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야기로 시작했으니 그 이야기로 끝을 맺자. 모래 언덕 너머 무엇이 있는지 보고자 길을 떠난 주인공이 지평선의 끝에서 만난 것은, 또다른 모래 언덕과 지평선이었다. 경계 너머는 또다른 경계였다. 태양계의 끝을 찾는 이들이 마주친 풍경이 이와 다를까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경우, 광대뼈가 옆쪽으로 향해 있어서 앞에서 보는 얼굴은 갸름하고 옆에서 보면 앞뒤로 길다. 유럽인의 얼굴이 이렇게 옆에서 봤을 때 긴 이유는 무엇 일까. 그 기원은 네안데르탈인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와 별반 다르지 않은 모습을 하고 있었다. 이전 의 인류처럼 ... ...
- [career] 나라 먹여 살릴 벤처 키운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포스코 같은 기업이 반드시 나오도록 할 것”이라며 “그게 앞으로 우리나라가 발전할 길”이라고 말했다.이 같은 움직임에 지역사회도 힘을 보태고 있다. 포스텍은 지난 2000년부터 매년 40~60여 개 과제를 선정해 과제당 최대 500만원을 지원하는 학부생 연구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속에서는 시각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어두운 동굴에서 박쥐가 길을 찾는 것처럼, 청각과 음파에 의지해 바다 속을 탐사해야 합니다.제가 학생 때 국내에는 수중음향을 연구하는 분이 거의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걸 연구하면 교수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에 연구를 ... ...
- [참여]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라! 제4회 청심ACG수학대회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보통 수학대회에서는 학년별로 다른 수학 문제를 푼다. 그런데 여기, 여러 학년이 함께 같은 문제를 푸는 특별한 수학대회가 있다. 바로 ... 청심ACG수학대회를 나간 후부터 한 가지 길만 고집하지 않고 숨겨진 여러 가지 길을 발견해 문제를 풀어내는 게 수학의 재미라고 생각하게 됐어요 ... ...
- [시사] 살아 움직이는 미로 메이즈 러너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눈을 떠 보니 낯선 공간에 와 있다. 이 공간은 거대한 미로로 둘러싸여 있고, 심지어 내가 누구인지, 이름도, 나이도, 가족도 아무것도 기억나지 않는다….’수 ... 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면 주저 없이 온 길을 다시 되돌아간다.➍ 양쪽 방향으로 표시된 길은 절대로 들어가지 않는다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남아 있는 치아와 유골을 조사한 결과 구석기 시대 후기로 갈수록 사람들의 수명은 점점 길어졌어. 인류의 수도 확 늘어났지. 이 연구를 한 미시건대학교의 레이첼 캐스퍼리 박사는 아이를 낳자마자 먹고 살기 위해 환경과 싸우던 ‘부모’ 대신 남아 있는 조부모들이 아이를 키우고 여러 가지 생존 ... ...
- [특별인터뷰 2] “수학동아는 매달 저를 설레게 해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때문에 실생활에서 수학이 어떻게 쓰이는지, 최근 수학자들이 무슨 연구를 하는지 알 길이 없었어요. 그러던 찰나에 수학동아가 혜성과 같이 생겨난 거죠.”그는 수학동아가 매달 실생활과 관련된 수학 내용과 수학계 이슈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수학 교사인 저도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년 10호
- 가진 거리’라면 바로 화살표로 표기하는 ‘벡터’다. 따라서 우리는 단위 없는 길이 그 자체의 곱을 찾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벡터와 벡터의 곱을 생각하게 됐다.벡터 A와 벡터 B의 곱을 ‘A∧B’로 표기하기로 하자. 이 곱의 합당한 해석은 근본적으로 A와 B를 변으로 갖는 평행사변형의 면적이다 ...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수평 그라우팅 공법을 썼지만 결과적으로 편의를 위해 잘못된 공법을 이용한 셈이다.70m 길이의 동공이 무너져 내리기 전에 미리 발견한 것은 천운이었다. 그러나 늘 이런 천운이 오는 것은 아니다. 급할수록 돌아가라고 했다. 지금까지 있었던 수많은 사고를 보면 가장 큰 문제는 기술부족이 아니라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