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색
조사
추적
탐색
찾아주기
d라이브러리
"
찾기
"(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음파로 지문 감식하는 휴대용 기기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범죄수사대는 범인이 남긴 지문의 흔적을 찾아 범행현장 곳곳에 지문감식용 분말을 뿌린다. 분말이 묻은 지문 형상을 특수 테이프에 묻혀 떼어낸다 ... 편리하다. 두베이 교수는 “분말과 화학물질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지문의 소유자를
찾기
까지 100만분의 1초 정도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생식하기 위해 교미 상대를 찾을 때부터 교미할 때까지의 행동 교미 상대를
찾기
까지의 행동, 암수가 서로 만나 반응이 이뤄지기까지의 행동, 그리고 교미 중 행동 등으로 나눌 수 있다동물 특히 곤충이 체외로 분비하는 미량의 물질 동료에게 성적 유인을 포함한 어떤 행동을 일으키게 한다 예를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극복해야 했기 때문이다. 즉 뇌가 커지려면 다른 비싼 조직이 작아져야 하는데 그 후보를
찾기
가 쉽지 않다. 정제된 영양분인 포도당을 좋아하는 뇌를 위해 간은 끊임없이 글리코겐에서 포도당을 만들어 대줘야하므로 작아질 수가 없다. 심장과 콩팥도 마찬가지. 남은 건 소화기관이다.그런데 이걸 ... ...
2세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국내에서는 2천만명이 넘는 회원을 가진 ‘싸이월드’가 대표적이고, 이에 앞서 동창
찾기
열풍을 불러일으킨 ‘아이러브 스쿨’도 SNS 중 하나다.아이러브스쿨이 불러온 파장은 대단했다. 연락이 두절된 과거 친구들을 만날 수 있다는 입소문이 퍼지면서 2000년 9월 한달 동안에만 98만명이 가입할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내부 모습을 찍을수있다. 또 속에 들어 있는 물질까지 구분할수있다. 금속 탐지기로
찾기
어려운 플라스틱 폭탄도 쉽게 찾는다. 특히 T선은 암세포와 건강한 세포를 잘 구분해서 보여 준다.T선의 장점은 X선보다 안전하다는 점이다. X선은 에너지가 높아서 몸에 해롭다. 그래서 자주 찍을 수 없다. ... ...
가을 밤하늘 '외계인의 고향'
찾기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저 혹시 고향이… 안드로메다 아니십니까?”2003년 개봉한 영화 ‘지구를 지켜라’는 강만식(백윤식 분) 사장을 안드로메다은하에서 온 외계인이라고 믿는 병구(신하균 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소설이나 영화에서 외계인 이야기만 나왔다하면 단골로 등장하는 안드로메다은하. 깊어가는 가을 ... ...
수학으로'돈의 흐름' 쫓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받고 난 뒤 KAIST에서 강의를 하면서 수학을 현실세계에 응용할 수 있는 분야를
찾기
시작했다. 주위에서는 생명공학에 기하학을 응용하는 분야를 추천해주기도 했지만 그에게 생명공학은 너무 생소했다.그런 가운데 눈에 들어온 분야가 사회현상에서 뽑아낸 여러 통계 데이터를 기하학적으로 ... ...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마그마나 단단한 관입암이 있는지를 파악해 이를 피해갈 수 있는 최적의 시추 경로를
찾기
위해서다.메가스플레이 단층에 각종 계측기를 직접 설치해 실시간으로 지진을 감시하는 작업은 총 3단계로 진행돼 2012년쯤 마무리된다. 이번 탐사는 1단계에 해당되며 2단계에서 3~3.5km, 3단계에서 5.5~6km를 ... ...
LG사이언스홀로 떠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사용하면 지구온난화를 걱정하지 않아도 돼.동해에서 석유 대신 쓸 얼음메탄
찾기
게임도 했지. 우리가 직접 태양에너지 조이스틱과 바람개비로 만든 에너지를 ID카드에 저장했어. 미래의 도시가 눈앞에 보이는데 너무 캄캄해. 청정에너지를 저장한 ID카드를 대자 환~하게 밝아지는 도시! 모노레일이 ... ...
모든 병은 '페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페트재질 자체도 조금씩 다르다. 경제성과 기능성을 고려해 목적에 맞는 최적의 조건을
찾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생수병과 콜라병을 놓고 보면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꽤 다르다. 같은 용량일 경우 생수병이 더 가볍다. 즉 두께가 더 얇다.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밑 부분이다. 생수병은 편평한데 비해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