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지막"(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답을 구할 수 없다. 물론 이런 문제는 결과를 그냥 외워둘 수도 있겠지만,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나 ‘골드바흐 추측’ 같은 문제는 계산으로 절대 해결할 수 없다.『진화의 역사를 보라양자역학이 생존에 이익이 된다면생명은 이를 반드시 이용했을 것이다』펜로즈는 양자역학을 이용해야 이런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염색체는 23쌍(46개)이다. 1번부터 22번까지 22개의 상염색체가 한 쌍을 이루고 있고, 마지막 23번째 쌍은 두 개의 성염색체로 구성돼 있다. 여성이 두 개나 갖고 있는 X 염색체는 전체 염색체 중에서 여덟 번째로 크며, 전체 염기서열 중 5.1%나 차지한다. Y 염색체는 반대다. 끝에서 세 번째로 작고, 전체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제거할 수 있다”며 “고준위 폐기물을 중저준위로 바꿀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처분’ 단계는 이렇게 만들어진 중저준위 핵폐기물을 매립하는 단계로, 폐기물 양을 크게 줄인 데다가 방사능도 떨어져 지금보다 훨씬 안전하게 처분할 수 있다.핵변환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말했다.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히든QR코드가 제대로 보일 수 있게 만든 마지막 비결인 셈이다.“가장 중요한 건, 히든QR코드가 상용 기계로 복제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인 인쇄기로 찍을 수 있는 가장 미세한 선의 너비는 약 25μm(1μm=100만 분의 1m)에요. 10μm 너비의 십자가를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내용이 디지털 시대의 멀티태스킹과 산만증으로 넘어갔을 때, 그만 준비하고 있던 마지막 질문을 잊어버렸다. 이런 적은 처음이었다. 이럴 때를 대비해 메모도 해뒀지만 그 메모지도 찾을 수 없었다. 그도 그럴 것이 책상 위는 기사를 위해 프린트해 둔 10여 편의 논문과 책, 기사, 그리고 이전의 다른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학회에서 가장 주목받은 발표자는 아킬레시 팬디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였다. 마지막 날이었지만 팬디 교수의 발표장에는 200석 규모의 강의실에 발 디딜 틈이 없었다. 그의 연구팀이 ‘네이처’ 5월 28일자에 인간프로테옴의 첫 번째 밑그림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팬디 교수팀은 성인 조직 1 ...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후, 다시 실제 사진으로 만들어 낸다. 촬영된 각도에 상관없이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재가공된 사진을 기존의 사진과 비교하면서 가장 비슷한 사진을 찾아낸다. 페이스북에서는 향후 이 ‘딥 페이스’를 활용해 맞춤형 사진 분류,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계획이다 ... ...
- [재미] 11회 지리산에 있는 벽돌집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나도 같은 생각이야. 변 이장이 두물머리에서도 거대한 양계장을 소유하고 있었어. 마지막으로 수지가 남긴 이 메시지는 분명히 변 이장을 가리키는 걸 거야. 박 형사 생각은 어때?”왕 반장이 박 형사에게 물었다. 그런데 벽돌집에 들어온 이후 넋을 잃은 사람처럼 서있던 박 형사가 갑자기 ... ...
- [만화뉴스] 수학으로 소설 미리 보기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소설의 마지막 장은 종종 다음 편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하면서 끝난다. 그런데 최근 수학으로 소설의 대략적인 전개를 미리 예측해 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뉴질랜드 캔터뷰리대 리처드 베일 교수는 조지 마틴의 장편 판타지 소설 ‘얼음과 불의 노래’ 7부 중 아직 출간되지 않은 6, 7부의 ...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모양인데, 이 도형은 이슬람 디자인에서 빼놓을 수 없는 성스러운 의미의 다각형이에요. 마지막으로 쿠알라룸푸르에서 반드시 봐야 할 건물은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예요. 낮보다 밤에 보는 것이 더욱 멋지죠. 한국과 일본이 합작해서 세운 이 건물 역시 꼭짓점이 8개인 별 모양을 본떠 단면을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