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d라이브러리
"
마지막
"(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영광의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사람에게 주는 ‘천상’은 필립 그리피스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원 명예교수가 받았다.
마지막
으로 수학의 대중화에 공헌한 수학자에게 수여하는 ‘릴라바티상’은 아르헨티나의 과학 저널리스트 아드리안 파엔자 박사가 수상했다.박근혜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수학을 통해 배우는 논리적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더 유리했다.둘째, 판옥선은 소나무로 만들어 튼튼하다. 에서 이순신 장군은
마지막
전술로 ‘충파’를 사용한다. 충파는 배를 부딪쳐 적군의 배를 공격하는 전술이다. 그런데 이 장면을 보면 거의 같은 크기의 배를 들이박는데, 판옥선은 멀쩡하고 일본군함인 안택선과 세끼부네는 ... ...
[재미] 9회 이장의 집을 수색하라!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소마는 3344 다음에 올 4자리 수로 자물쇠 암호를 신중하게 누르기 시작했다. 4자리 수의
마지막
일의 자리까지 누른 소마는 열림 버튼을 살포시 눌렀다.“딸깍~.”다행히 자물쇠가 열렸다.“오! 열렸어요. 반장님, 문을 열어 볼까요?”“그래! 어서 열어 보자고. 방 안에 또 다른 방이 있을지도 몰라 ... ...
INTRO. 110km에서 슈퍼맨처럼 날아오르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하지만 비행과정중 지상에 비해 최대 6배의 중력가속도가 생기는 만큼 수업은 진지했다.
마지막
날에는 함께 우주선을 탈 관광객 6명과 조종사 2명을 만났다. 다양한 나라에서 같은 꿈을 가진 친구들을 만날 수 있어서 무척 즐거웠다.이륙좌석은 모두 창가에드디어 우주선에 탈 시간이다. 우주복과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불과 500년 전만 해도 사람은 지구가 세상의 전부라고 믿었다.세월이 흘러 우리는 태양계의 8개 행성을 발견했고, 1995년에는 최초로 태양계 밖에 있는 외계행성을 찾아 ... 뜨거운 목성으로 다시 태어날 수는 있다. 태양과 목성처럼 대부분의 별과 행성은 이렇게
마지막
길도 같이 하게 된다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수족관을 연상하게 한다.➋ 우리나라에서는 독도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미기록 신종들.
마지막
물고기는 아직 이름이 정해지지 않았다.➌ 바닷속을 탐사하며 사진을 찍는 연구원. 나는 아직도 바다가 두렵다하지만 독도 조사가 낭만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사명감이 없었다면 버텨내기 힘들었다. 199 ... ...
‘답정너’ 위로하는 방법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그거 알고 보면 별 일 아니야’라고 상대가 지나치게 걱정하고 있음을 상기시킨다.
마지막
은 ‘이것도 다 경험이 될 거야’라며 사건에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방법이다. 실패에서도 배울 게 있다고 말하는 것처럼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재해석(positive reframing)을 제공한다.이 중에서 어떤 것이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좋아서 몽골에 간 것은 아니다. 학술적으로 의미가 크다는 점이 가장 중요한 이유다.
마지막
날 울란바타르의 고생물학센터에서 우연히 만난 세계적인 공룡학자, 캐나다 앨버타대 생명과학과의 필립 커리 교수는 고비사막과 북미 공룡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에 주목하고 있다. 이융남 박사도 “북미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아무튼 양자컴퓨터는 중간 과정에서는 중첩상태를 유지하면서 연산을 수행하고,
마지막
에 한 번 측정해 최종 결과를 얻는다.측정하지 않고 계산하는 법컴퓨터의 중요한 연산 가운데 조건 분기라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x가 1보다 크면 1을 더하고 작으면 그냥 두라는 명령문이다. 조건 분기를 ... ...
“집은 살기 좋은 작품”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연구합니다. ‘시공’은 적당한 예산과 시간 안에 학교를 완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
으로 공부하는 데 알맞은 조도, 습도, 온도 같은 조건을 연구하는 분야를 ‘환경’이라 합니다. 이들이 바로 건축공학에 속합니다.▶ 어울림 환경과 역사가 담겨있는 건축Q 오늘날에 맞는 건축물은 어떤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