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 결과는 올해 10월 17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됐다. doi:10.1038/s41586-018-0605-1 우주의 미세중력 환경에서는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를 좀 더 오래 지속시킬 수 있다. 한 번에 최대 10초 동안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를 관측할 수 있으며, 하루에 6시간 동안 실험을 지속할 수 있다. 현재 CAL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채윤이가 이해했다는 듯이 고개를 끄덕였어요.“맞아요. 처음에는 빅뱅이 시작될 때의 우주로 갔어요. 그러더니 얼마 전에는 우리가 야구공 위에 올라설 수 있을 정도로 작아졌죠.”“시간과 공간은 지금도 마음대로 움직이고 있단다. 저길 보렴.”그러고 보니 수호와 채윤이를 둘러싼 공간이 ... ...
- [화보] ‘울트라 테크놀로지스트’가 만든 똑똑한 환상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수 있다. 화면에서 마음에 드는 별이나 별자리를 고르면, 그 모양으로 ‘무한 크리스탈 우주’가 구성된다. 심도 감지 카메라가 공간을 3차원(3D)으로 스캔한 뒤 메인 컴퓨터로 전송하면, 그 공간에 딱 맞게 별 모양을 맵핑시키는 원리다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제어가 쉬운 액체로켓이 용이하다. 액체로켓은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어렵지만 현재 우주 선진국들은 대부분 액체로켓을 쓰고 있다. 2013년 발사에 성공한 ‘나로호’ 1단에도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이 쓰였다. 2021년 발사 예정인 ‘누리호’는 1, 2, 3단이 모두 국산 액체연료엔진으로 설계됐다. ...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모두 시뮬레이션에 담을 예정”이라며 “기존보다 27배 큰 규모로 세계에서 가장 넓은 우주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57만20개 코어, 연산 성능 세계 13위 누리온은 인공지능(AI) 개발과 해저로봇, 항공기의 동역학 연구, 태풍 등 자연재해 예측, 신소재 개발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연구 시간의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그 움직임의 비밀을 알아낼 수 있다. 그러니까 수학자들은, 이 바보 같은 천재들은 우주선 따위는 필요 없이 오직 이성과 논리, 약간의 필기구를 가지고 직접 말을 걸고 있는 것이다. 빛나지 않는 별들에게도.” 이 순간 도진은 자신의 솔직한 마음을 깨닫는다. 수학을 좋아하고 재미있다고 느끼는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연자의 ‘아모르파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당시 푸앵카레가 니체를 만났다면 이렇게 말했을지도 모릅니다. “시간은 무한하고, 우주가 유한하면 당신의 말은 확률 1로 옳습니다.” 물론 엄밀하게 말하자면 수학적인 조건이 더 필요하겠지만요. 어찌됐든 우리 모두 아모르파티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그리고 이렇게 해서 지구로 도달한 태양에너지의 30%는 대기와 지표에서 반사돼 우주로 되돌아가고, 약 70%의 에너지가 지구에 흡수돼 다양한 형태로 전환된다. 지구를 비롯한 모든 행성은 공 모양이다. 이 때문에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가 위도에 따라 달라 위도별 열수지에 차이가 난다.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결과인지 분석한다. 대기 오염물질을 7km 간격으로 관측할 수 있다. 양군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지궤도복합위성사업단 책임연구원은 “환경 관측은 기존 천리안 1호에서는 없던 새로운 기능”이라며 “바다 또는 대기를 통해 넘어오는 오염물질을 추적하기 용이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는 ...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아직 실험에서 확인되지는 않았다. 이 부연구단장은 “이 현상이 발견되면 우주에 반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암흑물질 검출과 중성미자 미방출 이중베타붕괴 탐지 실험은 완전히 다른 실험이지만, 희귀한 반응을 포착하기 위해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