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야기
야그
야기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얘기
"(으)로 총 3,46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의 카메라 속 남극이야기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오지 않는 땅의 주인이 돼 당당하게 살아가는 펭귄의 모습에 생각을 바꿨다.남극을
얘기
할 때 스쿠아를 떠올리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하지만 남극에 한번이라도 다녀왔다면 스쿠아에 대해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스쿠아는 남극에 사는 도둑갈매기로 생태계의 상위포식자다. 하지만 펭귄처럼 귀엽지도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환각 진동 증후군’(phantom vibration syndrome)이라 소개했다.이런 증후군이 먼 나라의
얘기
만은 아니다. 지난 6월 초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 공개한 보고서 ‘휴대전화 중독 원인분석’에 따르면, 12~39세의 164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도 벨소리가 들리거나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김종원 교수는 시간이 날 때마다 가족력*이 있는 질병을 접하게 되면 자신에게 꼭
얘기
해달라고 주위 교수들에게 부탁해뒀다. 어느 날 이비인후과 홍성화 교수는 난청환자인 C씨의 가족 중 비슷한 증상을 가진 사람이 더 있다며 김 교수에게 따끈한 ‘제보’를 건넸다. C씨 집안을 대상으로 3대에 ... ...
만물의 영장 빚어낸 손가락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생명을 불어넣는 장면이 있다. 하지만 성경에서 천지창조를 묘사한 창세기에는 손가락
얘기
가 전혀 나오지 않는다. 사람의 코를 통해 생기를 불어 넣었다고 언급할 뿐이다. 미켈란젤로는 왜 손가락에 집중했을까. 인간을 만물의 영장으로 만든 일등공신 손가락의 공적을 알게 되면 천지창조의 ... ...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구성하는 공기는 사실 단점이 아닌 장점이었어. 단 2%의 원료만으로도 만들 수 있다는
얘기
니 얼마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지 짐작이 가지? 필요한 것은 98%의 공기뿐이야. 속이 비치도록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1969년 미국 아폴로계획에 참가해 달을 탐사하고 돌아온 닐 암스트롱. 그가 인류 역사상 ... ...
PART1. 세컨드라이프가 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컴퓨터 그래픽!안녕? 왜 갑자기 세컨드라이프
얘기
를 하다가 내가 나왔냐고? 앞에서도
얘기
했듯 세컨드라이프는 3차원 컴퓨터 그래픽(3D)으로 이루어진 가상의 세상이지. 그러니까 3차원 컴퓨터 그래픽에 대해 한 수 가르쳐 주기 위해 슈렉님이 나오셨다 이 말씀!우리 친구들이 도화지에 그림을 ... ...
PART2. 현실이 되는 가상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사람은 가상세계를 경험하지 못하는 거 아냐?유후~, 역시 상준이는 예리해. 지금 막그
얘기
를하려던 참이거든. 근데 내 바뀐 모습 어때? 새로 디자인해서 변신 좀 해 봤지.나 자신이 곧 아바타!먼저 상상을 해 볼까? 만약 상준이가 직접 가상세계의 아바타가 된다면?그러니까 이용자 모습이 그대로 ... ...
파리, 모기 요건 몰랐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뭐 아는 거 있냐구! 우리를 해충이 아니라 곤충으로 자세히 알아보고 싶지 않니? 우리의
얘기
들어 볼래? 우리가 많은 이유다른 곤충 친구들은 빌딩과 아파트가 많아지고 환경이 더러워지면서 살기가 어려워졌어. 하지만 우리 파리와 모기는 더러운 환경에서도 잘 살 수 있지. 또 환경의 변화로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 (십자가가 없으면 면류관도 없다.)“제가 ‘비온 뒤에 땅이 굳는다’라는 한국 속담을
얘기
했더니 브록스마이어 교수도 같은 맥락의 영어 속담으로 답하더군요.”현재 두 사람은 다양한 줄기세포에서 마이크로 RNA(miRNA) 발현 패턴을 분석하는 새로운 공동연구를 시작했다. miRNA는 단백질의 발현을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경도를 측정하려는 노력도 늦게 나타났다.한양의 정확한 위도 알고도 못썼다 먼저 위도
얘기
를 해보자. 우리 역사에서 위도에 대한 기록은 고려시대부터 발견된다. 고구려, 백제, 신라나 통일신라, 발해 등에서도 북극출지도를 측정하고 공식적인 수치를 정해놓았을 것이나 이에 대한 기록은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