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꿈틀대는 강속구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반대로 100% 백스핀을 99가진 직구는 12시 방향공이라고 부른다(이들이 회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이다). 팔을 수직으로 올리고 공을 던지는 오른손 정통파 투수의 싱커는 보통 2시 방향의 스핀을 띤다. 이렇게 스핀이 대각선으로 생기면 위아래로 공이 움직일 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공이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파장이 긴) 빛은 아무리 강한 세기로 비춰도 전자가 튀어나오지 않았다. 반면 진동수가 기준 이상으로 큰(파장이 짧은) 빛은 아주 약하게만 쪼여도 전자가 바로 튀어나왔다. 빛을 파동으로 해석하는 고전전자기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었다. 예컨대 아무리 붉은 빛을 강하게 쪼여도 흐르지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반드시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이때 전체 수열의 길이가 1161이라고 것도 밝혀냈다. 기준이 1일 때 1과 -1을 12개까지 알아야 했다면, 2일 때는 1161개까지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연구팀은 논리식을 만들어 컴퓨터로 풀었다. ‘첫 번째가 +1이면 두 번째도 +1, 세 번째는 -1이어야 한다’처럼 여러 가지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어요.한편 전세계 과학자들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질량의 기준을 정의하기 위해 전자기력과 중력을 이용해 질량을 재는 와트 저울을 개발 중이랍니다. 이제 초파리인 내가 조금 달라 보인다고? 후훗! 친구들도 사소한 일상 속 과학을 찾는다면 언제든 사소 요정을 ... ...
- 야구는 수학 놀음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값부터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앙에 있는 값을 일컫는 중앙값도 있다. 이처럼 대푯값은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1, 4, 5, 5, 5, 6, 8, 9, 9, 9, 12가 있을 때 평균은 6.64, 중앙값은 6, 최빈값은 5와 9가 된다.결과는 어떻게 됐을까? 스미스의 타구는 역시나 우측 내야로 향했다. 그리고 3루 주자를 ... ...
- [참여] 우리 학교 수학축제로 놀러 오세요! 호곡중 수학원정대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높은 하늘과 쾌청한 바람. 가을은 축제를 즐기기에 좋은 계절이다. 이런 저런 축제 소식이 들리던 가을의 어느 날, 수학축제가 열리고 있다는 소식을 접했다. ... 재밌고 즐거운 수학을 찾아 떠나는 수학원정대의 활동이 더욱 기대된다.[클리노미터★기준면에 대한 경사를 측정하는 기기. ... ...
- 전통의 색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국립문화재연구소는 2014년부터 전통안료의 제조법과 품질 특성, 안전성, 시공 방법 등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이미 올해 초까지 기초적인 문헌 조사와 업체 현황 파악을 마친 상태이지요. 정 연구사는 “지금은 토양 안료의 제조기술을 실험하고 있다”며 “내년부터 암석 ... ...
- [Knowledge] 자존감에 집착하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생각했던 문제들이 어쩌면 자존감의 문제가 아닐 수 있다. 자신의 삶에 지나치게 높은 기준을 설정한 것은 아닌지, 내 삶을 정말로 즐겁게 하는 재미 요소들이 주변에 있는지, 나는 무엇을 할 때(남들과의 비교나 다른 이에 대한 험담이 아닌) 보람을 느끼는지 등을 먼저 살펴보자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날카로운 V자형 둘로 나눌 수 있다. 톰슨 연구원팀은 340만 년 전 뼈 화석에도 같은 기준을 적용했다. 이렇게 분석한 뼈 화석 속 홈은 V자형으로, 석기를 이용한 인위적인 도축의 흔적일 가능성이 높았다. 당시에 이미 사냥 및 고기 손질 도구로서의 석기가 만들어졌다는 뜻이다. 연구 결과는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일주일간 실시됐다. 연구팀은 정서를 정량화하기 위해 긍정적인 단어, 부정적인 단어를 기준으로 뉴스피드 게시물의 빈도수를 조절했다. 그 결과 부정적인 게시물에 노출된 빈도가 적어진 사람들은 게시물을 올릴 때 대조군에 비해 긍정적인 단어는 더 많이, 부정적인 단어는 더 적게 썼다. 반면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