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찬가지"(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나는 짜장면을 먹겠다’라는 뜻으로 쓰는 게 보통이다. ‘뒤에 차 온다’ 같은 문장도 마찬가지다. 단순히 뒤에서 차가 오고 있다고 말하는 게 아니라, 뒤에서 차가 오니 조심하거나 피하라는 게 진짜 뜻이다.우리말은 형태소 분석이 어려운 편에 속한다. 존댓말 같은 어미 변화가 많고, 조사도 ... ...
- [수학으로 TV 보기] 복불복에서 까나리를 피하려면?수학동아 l2011년 09호
- 문자를 보내준 태웅이 호동의 이름을 쓰지 않는다는 건 다 차려진 밥상을 걷어차는 것과 마찬가지였다. 호동은 태웅과 커플이 될 것을 확신하고, 만면에 웃음을 띠며 손바닥에 하트까지 그려 태웅의 이름을 적었다.그런데 이게 무슨 일인가? 오히려 태웅은 도저히 결정할 수 없다며 매직펜 뚜껑 ... ...
- 낭만 올림피아드수학동아 l2011년 09호
- 더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00이나 11 다음에는 01이나10이 올 수밖에 없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조금 다른 관찰로 비슷한 착안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이 문제는 꼭 십진법에서 출제할 필요는 없었을 겁니다. 오진법에서 출제했다면 00, 01, 02, 03, 04, 14, 13, 12, 11, 10, … 으로 재배열했을 때 12도 ... ...
- 공책, 수학으로 가득 찬 '빈 책'수학동아 l2011년 09호
- 2절지에 해당한다. 미술시간에 쓰는 4절지나 8절지는 전지를 4등분 또는 8등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공책은 전지를 16등분한 크기로, 신문지를 3번 접은 크기와 같다.최근에는 크기가 작고 무게도 가벼운, 20절 크기의 공책도 많이 쓰인다. 32절 공책도 있는데, 단어장처럼 간편하게 들고 다닐 수 있게 ...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과학자 수는 적게는 100명에서 많게는 300명 정도. 침팬지의 게놈 신분증을 만들 때도 마찬가지였다. 박 센터장을 비롯해 세계 5개국의 8개 연구팀이 ‘침팬지 게놈연구 국제컨소시엄’을 만들었다. 이렇게 많은 과학자들이 참여해 각 유전자의 위치를 정하면 더 빠른 시간 안에 전체 게놈 염기서열을 ...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지진, 쓰나미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서였다. 1000여 차례 잠수 실적을 갖고 있다.러시아도 마찬가지다. 1987년에 만든 심해잠수함 ‘미르’ 호는 해저 6000m까지 잠수할 수 있다. 특히 활동시간이 긴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해저에서 20시간까지 추가보급을 받지 않고 움직일 수 있다.프랑스도 심해 ...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스파르타를 이긴 아테네처럼요. 운명을 바꾼 요인은 유연한 사고입니다. 전력 분야도 마찬가지예요.” [문승일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유연한 사고. 이 말은 이번 인터뷰의 키워드였다. 연구에 관해 이야기할 때도, 공학자로서의 태도를 말할 때도 강조했다. 그가 하는 연구 자체가 유연함에 관한 ... ...
- Part1. 동물 1만 종 게놈 해독한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많이 게놈을 모으려는 경쟁이 시작됐습니다. 게놈이 바로 돈이거든요.사회자 사람도 마찬가지에요. 이미 1000명의 개인 게놈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앞으로는 개인별로 게놈을 분석해 맞춤의학 시대를 열 거라고 하네요. 오늘 여러분을 모시고 여러 얘기를 나눌 수 있어서 정말 반가웠습니다. ... ...
- PART 1. 공진은 무서워?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일어난 것은 아니라는 게 핵심이다.또다른 대표적 사례인 영국의 브로스턴 다리도 마찬가지다. 브로스턴 다리는 1831년 군인들이 발맞춰 행군하면서 생긴 진동이 고유진동수와 같았기 때문에 무너졌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또한 고유진동수와 무관하게 군인들이 동시에 발을 구르는 힘 때문에 ... ...
- ‘월하정인’에 뜬 눈썹 달의 비밀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바라보고 있는 ‘정변야화’에는 보름달이 떠 있다. ‘야금모행’에도 ‘월하정인’과 마찬가지로 눈썹 모양의 달이 떠 있다.이 교수는 신윤복이 사실과 무관하게 달을 그리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그림을 그린 시각을 추정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월야밀회’와 ‘정변야화’는 보름달이 낮게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