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 재학생 인터뷰] 다양성이 모여 다채롭게 빛나는 산업공학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라고 불러요.” 산업공학과를 지망하는 후배들을 위해 산업공학과 재학생 6명은 다음날이 시험인데도 불구하고 열정적으로 인터뷰에 응했다. 이들은 산업공학과가 “여러 분야에 관심 있는 친구들이 모여 다채로운 색깔을 내는 학과”라고 입을 모았다. 이들에게 산업공학과 합격 비결을 들었다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인터넷판으로 공개됐습니다. 히라카와 요시노수케와 마츠무라 히데키가 해결한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처럼 세 변의 길이가 (135, 352, 377)인 직각삼각형과 (132, 366, 366)인 이등변삼각형은 둘레가 864, 넓이가 23760으로 똑같습니다. 이처럼 직각삼각형과 이등변삼각형의 넓이와 ... ...
- 완성된 웡카 초콜릿, 어떻게 담을까?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구를 피라미드로 쌓는 것’이라고 추측했습니다. 구가 서로 맞닿도록 촘촘하게 배열한 다음 4개의 구 사이 움푹 들어간 곳에 구를 쌓아 올리는 겁니다. 과일 가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조지만, 수학적으로 케플러의 추측을 엄밀하게 증명하는 데는 무려 387년이나 걸렸습니다. 1998년 토마스 ... ...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운영되지 못해 결국 1979년 7월 대기권으로 떨어뜨려 불태워 없앴다. NASA가 살아남기 위한 다음 전략은 명확했다. 경제적인 우주 탐사였다. 결국 NASA는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 우주왕복선으로 목표를 정하고 개발을 시작했다. 우주왕복선은 액체 연료를 채운 거대한 탱크와 양옆으로 고체 추진제가 ... ...
- [과학자의 부엌] 소금과 유산균의 콜라보, 김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유산균들이 발효를 잘 시키도록 김치를 담글 때에는 설탕을 약간 넣어줍니다. 배추 다음으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재료인 고춧가루도 유산균이 김치를 발효시키는 속도를 조절하고 부패를 막는 역할을 합니다.김치의 발효가 시작되는 초기에는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가 ... ...
- [롤링수톤] 머릿속 맴도는 수능금지곡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귀벌레 현상이 강한 음악을 만드는 공식을 만들었습니다. 리듬이 얼마나 반복되는지, 다음 구절이 얼마나 예측가능한지에 따라 귀벌레 현상이 강하게 나타난다는 식입니다.또 영국 골드스미스대학교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3천 명을 대상으로 중독성 강한 노래를 찾아냈습니다. 자료에서 의사 결정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기에너지와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송전 전력-손실 전력 = 소비 전력’이라는 식이 성립한다. 손실 전력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송전 전압을 높이기 위해 변전소는 변압기를 이용한다. 아래는 변압기의 구조와 변압 과정이다. 특히, 변압기 양끝에서 코일의 감은 수는 양끝에 걸리는 전압과 비례한다. 따라서 변압기로 ... ...
- [Issue] 가계동향조사 ‘통계 오류’ 논란 쟁점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8월 16일 ‘소득분배의 현황과 정책 대응 토론회’에서 내놨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016년까지 가계동향조사는 ‘36개월 가계부 기장 방식’으로 6956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그런데 2017년에는 갑자기 4145가구로 표본이 줄어들며 조사 방식도 가계부 기장 방식이 아닌 면접 조사 ... ...
- [Culture] ‘시험의 계절’ 10월을 위한 공부 팁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약 50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곧 시험을 치를 수험생들의 시계도, 중간고사를 앞둔 ‘다음 타자’인 중·고등학생들의 시계도 빠르게 흐르고 있겠네요. 참, 대학생들도 곧 중간고사를 치르겠군요. 역시 10월은 ‘시험의 계절’인가 봅니다. 과학동아가 가만히 있을 순 없죠. 시험을 준비하는 모든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8.5mg, 태어난 지 8개월이 지난 쥐의 췌장 무게는 400mg으로, 무게가 약 47배 늘었습니다. 다음으로 연구팀은 내부 세포들을 살펴봤습니다. 그 결과 8개월 이상 자라면서 췌장 세포의 수는 크게 변하지 않았는데, 두 종류의 세포가 그 크기를 각각 19배, 4.6배로 키웠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이는 인간과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