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 암컷과 수컷, 신경망 지도 각각 완성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의 신경전달물질을 형광 표지해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뒤 이 사진을 분석해 암컷과 수컷의 커넥톰을 완성했다.그동안 예쁜꼬마선충의 커넥톰을 만든 연구는 여러 차례 있었지만, 암컷과 수컷을 분리해 따로 완성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에몬스 교수는 “예쁜꼬마선충의 ...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열대집모기 4~8마리를 투입하고, 상자 주위를 초고속카메라 8대로 둘렀다. 초당 1만 장의 사진을 찍어낼 수 있는 8대의 카메라는 투명 상자 안의 가로세로높이 2cm 구역을 동시에 관찰하도록 배치됐다. 이 구역에 들어온 모기는 바로 카메라에 찍히게 된다.촬영 결과, 모기는 다른 곤충이나 새의 ...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세상을 인식한 뒤 이 물건이 뭔지, 주인이 누구인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리가 열심히 사진 데이터를 모아서 입력해줘야 합니다. 혼자 하기보다는 여럿이 데이터를 공유하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독자 여러분도 힘을 보태 주세요. 그리고 로보트 재권V가 열심히 공부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려고 ... ...
- 국내 최대 개미왕국의 운명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안녕? 나는 안양에 사는 왕개미야. 내가 왜 나왔냐고?혹시 지난 2015년 안양에서 거대한 왕개미 왕국이 발견됐다는 뉴스를 본 적 있니? 그동안 이 지역을 ‘보존한다’,‘개발한다’를 두고 말이 많았어. 그런데 이제 곧 안양시가 우리가 사는 곳을 개발한다고 해. 그래서 걱정이란다. 우리 이야기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개구리가"찜"했다? 개구리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개구리가 식물에 앉아 쉬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그 식물은 정말 ‘개구리자리’일지도 몰라요. 4월이면 노란 꽃을 피우는 개구리자리는 개구리가 사는 곳에 주로 나타나 이런 이름이 붙었어요. 물이 차올랐다가 빠지기를 반복하는 웅덩이나 논, 개천 가장자리가 개구리자리에겐 최고의 집이거든 ... ...
- [화보] 사진작가 돈 코마레카의 물방울 실험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
- 에필로그 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일찍이 휴식의 중요성을 깨달은 리틀우드는 콘월을 즐겨 찾았습니다. 멋진 이곳의 사진을 보니, 의심이 드네요. 혹시 콘월에 자주 가기 위해 새로운 업무 방식을 떠올린 건 아닐까요? 테셀레이션이 빚어낸 세계문화유산 스페인 그라나다의 알함브라 궁전수학 저술가로 유명한 마커스 드 사토이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모든 접촉은 흔적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만한 외상이 없다며 타살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하지만 아무리 현장과 검시 사진을 뚫어지게 쳐다봐도 다른 타살의 흔적을 찾을 수는 없었다. 이전에 경험했던 사건, 그리고 일반적인 교사에서 나타나는 울혈의 형태와 끈 자국을 분석한 자료 등을 볼 때, 일반적인 교사에서 흔히 ... ...
- 빅데이터, 시험, 감옥… 세상에서 하나 뿐인 주기율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반 티셔츠를 제작하려고 준비 중이었습니다. 공부도 하고 추억도 쌓기 위해 함께 찍은 사진으로 주기율표를 만들었습니다. *...*....*...*...*....* 동상....*...*...*....*.. ... ...
- 로봇과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실험을 진행했어요. 190여 명의 실험자에게 다양한 색깔의 로봇과 여러 인종의 사람 사진들을 순간적으로 보여주고 위험한 인물인지 바로 판단하도록 시킨 거죠. 실험 결과, 대부분의 실험자들은 흑인과 검은색 로봇을 더 위협적이라고 답했어요.바트넥 교수는 “로봇을 연구할 때 우리의 무의식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