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찬가지"(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적 원리 알면 새 주소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건물의 번호가 커지고 있다면 동쪽이나 북쪽으로 가고 있다는 뜻이다. 도로명 팻말도 마찬가지다. 막 들어선 도로의 도로명 팻말에‘1→100’처럼 작은 숫자부터 적혀 있다면 동쪽이나 북쪽으로 가고 있다는 뜻이다. ‘100→1’로 적혀 있다면 서쪽이나 남쪽을 향하고 있다는 의미다.도로의 시작 ... ...
- [수학영재캠프] 가짜 금화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1년 08호
- E)’이 세 가지뿐이다. 이것을 저울의‘대답’이라고 부르자. 두번째 저울질에서도 마찬가지로 세 가지 대답을 얻는다. 그럼 두 번의 저울질로 얻을 수 있는 대답 열의종류는 LL, LE, LR, EL, EE, ER, RL, RE, RR의 3×3=9가지이다. 우리는 우리가 얻은 대답 열만을 바탕으로 어느 금화가 가짜였는지를 결정해야 ...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 1] 어떤 수를 영 제곱하면 왜 1인가?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쓰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25은 2×2×2×2×2와 같이 2를 다섯 번 곱했음을 뜻합니다. 마찬가지로 생각하면 20은 2를 0번 곱한 수죠.그런데 2를 한 번도 곱하지않은 값은 얼마일까요? 곱하지않았는데도 값이 있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생각해 볼까요? 수학에서는 규칙이 매우 중요합니다. 곱할 ... ...
- [Issue & Math] 신비의 수 142857의 비밀을 찾았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이들을 3자리씩 끊어서 더하면 똑같이 999가 된다. 142857과 마찬가지로 1과 12, 3과 10, 4와 9를 각각 곱해 3자리씩 끊어 놓은 값이 서로 대칭인 것도 알 수 있다. 게다가 어떤 수를 곱해서 나온 값을 3자리씩 끊어서 더하면 역시 999나 999의 배수가 나온다. 1998과 같이 999의 배수가 ... ...
-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예측과 다른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자연현상을 연구하는 응용과학 분야도 마찬가지죠.”오정근 팀장은 “기존보다 더 빠르면서 정확한 예측 모형이 있으면 미래를 잘 대비할 수 있다”며 이렇게 설명했다. 홍수 같은 재난 위험도 예측에서는 잘못될 경우 수많은 생명이 위험해져 ... ...
- Part 1. 비타민, 추락하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몇몇 약이 오랜 시간 투약하면 부작용이 발견돼 제약 시장에서 퇴출되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비타민은 퇴출 위기까지 몰린 것은 아니지만,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한없이 곤두박질치고 있다.VITAMIN A야맹증, 못 먹을 때 얘기[비타민 A는 우유, 장어, 간, 계란, 시금치, 당근, 브로콜리, 호박, 대구, ... ...
-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말했다. 몇 년 전부터 제주 바다에 나타난 분홍멍게와 석회조류, 호리병말미잘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모두 식품으로도, 관광자원으로도 그다지 쓸모가 없다.하지만 장 소장은 “이들을 해로운 생물만으로는 볼 수는 없다”며 “아열대성 기후인 나라에서는 오히려 돌산호를 보호종으로 지정하고 ... ...
- 구술면접, 개념 정립부터 시작하라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생물을 암기 과목으로 인식한다. 사실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생물도 다른 자연과학과 마찬가지로 큰 원리가 있고 흐름을 관통하는 맥이 있다. 단편적인 지식과 생물학적 현상을 잘 암기하고 있는 것도 도움이 되지만 대학에서 원하는 학생은 생명현상을 종합적인 틀에서 관찰하고 예측할 수 있는 ... ...
- 유전자로 과거 인구 변동 안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비교하면 그 생물이 언제 등장했고 다른 생물과 어떤 계통수를 이루는지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람에게 적용하면 각 지역에 사는 인류(인종)가 언제 어느 지역(인종)에서 갈라져 나왔는지 밝힐 수 있다.더빈 박사팀은 그 동안 써왔던 미토콘드리아 DNA 대신 유전 정보가 훨씬 풍부한 게놈을 ... ...
- Part 2. 건강기능식품 돈 값 못한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원장은 “건강기능식품은 먹었다고 해서 약처럼 극적인 효과를 얻을 수 없을 뿐더러, 마찬가지로 급작스러운 부작용도 발생하지 않는다”며 “식약청에서 인정한 건강기능식품은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김종엽 대전국군통합병원 군의관은 “식약청에서 기능성보다 안전성에 역점을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