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과학동아 l2005년 11호
- 간단히 측정할 수 있게 됐다. 광주파수 빗이 일종의 측정용 ‘자’ 역할을 하는 셈. 100조분의 1 초까지도 정확히 측정 가능해졌다. 1983년 채택된 시간 표준을 이용한 새로운 미터 표준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 탄생한 것이다.또한 광주파수 빗을 안정시키면 시간과 공간에서 펄스들 사이의 ... ...
- 에너지 독립국가 건설하는 화학자과학동아 l2005년 11호
- 한국원자력연구소 장인순(65) 고문은 ‘못 말리는’ 수학 예찬론자다. 올해 4월 소장직을 물러남으로써 27년의 연구소 ‘현역 활동’을 마쳤지만 아직까지 박사급 연구원들에게 틈만 ... 1985년 국민훈장 목련장, 1988년 과학기술처장관상(연구개발상), 2005년 과학기술훈장 창조장을 받았다 ... ...
- 56년의 난제 다시 미궁에 빠지나?과학동아 l2005년 10호
- 귀 기울여 경청해봐야 할 때라는 지적이다. 포항공대의 한 교수도 “실제 내용보다 조금 과장된 해프닝이라 하더라도 과학계 전체에 대한 공신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는 점에서 이번 발표에 문제가 있다”면서 “연구 성과를 알리는 것 외에 다른 의도가 숨어 있다면 더욱 문제는 심각해진다”고 ... ...
-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과학동아 l2005년 10호
- 펨토초 간격으로 발사하면 펨토초 동안에 벌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펨토초는 1000조분의 1초다.맵다 | 맵다는 감각은 사실 맛이 아니라 통증이다. 즉 고추를 먹으면 통증을 느끼고 이것을 뇌는 매운 맛으로 인식한다. 이 글에서는 일상 용어인 ‘매운 맛’이라는 말을 썼다.중간체 | 효소, 항체 ... ...
- 2. 번개처럼 사라지는 입자과학동아 l2005년 10호
- 양성자(d쿼크 1개, u쿼크 2개)나 중성자(d쿼크 2개, u쿼크 1개)를 구성한다. 렙톤은 내부구조도 없고 부피도 거의 없는 점입자에 가까우며 강력을 제외한 전자기력, 약력, 중력이 작용한다.다 양 한 길 이 의 순 간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가장 짧은 순간은 귀가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0.0001초다. 맨눈으로 ... ...
- 강원도 산골에서 만난 바닷가 나비과학동아 l2005년 09호
- 년에 걸쳐 만든 자연 속의 청정 생태학교다.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산골의 허름한 집을 개조해 풀과 나무를 심고 곤충을 사육하며 일궈나갔다. 지금은 식물생태관, UFO 나비집, 실험실, 박물관 등을 갖춘 2만2000평 규모에서 자연 그대로의 생태계를 유지하며 교육 목적으로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 ...
- 내 귀에 도청장치가 있다과학동아 l2005년 09호
- 성장하고, 기술이 발달할 때마다 새로운 도청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이다.영국의 소설가 조지 오웰은 1949년 소설 ‘1984년’에서 미래 인류사회에는 ‘빅 브라더’라는 독재자가 나타나 개인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하지만 한 번 생각해보자. 교통카드를 찍을 때마다 내가 ... ...
- 폐암 토막상식과학동아 l2005년 09호
- 세포기관이 없고 비교적 단순한 원형질 막구조를 가진 생물 박테리아나 청록조류 등이 이에 속한다 단순 이분법으로 다음 세대가 형성되므로 세대간 또는 개체간 변이나 생물군 내 다양성이 나타날 가능성이 적다핵을 비롯한 여러 세포기관들을 구비한 생물 세대간 양친 유전자의 배분에 의해 ... ...
- 나노 바코드 레이블과학동아 l2005년 09호
- 응용분야가 포함돼 있다 대체에너지개발을 목표로하는 선샤인(sunshine) 계획과 대조적인 명칭으로 불려져 눈에 두드러지지는 않지만, 최첨단 기술을 포함하고 있는 중요한 프로젝트다 프로젝트별 예산은 연간 수천만 엔에서 1억수천만엔 규모과망간산 칼륨(KMnO₄)이나 중크롬산칼륨(K₂Cr₂${O}_{7}$)과 ... ...
- 도전! 판타스틱4과학동아 l2005년 09호
- 늘어난다. 이것도 일리가 있다. 고무를 연구하고 있는 내 친구인 포항공대 화학공학과 조길원 교수에 따르면 가장 탄성력이 좋은 고무는 10배나 늘어날 수 있다고 한다. 주인공 키를 대충 2m라고 볼 때 20m는 늘어날 수 있다.조 교수가 “앞으로 고무 기술이 발전하면 2m인 주인공이 100m까지 늘어날 수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