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
일단
만억
단
팀
d라이브러리
"
조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경우 사망할 위험도 있다고 경고하면서 이를 난자 제공자에게 분명히 알려야 한다고 강
조
했다. 이에 대해 황 교수팀은 “충분히 알렸다”고 답했다.논평은 과학자가 외국에서 배아복제 연구를 할 때 어느 나라의 규정을 따라야 하는지명확히 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황 교수 연구에는 서울대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지난해에는 0.000000191달러였다. 신문에 인쇄된 글자 하나 값이다. 전기 스위치를 15
조
번 켜고 끄려면 2만5000년 정도 걸리지만 요즘 트랜지스터는 1초에 같은 수만큼 켜고 끌 수 있다. 무어의 신화는 계속되는가? 불투명하다. 2010년이 되면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줄이는 기술이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 ... ...
머리카락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유전자를 제거했더니 흰 털이 났다. 또한 사람 모낭에서 멜라노사이트 줄기세포의 양을
조
사한 결과 40~60대는 20`~30대의 50%, 70대 이상은 10%에 불과했다고.최근 로레알 연구소는 멜라노사이트 내부에 있는 다이하이드로옥시인돌이라는 물질이 멜라닌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는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문제점이 있다는 사실을 쉽게 납득할 수 없다. 그러나 생각해 보자. 우리는 눈의 망막에
조
그마한 뒤집힌 상을 맺고 대상물 주변의 구별된 물체들을 본다. 이런 망막의 단순하게 보이는 자극패턴을 통해 우리가 대상물이 속해 있는 세계를 인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기적이라고 밖에는 설명할 수 없다 ... ...
빅뱅 직후 우주는 액체 상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실험을 계속해왔다. 이 충격으로 빅뱅 후 수십만분의 1초 뒤의 우주 온도인 약 1
조
℃ 이상의 상태를 재현했다. 초고온 초고밀도의 ‘모의 우주’를 만든 것이다.모의 우주가 기체 상태라면 물질의 최소단위인 쿼크가 사방으로 튀어나가야 하는데 연구진이 예상했던 것과 달리 수평 방향으로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비행의 세 가지 규칙을 얘기했다. 비행기와 사랑에 빠지지 말 것, 충돌을 피하지 말고
조
종기술을 믿을 것 그리고 준비가 완벽하지 않으면 절대 비행하지 말 것. 5개월 이상 지구촌을 가로질러 5만km 이상을 비행하게 될 이번 여정에서도 이 규칙들은 나를 지켜줄 것이다.2000년 세계 최초로 덮개가 없는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할 숙제가 아직 남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T선 기술로 피부암 등 암을 검진할 경우 T선이
조
직내부를 투과하는 것이 아니라 반사된다. 투과형의 경우 T선이 물에 쉽게 흡수되는 문제점이 있어 임상에 활용하기에는 아직 어렵기 때문이다.하지만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개발한 자유전자레이저는 ... ...
03 세계는 종자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아마존강의 상류지역으로 수많은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지만 아직 제대로 파악
조
차 되지 않고 있다고 한다. 이 곳에 있는 페루국립아마존연구소를 방문했는데, 이 연구소는 수많은 아마존의 식물을 연구하기 위해 국가에서 세운 것이었다. 필자를 포함한 현지 답사단은 데니스 델 카스티유 또레스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없애와 배출권을 확보했다. 그러나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해 2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
사한 결과 58.7%가 기후협약에 대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기후협약이 국내 경제에 큰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구
조
체가 방사형일 때 에너지 효율이 가장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아직까지는 인공 구
조
체의 효율이 광합성의 10분의 1에 그친 정도다. 기술적으로 3차원 공간 배열이 어렵고, 분자 배열시 표면을 고르게 만드는 것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로는 빛 알갱이 하나를 에너지원으로 삼는 태양전지가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