. KSC의 품격은 역사에서 나온다. 미국 정부가 우주 개발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부으며 내세우는 주된 가치는 ‘젊은 세대를 위한 영감(inspiration for young generation)’이다. KSC 전시관들은 향수를 통해 업적을 자랑하는 대신, 과거의 도전이 미래의 도전으로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수상 연구는 전반기에 방사선과 X선, 원자이론, 양자역학이 많았고, 후반기에는 광학, 우주 천문학, 소립자 이론이 우세했다. 시대가 바뀌어도 대부분 정통 물리학에 속한 연구 업적이 물리학상을 수상한 셈이다.반면 화학상은 전반기에는 유기화학과 물리화학이 주요 수상 분야였지만, 20세기 ...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라는 외계 생물 때문이다. 심비오트는 공생체 생물을 뜻하는 말로, 이 외계 생물은 우주를 떠돌며 인간 등 여러 숙주에 기생해 살아간다. 물론 심비오트는 영화 속에만 존재하는 상상의 생물이지만 영화는 현실에 상상을 더해 만드는 것. 그렇다면 지금부터 현실 속 ‘심비오트’를 찾아보자 ... ...
-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봉쇄해 다른 모듈의 공기까지 새어 나가는 것을 막았다. 스펙터 모듈의 태양전지판은 우주정거장에 공급하는 전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이 사고 때문에 미르의 전력 공급에 차질을 빚게 됐다. 이후 수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미르의 전력 공급은 충돌 이전의 70%에 그쳤다 ... ...
- Intro. 아마추어 과학자들의 대활약!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안녕! 나는 취미로 스파이 위성을 찾는 아마추어 과학자! 요즘 나처럼 취미로 과학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많다며? 나도 질 수 없지! 위대한 발견을 위해 날마다 눈이 빠져라 위성 신호를 찾고 있는데…. 어? 마침 모니터에 수상한 신호가 잡힌 것 같아!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아마추어 ... ...
- Part 1. 인공위성 IMAGE를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어렸을 때 짧은 파장의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해 우주를 추적하는 소련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었어요. 그리고 이 방법을 이용해 아버지와 함께 위성을 찾았지요. 그 경험이 이어져 지금도 이렇게 위성을 추적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신나게 위성을 찾을 거예요. ... ...
- [수학뉴스] 우주에선 중력파로 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전송 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특히 문자 그대로 ‘천문학적’ 시공간을 이동하는 우주에서는 더 큰 문제가 되죠. 연구팀에 따르면 중력파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은 왜곡이나 전송 기능 저하 없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고 합니다.마르코바 연구원은 “중력파와 같은 파동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는 ... ...
- [TECH]大화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디스플레이 후보로는 폴리이미드(PI) 소재가 각광받고 있다. 폴리이미드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처음 개발했는데, 내구성이 강하고 복원력이 뛰어나며 얇게 제작할 수 있어 폴더블폰 디스플레이 재료로 안성맞춤이다. 이 본부장은 “코오롱인더스트리가 2016년 세계 최초로 투명 PI필름 개발에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