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탐험┃중국, 달 뒷면 찍고, 다음은 화성으로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4호는 2019년 1월 탐사 로봇 위투 2호(오른쪽)가 활동하는 모습을 담은 달 뒷면의 파노라마
사진
을 최초로 공개했다. 중국의 다음 목표는 화성이다. 2021년 그 첫 번째 도전이 시작될 예정이다 ... ...
거짓말 어디까지 발전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한심한 사람’이라고 욕하면서 큰 논란을 빚었죠. 사실 이 영상은 버락 오바마의
사진
에 다른 사람의 얼굴을 적대적 생성망 기법으로 합쳐 만들었답니다. 이렇게 딥러닝 기술로 가짜 영상을 만드는 기법을 ‘딥페이크(deep fake)’라고 해요. 버즈피드 측은 딥페이크 영상으로 만들어진 가짜 뉴스의 ... ...
비하인드┃아폴로11 성공을 만든 결정적 장면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인류 최초로 달 표면에 발을 내디뎠다. 달 표면에 선명히 찍힌 인류의 첫 발자국
사진
을 한 번쯤은 봤으리라. 그런데 사실 발자국의 주인공은 암스트롱이 아니다. 발자국의 주인은 두 번째로 달에 내려선 버즈 올드린이다. 아폴로 11호 사령관(커맨더)이었던 암스트롱은 카메라를 들고 올드린의 ... ...
어린이과학동아 과학가족 모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접안렌즈에 스마트폰 카메라를 대고 달을 촬영하는 것을 좋아해요. 제
사진
을 보고 천체
사진
을 찍어달라고 부탁하시는 분들도 많아요. 그럴 때면 어깨가 으쓱해 저~기 달까지 올라갈 것 같아요. 성현 가족에게 이란?저와 동생은 을 읽고 부모님께서는 를 읽어요. 함께 ... ...
상어가족, 백상아리만 있는 게 아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많은 친구들이 ‘상어’ 하면 나와 같은 백상아리를 주로 떠올려. 우리는 영화 의 주인공으로도 등장하고, 아이스크림으로 만들어질 정도로 친 ... 이 종을 ‘취약종’으로 지정했다. 사실 비만상어가 인간을 공격한 사례는 극히 드물다.※.
사진
의 상어 크기 비율은 실제와 다릅니다 ... ...
[출동!기자단] 와, 플라스틱이 예술인데? 크리스 조던 전시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이어서 친구들에게 “
사진
을 가까이서 보라”고 얘기했답니다. 알고보니 이 고래
사진
은 5만 개의 플라스틱 봉지로 만든 작품이었지요! 크리스 조던 작가는 기자단 친구들에게 질문을 던졌답니다. “고래가 플라스틱 봉지를 만나면 어떻게 할까요?”“먹을 것 같아요.”“맞아요. 고래는 플라스틱 ... ...
신을 쫓는 기계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사람들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이
사진
은 현재 LHC에서 연구하고 있는 과학자 800명의
사진
을 콜라주한 작품으로 여성은 흰색, 남성은 검은색 배경으로 촬영해 ‘CMS’라는 글자를 만들어 냈다 ... ...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MRI) 기술 중 하나인 ‘확산텐서영상(Diffusion Tensor Imaging)’은 뇌를 잘게 나눠 층별로
사진
을 이어 붙이는 방식으로 3차원 이미지와 영상을 만들어낸다”며 “이렇게 찍은 뇌 조직에서 컴퓨팅 기법을 이용해 신경세포 사이의 연결망을 확인하는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국제우주정거장의 첫 일본인 선장 와카타 고이치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제작했는가 하면, 국제우주정거장의 일본 우주실험 모듈인 키보(Kibo)에서 촬영한 달
사진
을 음악으로 변환해 ‘달 악보(Moon Score)’를 만들기도 했다. 우주를 이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없다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게 해주는 그였다. 4. 2013년 러시아 유리 가가린 우주비행사 훈련센터에서 소유스 TMA-11M에 ... ...
[핫이슈] 유산균 프로젝트, 똥일기 쓰는 친구들 보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이 두 사람이 누군지 알고 있나요?”차장님이 화면 속의 흑백
사진
두 장을 가리켰어요.
사진
속 인물은 19세기 프랑스의 화학자 루이 파스퇴르와 러시아의 생물학자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였어요. 유산균의 역사에 큰 획을 그은 두 사람이지요. 파스퇴르는 세균이 자연발생한다는 당시의 주장을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