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지나치게 효율적이라는 것이 의문이다.전자를 공이라고 생각해보자. 중심이 어딘지 알
길
없으니 전자는 여기저기 마구잡이로 부딪히며 이동하고 당연히 에너지를 잃게 된다. 하지만 실제 에너지 효율은 예상보다 훨씬 높다. 왜 그럴까? 플래밍 교수는 여기에 양자 중첩이 작동한다고 제안한다.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좋다. 그러나 매일 마시면 칼슘과 마그네슘이 너무 많이 몸속에 들어와 오줌이 나오는
길
을 막거나 소화불량, 변비를 일으킬 수 있다.음이온이 풍부한 알칼리수알칼리수는 물(H₂O)을 전기분해를 통해 분리한 뒤 양극으로 모인 음이온들을 모아서 만든 물이다. 우리 몸은 pH7.4로 약 알칼리성을 띄고 ... ...
[시사] 반 고흐 위대한 유산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바리 아츠마의 외모는 역대 고흐의 역할을 했던 그 어떤 주인공보다 고흐와 닮아 눈
길
을 끈다.특히 이번 영화에서는 고흐의 생애와 더불어 고흐의 죽음 이후 조카 빌렘 반 고흐가 번갈아 등장하는 액자 형식을 따르고 있어 보는 재미를 더한다. 수백여 점의 작품을 물려받은 빌렘 반 고흐가 위대한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있는 우주범선을 띄우는 데 이 기술이 쓰였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대각선
길
이가 20m이며, 두께가 0.0075mm인 거대한 마름모 모양의 태양돛을 접은 채로 우주까지 운반했다. 이 돛을 달고 우주로 올라간 이카로스는 우주에서 원심력으로 돛을 펼쳤다. 최근에는 NASA의 산하기관인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얼굴 인식이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한다며 얼굴 인식을 어렵게 만드는 연구도 나타나 눈
길
을 끈다. 미국 뉴욕주립대에서 상호작용 통신을 전공하고 있는 아담 하베이는 얼굴 인식을 방해하는 재미있는 실험을 했다. 얼굴 인식 알고리즘의 핵심이 눈, 코, 이마 사이의 간격을 파악한다는 데 착안해 ... ...
[재미] 11회 지리산에 있는 벽돌집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어딘지 어서 찾아봐!”표지판의 규칙을 발견한 왕 반장은 박 형사에게 명선봉으로 가는
길
을 찾도록 지시했다.“반장님! 저쪽입니다. 여기서부터 약 1.5km 북동쪽 방향으로 걸어가면 됩니다.”박 형사의 안내로 세 사람은 부지런히 정상을 향해 올라갔다. 청년이 건넨 텐트 문제 때문에 이미 시간을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많았을 텐데가장 큰 문제는 새로운 시도에 대한 주변의 저항이다. 모두들 융합만이 살
길
인 것처럼 이야기하지만, 새로운 분야에 대한 사람들의 편견과 저항은 생각 이상으로 크고 뿌리도 깊다. 내가 맨 처음 지금의 아이디어를 제안했을 때도 그랬다. 주변 사람 모두가 반대했다. 하지만 내 생각엔 ... ...
[life & tech] 꽉 막힌 배수구, 비켜!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도로에 뚫은 구멍이다. 바둑판 무늬의 철망 뚜껑으로 덮여 있다. 사람들은 훤히 보이는
길
바닥 대신 캄캄한 구멍 속으로 쓰레기를 던져 넣어 찔리는 양심을 슬며시 감춘다. 하지만 이는 곧 재앙으로 돌아온다. 각종 쓰레기가 하수관에 ‘동맥경화’를 일으킨다. 심한 악취가 나고 심지어 장마철에는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귀여운 인형처럼 사진기를 든 우리들에게 멋진 모델이 돼주었다. 그날 이후로
길
라몬스터는 필자의 단골 이야깃거리가 됐다.숨쉬기도 힘들 정도의 뜨거운 낮과 가끔 영하로 떨어지는 환경에서 살아가는 식물의 일생을 몸소 체험한다는 것, 예상할 수 없는 곤충의 공격에서 자신을 방어하고 살아가는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감옥을 빠져나온 것 이다. 간신히 살아난 라트레유는 사제를 그만두고 동 물학자의
길
을 선택한다. 1798년부터 1850년까지 그가 발견해 이름 붙인 신종은 모두 163종. 감옥생 활에서 재능을 제대로 발견한 셈이다. 그가 발견한 가장 유명한 신종은 '포르미카 루페센스', 일명 '노예개미'다. 유럽에서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