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점"(으)로 총 8,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현량자고(懸梁刺股). 머리카락을 대들보에 묶고, 허벅지를 송곳으로 찌르며 글을 읽었다는 중국의 성어다. 졸음을 쫓아가며 학업에 매진하는 열정을 뜻한다. 한국 토박이인 필자가 ‘제2의 인생’을 펼칠 장소로 중국을 선택한 것은 중국 젊은 과학자들의 현량자고 정신에 반했기 때문이다. 업무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 같은 일은 짧게는 10여 년 사이에 현실이 될 수 있다. 심장이나 간, 대장과 소장, 췌장 등 몸속의 다양한 장기를 만들어 쓸 수 있는 세상이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장기 이식 수술을 받기 위해 다른 사람의 몸에서 건강한 장기를 떼어 와야 한다. 적합한 도너(장기제공자)가 나타날 때까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편집자주 - 과학자에게 논문은 지식을 얻거나, 연구 방향을 잡거나, 아이디어를 얻는 보물창고와도 같습니다. 연구 주제를 정하고 관련 분야의 논문을 본격적으로 파기 시작하는 박사과정 연구원과 최신 연구 동향에 밝을 수밖에 없는 박사후연구원이 직접 해당 분야의 기념비적인 논문을 선정하 ...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2016년 노벨화학상은 ‘분자기계(molecular mechanics)’에 돌아갔다. 머리카락 굵기의 1000분의 1 크기의 화학 구조물인 분자기계는 빛이나 열과 같은 외부 자극에 반응해 기계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새로운 개념으로 큰 관심을 모았지만, 아직까지 기술에 직접적으로 적용된 적이 없었다. 그런데 2017년 ... ...
- Part 3. 역사의 흐름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미국의 SF 작가 아이작 아시모프의 소설 ‘파운데이션’에 등장하는 수학자 해리 셀던은 개개인의 행동을 예측하는 방정식을 이용해 은하 제국의 미래를 예측합니다. 곧 중앙 권력이 부패하고 장군들이 반란을 일으켜 폐허가 될 거라고 말이죠. 평화와 번영이 가득할 것 같았던 은하 제국은 몇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클래식음악을 뮤지컬로 만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국내 최초의 오페레타 뮤지컬!기자단 친구들이 공연장에 들어가자, 연주를 위해 악기를 조율 중인 오케스트라의 모습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왔어요. “공연이 너무 기대돼서 어젯밤 잠을 이루지 못했어요. 얼른 보고 싶어요!” 기자단 친구들은 설레는 마음으로 막이 오르길 기다렸어요. ...
- [특별 인터뷰] 지구사랑 탐사대, 탐사 내공으로 연구도 척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지난 9월 ‘제63회 전국과학전람회’에서 대원들이 특상을 받았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어요! ‘전국과학전람회’는 올해에만 6000여 명이 참가할 정도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역사가 오래된 과학탐구 대회랍니다. 평소 로 내공을 쌓아온 대원들이 ... ...
- Part 3. 소행성의 흔적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소행성이 접근하면 모두 나처럼 공포에 떨 줄 알았는데, 오히려 소행성을 반가워하는 과학자들도 있구나. 거기에 한술 더 떠서 지구에서 소행성의 흔적을 찾는 과학자들이 있다는 얘기를 들었어. 소행성의 흔적에서 무엇을 찾으려고 하는 걸까? 브레드포트 돔에서 지구의 역사를 찾다지구와 충돌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인류와 함께 4000년! 쇠, 철, 강-철의 문화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인류의 역사를 뒤바꾼 ‘철’‘철’로 만든 것은 얼마나 많을까요? 주변을 한 번 둘러보세요. 자동차와 비행기 같은 큰 수송수단부터, 우산이나 핀과 같이 작은 물건까지 철이 안 쓰인 곳이 없어요. 이제는 더 이상 철 없이는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랍니다. 그럼 철은 어떤 역사를 거쳐서 지금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어둠 속에 남겨진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동굴 안 물구나무 서기 왕, 박쥐! 박쥐의 서식지는 동굴이에요. 동굴은 빛이 들지 않아서 매우 어둡고 먹이가 많지 않아 비교적 살기 힘든 환경이지요. 박쥐는 이곳에 적응해 살기 위해 초음파를 이용해요. 입에서 발사된 초음파는 물체나 먹이에 부딪힌 뒤 반사되어 다시 박쥐에게 돌아오지요. 이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