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 바이오블리츠-생물다양성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중요했어.태화강은 예전에는 생물들이 살기 힘든 곳이었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을 기준으로 보면 1996년에는 11.3ppm으로 6등급의 더러운 물이 흐르고 있었거든. 하지만 2008년 태화강 하류 일대를 생태·경관 보전지역으로 선정하고, 태화강 살리기 운동을 펼치는 등 태화강을 깨끗하게 만들려는 ... ...
- 생명력이 꿈틀꿈틀~! 생물의 구조와 기능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같은 동물들은 한자리에 붙어서 살지요.따라서 동물과 식물을 정확하게 구분하는 기준은 ‘자신이 사용할 양분을 스스로 만들 수 있는가’예요.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만, 동물은 스스로 만들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식물이나 동물을 잡아먹어서 영양을 보충해야 해요.뿌리, 줄기 ... ...
- [출동! 명예기자] 에너지를 팝니다! 에너지 슈퍼마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않고 수은도 쓰지 않아. CO₂ 배출량도 80% 정도 줄일 수 있어서 하루 12시간, 1년 사용을 기준으로 하면 나무 30그루를 심는 것과 맞먹는 효과가 있단다.이렇게 장점이 많은 LED 램프지만 딱 한 가지 단점이 있어. 바로 백열전구나 형광등보다 비싸다는 거야. 그래서 에너지슈퍼마켙에서는 중간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科學)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인해 재해가 일어날 우려가 있을 때 호우주의보를 발표해요. 호우주의보를 발표하는 기준은 강수량이 6시간 동안 70mm 이상이거나, 12시간 동안 110mm 이상이 예상될 경우이지요. 이보다 더 심한 호우경보는 강수량이 6시간 동안 110mm이상이거나 12시간 동안 180mm 이상일 때 발령된답니다.長마 장마 (길 장, ... ...
- [가상인터뷰] 사막의 더위를 이기는 사하라 은색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수 있거든요. 보통 먹이를 찾아 200m 거리까지 나가는데, 먹이를 구한 뒤엔 태양의 위치를 기준으로 삼아서 곧장 집으로 돌아오죠. 방향을 아는 건 우리에게 꼭 필요한 생존 전략이에요. 더운 사막에서 길을 잃었다가 자칫하면 죽을 수도 있거든요.사막은 너무 덥지 않아? 나와 같이 지구 정복 여행을 ...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된다. 때문에 가창오리 같은 작은 종을 제외하면, 동물의 몸에 무선추적기를 달 때 국제기준으로 삼는 ‘몸무게의 3% 미만’ 규정에 위배되지 않는다. 특히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신호와 함께 휴대전화 기지국 통신망도 사용하기 때문에 위치를 알려주는 오차범위가 GPS만을 이용했을 때(50m 안팎 ... ...
- 미래 에너지 기술 이끌 인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응답 10분으로 이뤄졌으며, 창의성, 성과물의 완성도, 사업화 가능성, 기술이해도 등을 기준으로 심사했다.그 결과, 고등부에서는 자가발전 자전거 무인 대여 서비스를 개발한 서울 양천고 ‘런앤런’ 팀이 대상을 차지했다. 자전거를 이용하는 동안 내부의 발전기를 통해 생산된 전력을 축전지에 ... ...
- 물대포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백남기 씨가 경찰이 쏜 물대포를 맞고 쓰러져 중태입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물대포안전기준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경찰에는 살수차 운영지침이 있습니다. 그중 살수세기와 관련된 부분을 살펴보면, 시위대와의 거리가 10m 이내일 경우에는 3bar, 15m는 5bar, 20m는 7bar 내외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1bar는 ...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내부의 파동함수는 이 자기다발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 그런데 초전도체 내부의 한 점을 기준으로 파동함수가 도넛 둘레를 한 바퀴 돌아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왔다면, 처음과 나중의 파동함수는 당연히 같아야 한다. 우리가 운동장을 한 바퀴 돌았다고 다른 사람이 될 수는 없듯이, 같은 위치에서 ... ...
-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단국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문제가 많았던 실험”이라고 지적합니다.“쥐의 몸무게 기준으로 1kg당 2g의 MSG를 피하 조직에 주사했어요. 몸무게 60kg인 사람으로 치면 MSG 120g을 주사한 거지요. 어처구니없이 많은 양이었습니다.”백 교수는 “지금까지 제대로 된 실험에서 MSG가 문제를 일으킨 적은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