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야기
야그
야기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얘기
"(으)로 총 3,464건 검색되었습니다.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모처럼 맘먹고 책을 들었는데 부엌에서 엄마가 “게임 좀 그만하고 공부 좀 해라!”고
얘기
하면 보던 책도 덮고 컴퓨터 전원 스위치를 켜는 것은 반항심 때문만은 아니다.요양원에서 행해진 실험결과는 의지, 즉 통제력의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화초를 주면서 한 집단에는 노인 스스로 돌보게 했고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지구의 기후를 조절해온 자연 주기가 힘을 잃을 수도 있다는
얘기
다.다음 빙하기가 찾아올 시점이 앞으로 수천 년 뒤일지, 수만 년 뒤일지는 불투명하다. 그러나 기후가 예측불허의 상황으로 치닫는 것을 막기 위해 지구온난화라는 변수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는 점은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열은 이미 100W/㎠을 넘어 섰다. 손톱만한 칩이 손바닥만 한 100W 전구보다 더 뜨겁다는
얘기
다.전문가들은 2010년에는 손톱만한 칩에서 1000W/㎠의 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런 추세라면 방안에 컴퓨터 한대만 켜 놓으면 ‘불타는 칩’ 때문에 난방기 없이 겨울을 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열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외치고 싶었다.그동안 ‘작곡가 조진원’이라는 타이틀이 쑥스럽고 또 너무 오래 전
얘기
인 것 같아 의식적으로 숨기려했는지도 모른다. 나는 밴드 경험도 없고 대학가요제 출신도 아니었다. 하지만 이 날 동시대에 음악을 하고 음악을 사랑했던 사람들과 함께 호흡하면서 진정한 행복을 느꼈다 ... ...
EPISODE2 판게아 프록시마 원정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남극대륙만 제자리를 지킨 채 나머지 대륙이 모두 모여 하나의 거대한 대륙을 이룬다는
얘기
다. 미국 하버드대의 폴 호프만 교수는 하트나디 교수의 의견에 동의하며 2억 5000만 년 뒤에 나타날 이 초대륙에 ‘아마시아’(Amasia, America+Asia)라는 이름을 붙였다.1990년대 후반 영국 케임브리지대 로이 ... ...
겨울 바다에 밀려온 검은 재앙 태안 원유 유출 사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넙치, 우럭은 땅에 묻혔다. 수십 년간 이곳에서 나는 수산물은 먹을 수 없을 거란
얘기
가 돌았다. 그러나 지금 태안에서는 물에 뜬 기름덩어리와 함께 희망을 건져 올리는 작업이 한창이다. 손에 손을 맞잡은 자원봉사자와 방제전문가, 생물영향평가를 하기 위해 모인 과학자의 노력이 모이며 태안의 ... ...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기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방제작업이 ‘티끌모아 태산’의 힘을 발휘한 것이다. 특히 유(油)흡착제가 부족하다는
얘기
에 헌옷가지까지 챙겨 현장을 찾은 자원봉사자들의 행렬은 사람들의 마음을 훈훈하게 했다.12월 14일 태안을 찾은 미국 해안경비대 해양대기청 소속 연구원인 에드 레빈 씨도 “사고 발생 1주일 만에 해변을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단백질과 운동하지 않는 단백질이 있습니다. 0과 1로 이뤄진 이진법체계를 따른다는
얘기
죠. 디지털방식은 아날로그방식에 비교해 잡음이 없고 정확합니다.”성냥에 불이 붙는 화학반응이 절반만 진행될 수는 없듯 생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 역시 ‘모 아니면 도’식의 간결하고 정확한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같은 커다란 크기의 DNA를 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고 발현시켰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달리
얘기
하면 ‘합성최소세포’를 만드는 중간 단계를 완성했다는 뜻이다.지금까지 벤터 박사의 연구흐름을 되짚어보면 그가 앞으로 시도할 연구의 방향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마이코플라스마 게니탈리움의 ... ...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조언한다. 논리성을 중시하는 과학 글쓰기에서 기승전결 구조는 오히려 방해가 된다는
얘기
다. 게다가 무조건 쉽게 써야 한다는 강박증에서 벗어나 글 읽는 대상을 분석해 형식이나 어휘, 표현을 달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프롤로그에서 보듯 저자도 글쓰기를 두려워하던 시절이 있었다. 영국에서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