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비┃인류는 정말로 달에 갔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이것을 지붕이 있는 스튜디오에서 촬영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사진을 찍을 줄 아는 사람이라면 별빛이 나오지 않은 것을 크게 문제 삼지는 않을 것 같다. 달에서는 낮에도 하늘이 까맣지만 상대적으로 강한 햇빛 때문에 별이 잘 보이지 않는다. 더구나 필름을 빛에 아주 ... ...
- [매스미디어] 스파이더맨 : 파 프롬 홈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안녕? 난 피터 파커, 스파이더맨이야. 우주의 절반을 날려버렸던 타노스는 사라졌지만, 내가 없었던 5년 동안의 일들을 알아보느라 정신이 없어. 하지만 나도 어벤져스이니 악당을 물리치는 일만큼은 멈출 수 없지. 내가 어떻게 악당들과 싸울 수 있는지 그 힘의 원천을 수학으로 하나하나 풀어 설명 ... ...
- 영감┃우주인의 드레스룸과학동아 l2019년 07호
- 23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스페이스X가 개발한 차세대 우주복을 직접 착용한 사진을 올렸다. 이 우주복이 처음 공개됐을 때, 실제 우주복인지 아니면 디자인만 적용한 것인지 논란이 있었다. 우주복치고는 굉장히 ‘슬림’했기 때문이다. 머스크가 입었던 우주복은 여압복의 일종으로, ... ...
- 상어가족, 백상아리만 있는 게 아니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많은 친구들이 ‘상어’ 하면 나와 같은 백상아리를 주로 떠올려. 우리는 영화 의 주인공으로도 등장하고, 아이스크림으로 만들어질 정도로 친 ... 이 종을 ‘취약종’으로 지정했다. 사실 비만상어가 인간을 공격한 사례는 극히 드물다.※. 사진의 상어 크기 비율은 실제와 다릅니다 ... ...
- [Go!Go!학자]곳곳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넓은 지역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아예 높은 곳에서 드론이나 비행기, 인공위성이 찍은 사진을 통해 유적을 찾을 수도 있어요. 이런 방법을 ‘공중탐사’라고 해요. 페루의 유명한 나스카 유적이 이런 식으로 발견되었지요. 가뭄이 고고학자를 도와준다고?이렇게 고고학자들은 유적이 있을 만한 모든 ... ...
- 포켓몬 몸집의 물리학 피카츄는 뚱뚱할까, 날씬할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키가 두 배인 사람의 허리둘레는 기껏해야 키가 작은 사람의 1.4(≈21/2)배 정도다. 독사진을 찍어 나란히 비교하면 당연히 키가 큰 사람이 날씬해 보인다. 패션모델 중에 키 큰 사람이 많은 이유가 바로 이것이 아닐까. 키 큰 사람이 날씬하다는 어찌 보면 당연한 결론은, 사람의 체질량지수 계산법 M/H ... ...
-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MRI) 기술 중 하나인 ‘확산텐서영상(Diffusion Tensor Imaging)’은 뇌를 잘게 나눠 층별로 사진을 이어 붙이는 방식으로 3차원 이미지와 영상을 만들어낸다”며 “이렇게 찍은 뇌 조직에서 컴퓨팅 기법을 이용해 신경세포 사이의 연결망을 확인하는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 ...
- 예쁜꼬마선충으로 ‘제6의 감각’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의 머리 근육에는 자기수용감각(proprioception)을 인지하는 신경이 들어있습니다. 자기수용감각 신경이 몸의 압력 변화를 느껴 예쁜꼬마선충의 움직임을 더욱 조화롭게 만듭니다. 연구를 위해 예쁜꼬마선충의 머리 부위를 따라가며 영상을 찍는 현미경을 직접 제작 ... ...
- 상어가족보다 힘센 동물은 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많은 상어를 잡고 있어요. 의도하지 않았더라도요. 한국 사람들도 정부에게 편지를 쓰고 사진을 보내 상어를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해주면 좋겠어요. 지금 보호하기 시작한다면 어린이들이 자란 때에는 상어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살 수 있을 거라 생각해요.Tip. 우리나라에도 47종의 상어가 살고 ... ...
- [핫이슈] 유산균 프로젝트, 똥일기 쓰는 친구들 보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이 두 사람이 누군지 알고 있나요?”차장님이 화면 속의 흑백사진 두 장을 가리켰어요. 사진 속 인물은 19세기 프랑스의 화학자 루이 파스퇴르와 러시아의 생물학자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였어요. 유산균의 역사에 큰 획을 그은 두 사람이지요. 파스퇴르는 세균이 자연발생한다는 당시의 주장을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